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4월 16th, 2010
구글서치 추천검색어의 정교함
미국에서 인터넷을 쓰면서 가끔씩 감탄하는 것은 로컬타겟팅의 정교함이다. 각종 애드네트워크들이나 구글 애드센스 등이 내가 어디 있는 사람인지 정확하게 알고 타켓팅해서 광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도 그런 광고가 있고 선거때가 되면 지역구별로 많이 집행이 되기는 한다. 하지만 한국은 작은 나라인만큼 지역에 타겟팅한 광고를 그렇게 열심히 내보내는 것 같지도 않고 광고주들도 큰 관심이 없다.
그래서 미국에서 한국사이트들을 들어가봐도 대부분 미국에서보면 무의미한 광고가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꼭 광고뿐이 아니다. 구글에서 검색을 하다보면 그 세심함에 놀랄때가 있다. 특히 검색창에 알파벳을 불과 몇자만 입력해도 내가 뭘 찾으려고 하는지 척척 예측해서 보여줄때는 감탄스러울때가 있다. 마침 오늘, 이 기능 관련된 구글의 블로그포스팅이 있었길래 그 내용과 내 경험을 섞어서 간단히 소개해본다.
예를 들어 위는 아일랜드에서 ‘Pubs’라는 단어를 검색했을 때 나타나는 검색추천어들이다. 당연하게도 dublin이 맨 위에 나타난다. 그리고 Cork, Galway 모두 아일랜드의 대도시들이다.
그런데 보스턴에서 ‘Pubs’를 검색하면 이렇게 나온다. Newton, Cambridge, Waltham 모두 보스턴 인근 지역이다. 역시 그 지역에서 많이 검색하는 빈도수 순서로 검색어추천이 나오는 듯 싶다.
샌프란시스코에서 ‘Bart’를 검색하면 위와 같이 나온다. Bart는 샌프란시스코의 전철시스템으로 Bay Area Rapid Transit의 약자다. 하지만 Bart는 사실 유명 애니메이션 Simpsons의 Bart Simpson으로 유명하기도 하다. 보스턴에서 검색하면?
확실히 샌프란시스코에서 검색한 것과는 아주 다른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인 바트스투팩, 교수 바트 얼만 그리고 심슨즈의 바트 심슨 등의 이름이 나온다.
대형가구점인 아이키아(Ikea)를 검색할 때도 그렇다. 보스턴에서 검색하면 이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Ikea지점인 Stoughton이 같이 검색추천어로 뜬다. 다른 지역에서 검색하면 아마 그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이름이 추천으로 뜰 것이다.
역시 보스턴에서 Red를 검색창에 입력하면 ‘Red Sox’를 가장 먼저 추천해준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데스크탑 PC화면에서뿐만 아니라 모바일검색에서도 이런 법칙이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워낙 큰 나라고 로컬서치결과가 한국보다 휠씬 큰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검색이 발달한 것 같다.
그래도 어쨌든 생활속에서 쓰다보면 이런 점에서 쉽게 따라가기 어려운 구글의 경쟁력을 실감하게 된다.
이 포스팅을 쓰게 된 계기는 사실 며칠전 와이프의 한마디 때문이다. 와이프가 가구를 한번 보려고 검색을 시작했다. 그중 인근의 큰 가구점인 ‘Jordan’s Furniture’를 검색하려고 구글 검색창에 입력을 시작했다. 그런데,
‘jo’ 단 두 글자를 입력했을 뿐인데 Jordan’s furniture를 가장 위에 추천해준다. 와이프가 내게 “겨우 두 글자 입력했는데 벌써 내가 찾으려는 것을 알고 추천해주네”하고 감탄을 하길래 뭔가 보고 사실 내심 놀랐다. 아, 우리가 보스턴에서 검색하는 것을 알고 있구나! Jordan’s furniture는 매사추세츠와 뉴햄프셔에 5개의 지점을 가진 대형가구점으로 그외 지역 사람들에게는 거의 의미가 없다. 또 Jordan’s 안에 대형 IMAX극장이 입점해 있는데 그래서 이곳을 찾는 사람도 많다. 두번째 추천결과는 이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런 지역화, 개인화된 검색결과를 실제로 구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방대한 넓은 국토에서 실제로 엄청난 서치데이터를 밑바탕으로 해서 만들어나가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구글이 지치지 않고 검색에서 이런 혁신을 계속 해나가고 있다는 것이 다른 검색엔진과 격차를 벌리는 원인이다. 이런 혁신은 UI나 디자인개편으로 쉽게 보여지는 것이 아닌 어찌보면 엔진속에 알고리듬으로 숨어있는(Under the hood) 것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알아차리기는 쉽지 않다. 한국에 계신 분들도 구글을 생각할때 이런 부분까지 알기는 어렵지 않나 싶다.
한국의 경우는 ‘작은 나라’라고는 했지만 인구는 적지않고 검색양도 세계최고 수준이니 네이버, 다음 등이 구글이상의 특화된 한국에 맞는 혁신을 내놓기를 기대해본다.
Update : 생각난 김에 MS Bing과 Yahoo의 결과도 비교해보았다. 역시 예상대로 추천 검색어에 구글같은 지역에 따른 배려는 들어있지 않은 듯 싶다.
역시 지역에 특화된 결과를 보여준다기보다는 일반적인 검색어추천을 하고 있다. Pubs을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특히 많이 검색하는 모양.
가구점 Ikea의 경우도 마찬가지. 역시 Bing검색이 MS본사가 있는 시애틀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모양인지 시애틀이 추천검색어로 들어있는 것이 특이하다.
야후도 마찬가지인데 왜 싱가폴이 나오는지는 좀 의문.
역시 Ikea도 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