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4월 2013
구글글래스의 가능성
어제 아이패드의 넷플릭스앱으로 침대에 누워서 ‘하우스오브카드’를 보다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는 단어를 만났다. “Valedictorian”.(내가 어휘력이 좀 약하다.) 주인공 케빈 스페이시의 아내역으로 나오는 로빈 라이트가 대사중에 한 말인데 무슨 뜻인가 궁금했다.
순간적으로 Pause버튼을 누르고 옆의 아이폰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구글앱에서 바로 음성검색을 했다. “밸러딕토리언, Meaning” 들린대로 그대로 따라서 발음해서 검색해본 것이다.
그러자 즉각 위와 같은 결과화면이 뜨면서 이 단어의 사전적인 뜻을 여성의 목소리로 유창하게 말해주는 것이었다. 아, 이게 ‘졸업식 축사 대표학생’이란 뜻이구나 하고 바로 드라마를 이어서 볼 수 있었다.
이렇게 검색을 해보면서 솔직히 구글글래스가 나오면 정말 편리하겠다 싶었다. 구글글래스를 쓰고 TV를 보다가 모르는 내용이 나오면 가볍게 안경을 두드리고 “Google, valedictorian meaning”, 이렇게 말을 하면 바로 뜻을 설명해줄 것이 아닌가. 그동안은 스마트폰을 꺼내서 타이핑을 해서 정보를 찾았는데 이제는 정말 음성검색이 구글글래스를 통해서 본격적으로 일반화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글글래스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 1분짜리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좋다.
구글글래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미래는 또 어떤 세상이 될 것인가. 이제 알라딘의 램프처럼 안경을 쓰다듬고 말만하면 뭐든지 다 할 수 있는 세상이 열리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 정말 혁신을 쫓아가기 숨가쁜 세상이다.
너무 자주 바뀌는 정부홈페이지주소
개인적으로 너무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조직개편으로 인해 정부의 홈페이지가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것이다. (물론 일관성없이 잦은 정부조직개편자체가 더 문제기는 하다. 5년마다 매번 헤쳐모여를 다시하는 공무원들이 안쓰럽다.)
원래 90년대 중반에 정보통신부 출입기자를 잠시 한데다 이후 계속해서 IT업계에 있었던 덕분에 계속해서 인연을 이어가는 정부분들이 많다. 그런데 요즘엔 만날 때마다 그 분들이 속한 부처이름이 헷갈린다.
특히 안타까운 것은 이제는 많은 정보가 종이가 아닌 처음부터 디지털로 만들어지고 인터넷에 남는 시대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5년마다 부처 홈페이지주소가 바뀌면서 큰 혼란을 겪고 많은 자료가 유실되는 것 같다는 점이다. 사실 굉장히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관심을 가지는 언론이나 사람들이 없다.
그래서 갑자기 궁금해져서 나와 관련이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홈페이지가 최근 십수년간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미국과 비교해서) 한번 찾아봤다.
우선 산업통상자원부를 대상으로 대충해본 비교다. 웹은 9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며 대략 97년경부터 한국정부부처의 홈페이지가 개설되기 시작한 것 같다. 통상산업부의 경우 97년5월에 처음 홈페이지가 개설됐다고 나와있다. 부처이름의 변화에 따라 motie.go.kr에서 mocie.go.kr이 됐다가 mke.go.kr가 됐다가 흥미롭게도 다시 처음의 motie.go.kr로 돌아왔다. 반면 대략 미국의 대응되는 정부부처라고 할 수 있는 상무부는 110년동안, 에너지부는 36년간 이름이 바뀌지 않았다. 인터넷시대이래 홈페이지주소가 한번도 바뀌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이번엔 미래창조과학부의 사례를 보자.
그래도 이쪽은 94년 체신부에서 이름을 바꾼 정보통신부가 14년간이나 지속됐다. mic.go.kr에 그래도 자료도 많이 축적됐을 것이다. 그런데 2008년 정통부가 폐지되고 방송통신위원회로 통합되면서 모든 정보가 다시 헤쳐모여 하게 됐다. 예전의 방송위원회(kbc.go.kr) 홈페이지에 mic.go.kr가 통합된 kcc.go.kr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미래창조과학부가 출범하면서 옛 정통부의 홈페이지정보는 다시 msip.go.kr로 재편성된다. 재미있는 것은 미래부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방송통신위원회는 그대로 존속하면서 kcc.go.kr 홈페이지는 그대로 있다는 점이다. 헷갈리는 국민들을 위해서 친절하게도 옛날 방통위의 정보는 “구방송통신위원회”(old.kcc.go.kr)에 보존되어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대략 비슷한 업무를 하는 미국의 관련부처로는 FCC와 미국과학재단이 있다. 정확히는 미정부산하 독립에이전시다. FCC는 1934년에 라디오전파규제를 목적으로 생긴 기관인데 이후 엄청난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한번도 바뀌지 않았다.
