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1월 8th, 2019
중국 윈난성 여행 – 다리(3/4)
리장에 이어 이번에는 다리에 저녁에 도착했다. 옛날 남조와 대리국의 수도인 다리는 해발 2천미터에 있는 인구 60만의 도시다. 사람에 따라 누구는 리장고성을 더 좋아하고 누구는 다리고성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리장고성이 내게는 너무 멋졌기에 다리고성은 어떤지 사실 궁금했다.

다리고성은 좀 더 넓고 큰 느낌이다. 리장고성 같은 아기자기한 골목길의 맛은 없는 것 같았다.

고성전체가 관광지화되어서 현지인의 생활모습을 느끼기 어려웠던 리장고성과 달리 다리고성은 현지 주민들이 많은 마을이었다. 고성안에 이처럼 학교들이 있다.

다리고성은 유독 이처럼 라이브무대가 있는 카페가 많이 보였다.

여기에도 과일가게가 많아서 한번 사먹어봤다. 프라스틱 바구니에 과일을 담으면 먹기 좋게 잘라준다. 그리고 무게를 재서 돈을 내면 된다.

이 정도해서 45위안. 7천원정도.

다음날은 다리의 유명한 사찰인 숭성사 삼탑을 보러갔다. 이 탑 3개뿐인가 하고 들어갔는데…

그 뒤로 따라 올라가면서 사찰이 이어진다. 저 사찰건물에 가면 그 뒤에 또, 또, 또…



한 1km가까이 올라간 것 같다. 위에서 내려다보니 저 멀리 얼하이호수가 보인다. 날씨가 정말 좋다. 햇살이 너무 강하다.

디디를 타고 다리고성으로 돌아왔다. 얼하이호수도 있고 주변에 갈만한 곳은 많지만 다음 기회로 미루고 고성을 조금 더 둘러보기로 했다. 이처럼 고성의 옛 문이 남아있다.

견공들은 어디에서나 여유롭다.


하지만 좀 실망한 것은… 내부 번화가인 인민로 등이 온통 공사판이다. 대대적인 리뉴얼공사가 한창이다. 관광인프라개발이 한창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저녁에는 다리의 전통음식을 먹어볼까 싶어서 단공자라는 식당에 갔다. 대리국은 단왕조가 지배했다. 김용의 천룡팔부에도 단예인가 단공자가 나오는데 그 생각을 하면서 방문했다.


주문을 잘 못해서 그런지 음식은 쏘쏘. 다리 맥주도 조금 맛보다.

번화한 다리고성의 밤거리 모습.


바이족이라는 다리 소수민족들의 모습이 활기차다.

너무 주마간산으로 본 다리고성. 리장고성만큼 매력적이지는 않았는데 우리가 충분히 시간을 들여서 제대로 둘러보지 못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다음에 다시 한번 와볼 생각을 하고 다리역으로 가서 이번에는 쿤밍으로 돌아가는 열차를 탔다.

예전에는 6~8시간 걸린다는 구간을 2시간으로 단축한 열차다. 고속철(가오티에)라고 생각했는데 그건 아니고 동차(동처)라고 한다. 시속 200km정도로 달린다. 어쨌든 편하고 빠르게 쿤밍으로 돌아왔다.

