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7월 13th, 2013
“MBA가 이끄는 회사에 다녔다면 백번은 잘렸을 겁니다.”
보스턴에 살 당시 근교인 플레밍햄을 지나다가 우연히 Bose본사건물을 본 일이 있다. 고급스피커로 유명한 Bose브랜드에는 익숙해있기에 “아니 저 회사가 여기 있었구나”하고 생각했다. 그리고 사람들과 그 이야기를 하다가 Bose는 원래 MIT출신 교수가 창업한 회사라는 얘기를 들었다. 그리고 그 교수가 회사의 대부분의 주식을 MIT에 기부했다는 뉴스를 접하기도 했다. 보스턴지역에 넘쳐나는 비즈니스감각을 갖춘 백인사업가일 것이라고 여기고 지나갔다.
그런데 어제, 7월12일 그 Amar G Bose교수가 향년 83세로 별세했다는 소식을 트위터를 통해 처음 접했다. 그리고 읽어본 NYT의 부고기사가 너무 좋아서 간단히 소개해 본다. 그가 인도계였다는 것을 비롯해 몇가지 의외인 점이 있었다.
-인도 독립운동가의 아들
1929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서 자란 그는 영국지배에 저항하다가 인도에서 옥살이를 하고 미국으로 탈출한 독립운동가의 아들이다. 일찌기 기계를 다루는데 재능이 있었던 그는 13살때 용돈벌이로 라디오수리를 시작했는데 2차대전당시 어려웠던 집안살림을 돕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Bose를 창업한 계기
클래식음악 애호가였던 그는 50년대 MIT학생일 당시 샀던 고가의 스테레오시스템의 소리가 그다지 좋지 않다는데 실망했다. 그때부터 음향공학에 대한 관심이 싹텄다. 그는 콘서트홀에서 경험하는 소리의 80%가 사실은 벽과 천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청중에게 전달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는 이 원리를 응용해 새로운 디자인의 스테레오스피커를 개발해냈고 64년에 멘토이자 MIT교수인 Y W Lee교수의 권유로 Bose를 창업한다. 이후 68년 그가 만들어낸 Bose 901 Direct/Reflecting 스피커시스템은 25년간 베스트셀러가 되어 Bose가 자리잡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후 Bose는 노이즈캔슬링 헤드폰, 카스테레오시스템 등을 내놓으며 급성장한다.
-Bose Corporation은 비공개회사
2012년 매출이 2조8천억원정도로 추정되며 직원수도 1만명에 육박하는 Bose가 상장기업이 아니라는 것에도 놀랐다. 이것은 Bose박사가 장기적인 비전을 갖는 R&D를 위해서는 기업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매분기 실적을 발표해야하는 공개기업이 되면 월스트리트의 압력에 굴복해 단기실적을 맞추는데 급급하기 쉽다.
“I would have been fired a hundred times at a company run by M.B.A.’s. But I never went into business to make money. I went into business so that I could do interesting things that hadn’t been done before.”-Dr. Bose.
“MBA가 이끄는 회사에 있었다면 백번은 잘렸을 겁니다. 하지만 나는 결코 돈을 벌기 위해서 비즈니스를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흥미로운 것들을 해볼 수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를 시작한 겁니다.”-Dr. Bose.
-가르침에 대한 열정
그의 연구에 대한 열정 못지 않게 가르치는 것에 대한 열정도 대단했다. 그는 56년에 MIT교수가 된 이후 45년간 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의 강의는 특히 공학뿐만 아니라 인생이야기까지 곁들인 MIT에서 소문난 명강이었던 것 같다. 동료교수와 학생의 이야기.
“He talked not only about acoustics but about philosophy, personal behavior, what is important in life. He was somebody with extraordinary standards,” Professor Oppenheim said.
“그는 음향학뿐만 아니라 철학, 개인의 자세,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것에 대해서도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대단히 훌륭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His class gave me the courage to tackle high-risk problems and equipped me with the problem-solving skills I needed to be successful in several careers. Amar Bose taught me how to think.”
“그의 수업은 높은 위험을 가진 문제를 대처할 수 있는 용기와 여러 커리어에서 성공하는데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을 배울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아마르 보스는 ‘생각하는 방법’을 제게 가르쳐주었습니다.”
Bose교수는 엔지니어링에 대해 자세히 가르치면서도 풍부한 사례와 관련된 배경을 설명해서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자신의 소유주식 대부분을 MIT에 기부
2011년 그는 자신의 주식 대부분을 MIT에 기부했다. 다만 MIT는 매년 현금배당금을 받을뿐, 이 주식을 양도하거나 회사경영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조건이었다. ‘Majority stock’이라고 나와있으므로 이 주식에 Voting right이 있다면 회사경영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정도의 규모인 것 같다. 구체적인 기부금액은 대외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2008년 포브스 미국부자랭킹에서 15억불의 자산가치로 321위에 올랐을 정도의 부호였으므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MIT기부금액은 조단위 가치일 것이 분명하다.
그는 억만장자였지만 소박하게 살았다. 그가 2011년 한 영국신문 인터뷰에서 했다는 말이다.
“I don’t want a second house, I have one car, and that’s enough. These things don’t give me pleasure, but thinking about great little ideas gives me real pleasure.”
“나는 별장을 갖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차 한대가 있는데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그런 것들은 내게 기쁨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작지만 훌륭한 아이디어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 나의 진정한 즐거움입니다.”
그는 슬하에 자녀가 둘이 있는데 자식들에게 회사를 물려주려고 한 것 같지는 않다. 아들인 Vanu는 MIT를 공학전공으로 졸업하고 역시 아버지처럼 자신의 이름을 딴 회사 Vanu Inc를 창업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 같다.
