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Archive for 4월 18th, 2010

미국의 베스트셀러는 얼마나 많이 E-Book으로 존재할까?

with 8 comments

디지털시대로 본격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요즘, 우리는 전자책이나 종이책이냐 하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다. 사실 전자책시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한국시장에서도 미국의 아마존 킨들, 애플의 아이패드 등의 이야기들이 들려오면서 관심이 부쩍 높아진 듯 싶다. 그리고 아이리버스토리나 인터파크 비스킷 등의 전자책리더들이 나오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옛날부터 전자책이란 매체에 대해 관심이 높던 나에게 가장 중요한 전자책의 성공요소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충분한 콘텐츠’라고 할 것이다. 거의 7~8년전 일본 소니가 처음 내놓은 E-Ink기반 스크린을 탑재한 ‘리브리에’를 일본 전자양판점에서 만져보면서 가진 첫번째 의문은 “이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충분한 콘텐츠가 있는가?”였다. 일반 소설이든 만화든 다 좋다. 무엇보다도 최신 베스트셀러를 전자책으로 바로 읽을 수 있다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리브리에의 경우는 그렇지 못했다. 전용 소프트웨어도 사용하기 불편한데다 세간의 인기 베스트셀러를 ‘리브리에’를 통해 전혀 볼 수 없는데 성공할리가 만무했다. 그렇듯 시도는 빨랐던 일본의 전자책리더는 금새 관심권에서 멀어져갔고 결국 실패했다.

그런 면에서 아마존 킨들의 성공은 사용하기 쉬운 훌륭한 디바이스의 완성도, 무료 와이어리스 다운로드가 가능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탓도 크지만 무엇보다도 아마존의 강력한 힘으로 이룩한 폭넓은 전자책콘텐츠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마침 오늘 코스트코에 장을 보러갔다가 코스트코의 도서코너를 보고 호기심이 발동했다. 코스트코의 도서코너라면 이른바 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갖고 잘 팔릴만한 책들을 골라 염가로 파는 코너다. 그야말로 미국의 보통사람들이 원하는 책들이 그대로 진열되어 있는 곳이다. 최소한 킨들이나 아이패드 같은 전자책 리더를 구입한 사람이라면 이런 곳에서 살 수 있는 책을 전자책으로도 다 구할 수 있어야 전자책의 매력이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이 미쳤다.

그래서 충동적으로 진열된 하드커버 책들의 사진을 찍고 집에 가서 이 책들이 전자책버전으로도 존재하는지 확인해보고 싶어졌다. (정말 쓸데없는 호기심이다…ㅠ.ㅠ) 아래 보이는 6컷을 찍었다.

집에 와서 정리해보니 내가 찍어온 총  6컷의 사진에는 22권의 책이 등장한다. 책 제목으로 한권한권 아마존에서 모두 검색해봤다.

그 결과 22권의 책중 전자책버전이 존재하지 않은 책은 2권 뿐이다. 마이클 루이스의 The Big Short(이건 확실히 베스트셀러)와 Women food and god라는 책. 그리고  나머지 20권은 모두 Kindle버전으로 전자책이 존재한다. 그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The help
Solar
Every last one
The pacific
Deception
2010 take back america
The bridge
Courage and consequence
The silent sea
Tudors
The creation of eve
The last time I saw you
The immortal life of Henrietta lacks
That’s no angry mob, that’s my mom
The walk
Beatrice and virgil
Mandela’s way
House rules
Matterhorn
Oprah

The Bridge의 아마존 구매 페이지. 킨들버전과 하드커버버전이 나란히 존재한다

사실 위 실험(?)을 해보고 내가 놀랐다. 킨들을 산 것은 사실 1년전인데 그때만 해도 킨들버전으로 존재하지 않는 책이 절반 이상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이번에도 사실 많은 책들이 전자책버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일년동안 이 정도의 진전을 이룬 것이다. 이 정도라면 거의 모든 베스트셀러가 킨들버전으로 지원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킨들을 산 뒤 “아 그 책 읽고 싶은데 전자책으로 없어서 살 수 가 없었어”라고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위 리스트에서 내가 읽어보고 싶은 책도 많았는데 이미 다 전자책으로 제공되고 있다. 전자책으로 제공되지 않는 2권도 오래 지나지 않아 곧 전자책으로 나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일일이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위 책들의 대부분은 아직 애플의 iBooks를 통해서 제공되지는 않는다. 항간에 알려진 것처럼 애플의 iBooks는 5만권, 아마존 킨들은 45만권의 전자책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사실 이런 점을 생각해보면 아이패드 발매와 동시에 아마존 킨들앱을 아이패드 버전으로 출시한 아마존이 사실 애플을 도와준 셈이 된다.