다음은 다시 복귀한 쿤밍편.
30년 동안 최저임금과 봉제업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지난주 JTBC 토론 프로그램에서 최저임금 이슈를 꺼냈다. “(어느 신문에서) 기사를 읽었는데 최저임금이 너무 많이 올라 30년 함께 일해 온 직원을 눈물을 머금고 해고했다더라. 그런데 내가 눈물이 났다. 어떻게 30년을 한 직장에서 데리고 일을 시켰는데 30년 동안 최저임금을 줄 수 있느냐”라는 말이었다. 같이 보던 내 아내도 웃으며 “맞아.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라며 사이다 발언이란다. 온라인에서도 최저임금도 못 줄 바에는 사업을 때려치우라는 댓글이 많이 보였다. 이 발언을 담은 유튜브 동영상은 조회수가 벌써 70만뷰가 넘었다.
나도 “아니 어떻게 30년 동안 최저임금만을 줄 수가 있지”라며 기가 막혀 했다. 하지만 내 경험상 세상일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기업인들만 비난할 수 있을까. 문득 궁금해져서 유 이사장이 언급한 기사를 찾아봤다. 지난달 25일 동아일보에 실린 “30년 함께한 숙련기술자 내보내… 정부 눈귀 있는지 묻고 싶어”라는 제목의 기사였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의 부작용을 지적한 이 기사에 소개된 중랑구의 봉제업자 김동석씨는 직원 월급 주고 납품비를 맞추려고 사채까지 쓰고 개인파산까지 신청했다고 나온다. 그의 회사의 직원 23명 중 최저임금을 받는 직원은 30~40년 호흡을 맞춘 6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직원은 최저임금보다 더 낮은 임금을 받는다. 기사에 인용된 다른 중소업체 사장들도 인건비 부담으로 숙련된 기술자를 내보낸단다. 과연 봉제업자 김씨가 본인은 호의호식하면서 수십년 같이 일하던 직원들에게 최저임금 이하를 주는 나쁜 사장일까 싶어서 더 정보를 찾아봤다. 의외로 쉽게 찾았다.
유튜브에 ‘봉제 경력 40년차, 공장 운영 25년차 부부’라며 최은자·김동석 부부의 구술 동영상이 나온다. 평소에도 봉제업계의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미디어에 말해 온 사람들이었다.
인터뷰를 들어 보니 부부가 평생 봉제업만 해 온 분들이다.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 부부는 물론이고 아들 둘까지 공장에 나가서 일을 한다. 내부 직원이 23명이고 외부 하청 직원이 25~30명 된다고 한다. 거의 50~60명의 일자리를 책임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요즘 너무 어렵다. 납품 단가가 너무 낮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횡포라기보다는 세계화의 문제다. 중국, 베트남 등과 생산원가에서 경쟁이 안 된다. 김씨는 “내가 입고 있는 이 옷을 국내에서 생산하면 공임을 한 8000원 줘야 하는데 베트남에서 만들어 오면 2000원이면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렇게 해외에서 만들어 온 제품은 세금도 안 낸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랑구에만 6000곳에 이르는 봉제업체들이 한계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런 분들에게 어떻게 직원들에게 최저임금도 못 주냐고, 그런 사업이라면 접는 것이 낫지 않으냐고 쉽게 매도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했다. 물론 이들의 어려움이 꼭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때문은 아니다. 변하는 기업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력으로만 되는 일도 아니다. 세상이 너무 빠르게 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동안 수십년 동안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들며 돈을 벌고, 세금을 내고, 직원들에게 월급을 준 사람들을 비난하기에는 마음이 불편했다.
최저임금 인상이 원인이다, 아니다를 가지고 언론부터 수많은 곳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파적으로 갈라져 싸우기에 앞서 실제 현장에서 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 들여다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원인은 항상 복합적이다. 정부는 모든 지역, 업종에 일률적으로 정책을 적용하기보다 업종별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맞춤형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찾아봤으면 한다.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치열하고 빠르게 제품을 개선해 가는 스타트업의 성장 방법과 문제해결 능력을 공공부문도 배워 볼 필요가 있다.

스타트업 ‘잇츠팩토리’는 1000개 봉제공장과 제휴해 공장에서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옷을 저렴하게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패브릭타임은 동대문 원단을 해외 바이어들이 온라인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 DB 플랫폼 ‘스와치온’을 만들었다. 이런 시도를 찾아 응원하고 이용해 주는 것이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 아닐까. 흥분해 감정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문제를 냉정히 분석하고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며 “당신을 응원한다”는 긍정의 에너지를 퍼붓는 사회로 분위기가 바뀌었으면 한다.
서울신문에 칼럼으로 기고한 글을 블로그에 재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