참 멋진 인생, 멋진 부고기사다. 위 내용은 대충 요약한 것이니 원문을 한번 읽어보시길.
Amar G. Bose, Acoustic Engineer and Inventor, Dies at 83 (NYT)
시애틀-밴쿠버-캠브리지 도서관 구경하기
세계 어디에 가든 기회가 있으면 도서관구경을 즐기는 편이다. 책을 꼭 좋아해서라기보다는 일단 지친 발걸음을 쉴 수가 있고 인터넷을 무료로 쓸 수 있으며 가볍게 그 지역의 신문, 잡지, 책을 구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그 지역 주민의 모습과 함께 도서관건물과 분위기를 보면 그 도시가 얼마나 도서관을 소중히 여기는지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도서관구경을 즐긴다. 미국의 경우는 신기하게도 관광지 작은 마을에 가도 도서관이 있다. (미국의 도서관들은 대부분 로그인정보 없이 브라우저를 열고 약관동의만 하면 마음껏 쓸 수 있는 wifi가 무료 제공된다.)
렘 콜하스의 시애틀중앙도서관
최근 시애틀과 캐나다 밴쿠버를 갔는데 독특한 도서관을 만났다. 우선 시애틀시내에 있는 공공도서관.(사진은 위키피디아출처 사진 1장을 제외하고 모두 아이폰5(시애틀-밴쿠버), 아이폰4(캠브리지)로 직접 찍은 것. 사진을 누르면 확대됨)
외관이 정말 독특하다. 이 시애틀중앙도서관은 2004년 건립된 것으로 네델란드출신의 유명한 건축가 렘 콜하스가 디자인한 것이라고 한다. 아무 생각없이 시내를 걸어가다 우연히 만난 독특한 건물의 모습에 놀랐고 이 건물이 도서관인 것을 알고 또 놀랐다.
이날은 너무 날씨가 좋아서 그랬는지 햇볕이 가득 들어오는 내부의 모습도 좋았다.
각 층별로 곳곳에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있는데 특히 10층의 리딩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마치 무슨 피라밋안에 있는 느낌.
이 도서관을 건립하는데 굉장히 큰 예산이 소요됐을 것 같아서 찾아보니 98년 시민투표에 의해 도서관건립계획이 통과됐고 자그마치 거의 2억불의 채권이 발행되서 비용을 충당했다고 한다. 하여간 놀랐다. Pike Place Market에서도 멀지않은 곳에 있으니 시애틀을 방문하시는 분들은 꼭 한번 찾아가서 1층부터 11층까지 올라가보시길.
로마 콜로세움을 닮은 벤쿠버중앙도서관
밴쿠버의 도서관도 독특했다. 한겨레 구본권기자님이 트윗으로 알려주셔서 지나가다가 한번 들러봤다. (밴쿠버도서관은 미국의 도서관과 달리 wifi를 사용하는데 로그인을 요구했다. 다만 카운터에 이야기하니 id를 확인하고 바로 wifi용 아이디를 발급해주기는 했다.)
오른쪽이 로마의 콜로세움모습으로 생긴 9층짜리 밴쿠버중앙도서관이고 왼쪽이 오피스빌딩이다. 밴쿠버시는 도서관건립을 위한 재원충당을 위해 왼쪽 건물을 같이 짓고 장기 리스를 하고 있다고 한다.
도서관입구를 들어서면 한쪽은 도서관, 한쪽은 오피스빌딩으로 들어가는 아트리움이 나온다.
하지만 도서관 내부는 평범한, 일반적인 도서관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도서관 상층부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 모습. 콜로시움 모양의 외벽안에 이렇게 빈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120년의 시간이 공존하는 캠브리지도서관
이렇게 도서관을 구경하다보니 1년전까지 내가 살다가 온 보스턴쪽에서 본 인상적인 도서관이 하나 떠올랐다. 하버드와 MIT가 있는 캠브리지지역의 도서관. 위치도 하버드와 MIT의 정확히 중간쯤에 있는 도서관이다.
유서깊은 이 도서관빌딩은 1888년, 즉 125년전에 개관한 것이다. 캠브리지시는 이 역사적인 건축물을 그대로 살리면서 도서관을 확장하는 계획을 세워 새로운 도서관건물을 2009년도에 개관한다.
그 모습은 위와 같다. 신기해서 처음봤을때 이렇게 파노라마사진으로 찍어두었다. 120년짜리 건물옆에 현대적인 건물을 이어서 붙인 것이다.(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새 도서관건물의 외관도 멋지다.
건물도 멋지지만 이런 지역도서관이 훌륭한 것은 지역주민들과 밀착되어 있고 개방적이라는 것이다. 길을 걷다보면 도시나 마을 한가운데 위치한 도서관에 쉽게 들어갈 수 있고 마음껏 책이나 DVD등을 빌려볼 수 있다. 인터넷이나 컴퓨터 사용도 자유롭다. 도서카드를 만들면 빌려갈 수 있는 책의 숫자도 너그러워서 (쿠퍼티노 우리 동네 도서관의 경우) 동시에 1백개의 아이템까지 체크아웃할 수 있다고 해서 깜짝 놀란 적이 있다. 꼭 그 지역주민이 아닌 지나가던 여행객들도 들어가서 인터넷을 쓰고 책을 뒤져보는 것은 자유다. 어린이코너도 잘 되어 있어서 애들을 데리고 가서 마음껏 책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한국의 도서관은 그 숫자에서도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런 개방적인 분위기도 부족한 것 같아서 아쉬웠다. 마침 옛 서울시청건물이 도서관으로 탈바꿈했다고 해서 이번에 한국에 방문하면 꼭 가볼 생각이다. 기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