아이패드에 집어넣은 'The Bridge'

킨들 아이패드앱이 없었으면 아이패드를 구입해도 위에 열거된 베스트셀러들을 아이패드로 구입해 읽을 방법이 (당장은) 없다.

어쨌든 미국의 책을 즐기는 독서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위에 소개한 하드커버 책들은 가격도 가격이지만 일단 크고 두껍다. 대부분 300페이지 이상되는 책들은 킨들보다 무겁고 두껍다. 2권만 포개서 가지고 다닌다고 하면 아이패드보다 크고 두껍다.

실용적인 경향이 강한 미국인들 입장에서 이 정도라면 전자책리더를 구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킨들이 잘나가고 그리고 최근 발표된 아이패드가 대 선풍을 일으키는 이유중 하나는 이처럼 ‘콘텐츠’가 받쳐주기 때문이다.

물론 종이책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 아래서라면 매년 종이책의 매출은 큰 폭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미국의 출판업계가 전자책에 전력투구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Written by estima7

2010년 4월 18일 at 11:25 pm

iPad, Webtrends에 게시됨

Tagged with , ,

구글의 각국별 추천검색어 결과

with 5 comments

어제 구글서치 추천검색어의 정교함이란 포스팅을 하고 다시 한번 글로벌서비스로서의 구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됐다. 거의 전세계, 모든 언어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같은 영어라는 언어를 쓰더라도 사는 나라, 그 나라안에서의 지역에 따라 다른 유저들의 취향에 맞춰서 검색결과를 제공해줘야한다는 것. 이런 무시무시한 과제를 정면으로 도전해서 풀어나가는 회사.

방금도 National Grid라는 Utility(전기, 난방 공급)회사의 개스고지서를 납부하고 나서 아무 생각없이 구글검색을 하다가 다시 한번 특화된 정교한 구글검색의 파워를 느꼈다. 구글검색창에 ‘n’을 입력하니….

위 추천검색어의 절반은 전국적인 인기검색어이지만 절반은 보스턴지역에 집중된 검색어이다. National Grid는 뉴잉글랜드의 Utility 회사, 노스이스턴대학은 보스턴에 소재한 대학, NECN은 뉴잉글랜드로컬방송국, Nstar도 지역 Utility회사. 즉 정확히 이야기하면 떠오른 10개의 추천검색어중 4개는 보스턴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다. 주로 생활속에서 필요해서 검색하는 사이트가 나오는 것 같다.

이번엔 ‘b’

확실히 지역신문인 Boston globe, Boston Herald와 Boston weather는 로컬키워드인듯.

참고로 Bing.com에서 n을 눌러보면 역시 이런 지역화설정은 되어 있지 않은 듯 싶다.

갑자기 호기심이 발동해서 구글코리아에서 n을 입력하면 어떨까 해봤음.

한국에 완전히 최적화됐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네이버가 나오는 부분은 조금 지역화설정이 반영된듯. d, c 등을 눌러보니 다음, 싸이월드 등이 나오기는 함.

이번엔 구글재팬에서 b를 눌러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일본어를 입력할때 로마자 알파벳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선호하기에 영문자 b를 입력해도 이같은 검색추천어가 뜨는 듯. 빅카메라, 북오프 등 대형 소매체인과 함께 다양한 인기검색어가 뜨는 듯.

마지막으로 영국의 경우를 구글UK로 약간 테스트. b를 입력하자 당연히 영국최대의 방송사인 bbc관련된 검색추천이 대부분 떠오름. 그밖에 Boots는 영국의 약국체인, Bebo는 영국에서 인기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등…

유저가 위치한 곳에 따라서 추천검색어를 다르게 보여준다는 것. 사실 당연한 것이지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이렇게 대단한 서비스를 만들어나가는 구글이 부럽기도 하고… 이처럼 글로벌한 서치 데이터를 쌓아 서비스에 응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각국의 로컬검색엔진들은 어떻게 구글과 검색해야할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MS Bing의 경우도 따지고 보면 거의 US Only서비스이지 미국외의 마켓쉐어는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국경이 사라져가는 시대에 이같은 국경을 넘어선 구글의 검색경쟁력은 갈수록 빛을 발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Written by estima7

2010년 4월 18일 at 9:55 pm

Webtrends에 게시됨

Tagged wi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