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JK롤링이 무명 추리소설의 진짜 작가인 사실이 어떻게 밝혀졌나

with 5 comments

The Cockoo's Calling 표지와 JK롤링. 이번주 이 사건의 승자는 Amazon일 것이다. 서점들이 종이책 재고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킨들 전자책버전이 불티나게 팔려나갈 것이기 때문.

The Cockoo’s Calling 표지와 JK롤링. 이번주 이 사건의 승자는 Amazon일 것이다. 서점들이 종이책 재고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킨들 전자책버전이 불티나게 팔려나갈 것이기 때문.

해리포터의 작가 JK롤링이 몰래 가명으로 추리소설을 출간했다가 그 사실이 밝혀진 뉴스가 전세계적으로 화제다. 지난 4월 발간된 추리소설 ‘더 쿠쿠스 콜링(The Cuckoo’s Calling)’은 ‘로버트 갤브레이스’라는 작가이름으로 발표됐다. 그런데 사실은 이 소설의 작가가 JK롤링이었다는 것이다.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지만 지난 2달간 겨우 1500부만 팔렸던 이 책은 이 사실이 알려지자마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아마존 베스트셀러랭킹에서 즉각 1위로 부상했다.

그런데 국내언론은 이 사실만을 보도했을뿐 어떻게 해서 이 비밀이 밝혀졌는지에 대해서는 쓴 곳이 없는듯 싶다. 이것은 영국의 선데이타임즈의 특종이다.  NYT는 그 특종의 뒷 이야기를 흥미롭게 소개했다. 이 에피소드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시대에 기자의 호기심이 어떻게 세계적인 특종으로 연결되는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얘기다. 다음은 간단한 요약.

————————————————————————————-

트위터가 특종의 단초

선데이타임즈가 이 사실을 밝혀낼 수 있던 것은 요즘 모든 일이 그렇듯이 ‘트위터’덕분이었다. 선데이타임즈 기자 한명이 쿠쿠스콜링책을 좋아하는데 도저히 작가의 첫 작품으로는 믿어지지 않는다는 트윗을 날렸다. 자정이 지나서 그녀는 익명의 어떤 사람으로부터 “그 책은 작가의 처녀작이 아니다. JK롤링이 쓴 것이다”라는 트위터멘션을 받았다. 기자는 즉시 “당신은 어떻게 그것을 아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냥 안다.(I just know)”라는 답이 돌아왔고. 얼마 안있어 그 트윗과 계정은 폭파됐다.

물론 이 익명의 트윗이 장난이거나 출판사가 관심을 끌기 위한 미끼일 수도 있었다. 하지만 선데이타임즈 아트에디터인 리처드 브룩스는 JK롤링이나 출판사 몰래 일단 한번 사실여부를 확인해보기로 했다.

우선 그는 인터넷으로 JK롤링의 최근작 The Casual Vacancy와 The Cuckoo’s Calling 사이에 많은 유사성을 찾아냈다. 두 책 모두 공통의 에이전트, 출판사, 편집자가 맡고 있었다. JK롤링을 맡을 정도의 거물편집자가 로버트 갈브레이스라는 무명작가를 같이 담당한다는 것부터 이상했다.

그리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군인출신에 지금은 사설탐정으로 일한다는 사람이 썼다고 하기엔 믿기어려운 글솜씨였다. 그는 쿠쿠스 콜링과 해리포터 등 몇개의 JK롤링의 저서를 언어전문가에게 보내 분석을 의뢰했다. 역시 많은 유사점이 발견됐다. 비슷한 라틴어문구를 썼다든지 일부 장면의 설정이 비슷했다.

어느 정도 확신이 선 그는 금요일밤에 최종확인을 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단도직입적인 이메일을 JK롤링에게 보냈다. “로버트 갈브레이스는 사실 JK롤링이라고 생각합니다. 딱부러지게 답을 주실 수 있겠습니까?” 토요일 아침에 롤링의 대변인에게서 답이 왔다. “그녀가 털어놓기로 결심했습니다.”

The Cockoo's Calling이 JK롤링의 작품으로 밝혀지게 된 경위를 보도한 NBC뉴스.

The Cockoo’s Calling이 JK롤링의 작품으로 밝혀지게 된 경위를 보도한 NBC뉴스.

Update : NBC나이틀리뉴스가 위에 소개한 내용을 흥미롭게 보도. 문제는 영국이나 미국의 서점에서 전혀 이 책을 구할 수 없다고. (Link: Crime author revealed to be J.K. Rowling)

—————————————————————————–

10년전 들은 특종 연예기자의 이야기와 흡사

나는 이 기지넘치는 기자의 이야기를 읽고 거의 10년전에 들었던  선배의 이야기를 떠올렸다. 스포츠신문에서 연예기자로 여러 대스타들의 연애사실을 여러번 특종으로 터뜨렸던 선배다. “어떻게 해서 그런 특종을 낚느냐”는 질문을 했었다. 그러자 그 선배의 의외의 대답.

“인터넷커뮤니티를 열심히 모니터하는게 비결이야. 잘 찾아보면 “어디서 누구와 데이트하는 OOO를 봤다”는 글이 올라오거든. 그러면 주위 정황을 잘 확인한 다음 맞다는 판단이 들면 당사자에게 전화해서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보는거야. (평소 잘 아는 사이기도 하니까) 그렇게 갑자기 공격하면 실토하는 경우가 많아.”

SNS시대에 특종을 얻기 위해서 기자들은 더욱더 열심히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해야할 것 같다…. 그리고 호기심과 분석능력도 필요.

Written by estima7

2013년 7월 15일 , 시간: 8:19 pm

5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지나친 의심인지도 모르겠으나, 공통의 에이전트, 출판사, 편집자에 폭파된 트위터 계정까지, 누군가 찾아내 주길 바라고 계획한 마케팅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아니면 단순히 비평가들에게 공정한 평가를 받아보고 싶었다거나..

    crazy ones

    2013년 7월 15일 at 9:11 pm

    • 어제 사실 후다닥 윗 글을 쓰느라고 깊이 생각을 못했는데 올리고 자고 일어나서 생각해보니 정말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ㅎㅎ

      estima7

      2013년 7월 16일 at 11:59 am

  2. 폭파된 트위터 계정은 정말 누구였을까요?; 작가는 아니었을까요? ㅋㅋ;;

    Bomin Kim

    2013년 7월 15일 at 9:47 pm

    • JK롤링이 책을 내고 나서 한 한달이면 누군가 알아차리고 자연스럽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했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아무도 눈치를 못채니까 화가나서 직접 트윗으로 익명 제보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ㅋㅋ. 어디까지나 제 상상.

      estima7

      2013년 7월 16일 at 12:00 pm

  3. 헐 대박 신기?! 롤링이 익명으로 책을 썼다는 사실도 몰랐는데 추리 소설을 썼다니 뭔가 아리까리합니다 ㅋㅋ

    예원

    2016년 7월 14일 at 7:15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