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대중교통을 보완하는 라이드쉐어링 서비스

with one comment

나는 우버 같은 라이드쉐어링서비스가 대중교통과 보완적으로 상생할 수 있다고 믿는다. 실제로 중국에서 다닐 때에도 한 30분정도 가는 목적지에 갈 때 근처까지 지하철로 가서 역부터는 디디추싱을 불러서 남은 1~3km거리를 간 일이 있다. 공유자전거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미국 아이다호주 보이시(Boise)에서 리프트Lyft가 시의 공공버스와 흥미로운 제휴를 했다. 보이시 주민은 위 서비스 지역에 있는 14개의 버스정류장에서 리프트를 불러서 타면 2마일이내 거리를 2불만 내고 탈 수 있다. 초과 비용은 최대 6불까지 보이시 버스회사에서 부담한다. 2마일이면 3.2km로 서울이면 강남역에서 삼성역까지의 거리니 꽤 괜찮다. 대중교통이 부족한 미국의 도시에서는 해볼만한 제휴다.

시애틀 근교의 공공교통을 담당하는 피어스 트랜짓은 지난해 리프트와 제휴해서 기차와 버스 환승센터까지의 리프트라이드를 무료로 제공. 보통 주민들은 애매한 거리에 있는 기차역, 버스정류장에 가기 위해서 차를 몰고 가야하는데 주차공간도 모자라고 주차비도 들어서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목적지까지 그냥 차를 몰고 가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렇게 라이드쉐어링회사와 제휴하는 것은 시당국에도, 주민들에게도 편리하고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서울 같은 대도시야 어떨지 모르지만 한국에서도 대중교통수단이 부족한 지방도시라면 이렇게 라이드쉐어링서비스를 이용해서 주민들을 위해 보완적인 모빌리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텐데… 규제 때문에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현실이 아쉽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1월 25일 , 시간: 11:48 pm

One Response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