그럼 이렇게 정부부처의 홈페이지주소가 자주 바뀌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 두가지만 꼽아보겠다.
첫번째, 홈페이지 도메인이 바뀌면 우선 수많은 데드링크가 양산된다. 그리고 정보를 찾아주는 검색엔진에 큰 혼란을 준다.
특정 URL로 상대방에게 정보가 있는 링크를 보내줬는데 갑자기 그 웹주소가 연결이 안된다고 해보자. 얼마나 큰 손실일까. 대한민국 정부부처의 정보가 있는 URL은 이미 수많은 언론, 학계의 웹사이트에 링크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또 그 정부부처페이지가 네이버, 다음, 구글같은 검색엔진에서 잘 찾아지도록 오랫동안 최적화가 됐을 것이다. 그런데 도메인이 바뀌면 모든 것이 도로아미타불이 될 수 있다.
즉, 처음부터 다시해야하는 것이다. 이렇게 주소가 바뀌면 검색으로 정보를 찾아서 보아왔을 국민입장에서도 큰 혼란이 아닐 수 없다. 링크가 많이 걸려있는 순서로 가중치를 주는 페이지랭크기술이 핵심인 구글의 경우에도 이처럼 웹주소가 자주 바뀌는 정부페이지라면 제대로 정보를 인덱싱해서 제공하기 어렵다. 정부홈페이지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찾기 어렵다면 누가 손해일까? 국민이 손해다.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FCC의장 줄리우스 지나쵸우스키의 이름을 구글에서 검색하면 FCC홈페이지의 그의 소개페이지가 위키피디아정보에 이어 두번째로 뜬다.
반면 미래창조과학부 최문기장관의 이름을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얼핏보면 바로 결과가 잘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첫페이지 어디를 찾아봐도 미래창조과학부의 홈페이지링크는 없다. 아마도 새로 생긴 페이지라서 잘 검색이 안되는 것일 것이다. (또 한가지 이유가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소개페이지가 텍스트가 아니고 통이미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제대로 인덱싱할 방법이 없다. 이처럼 텍스트를 안쓰고 이미지를 남발하는 것도 한국인터넷의 비극이다.)
두번째로는 그 홈페이지 도메인으로 실제 업무를 하는 부처직원들의 혼란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자주 자신이 속한 조직의 홈페이지가 바뀐다면 그 도메인으로 이메일주소를 사용해오던 공무원들에게도 낭패가 아닐 수 없다. 국제회의에 참석하면서도 다른 나라공무원들에게 자신의 이메일주소를 많이 알렸을텐데 역시 혼란이 생길 수 있다. 많은 공무원들이 부처에서 부여받은 공식이메일을 쓰지 않고 민간 웹메일을 사용하는 이유가 이해가 간다. 내가 만나본 많은 공무원들이 명함에 정부 이메일주소가 아닌 한메일, 네이버메일, 지메일을 쓰고 있었다. 이유를 물어보면 정부이메일은 불편해서였다. 하지만 중요한 다른 이유로 그 주소가 몇년만에 너무 자주 바뀌는 것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옛날 도메인으로 연결해도 자동으로 새로운 주소로 포워딩해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웹주소와 이메일주소를 정확히 새로운 주소로 자동 포워딩해주는 것은 쉽지 않다. 몇년이 지나면 옛날 주소는 그냥 데드링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내가 테스트삼아 찾아본 옛날 웹주소는 더이상 유효하지 않았고, 정통부의 옛날 지인들에게 보낸 메일은 그대로 튕겨져 왔다.
내 경험상 잦은 조직개편은 조직원들에게 정말 큰 스트레스다. 일관성있는 조직운영이 필요한 이유다. 매번 조직개편이 있을 때마다 사무실을 이전하면서 자료는 유실되고 가구는 너덜너덜해지고 조직원들의 마음은 피폐해진다. 매 5년마다 모든 부처의 이름을 바꾸고 홈페이지도 쇄신(?)하면서 조직원들을 괴롭게 할 셈인가? 좀 단순한 이름을 지닌 부처를 거느린 일관성있는 정부를 가졌으면 좋겠다.
모든 것을 다 찍는 경찰의 소형비디오카메라-엑손 플렉스
일년전 시사인칼럼에서 “테이저건 만든 회사의 으스스한 신제품” 칼럼을 통해 미국경찰이 도입을 고려중인 선글래스에 붙이는 담배 한개비 크기의 비디오카메라를 소개한 일이 있다. 마치 스마트폰 역할을 하는 카메라가 달린 구글글래스를 연상케하는 제품이다.
전기충격기 테이저건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테이저인터내셔널이 내놓은 ‘엑손 플렉스 비디오카메라’라는 이 제품은 경찰관의 선글래스에 장착해서 2시간 분량의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경관이 시민에게 법집행을 하는 현장의 일거수일투족을 경관의 시선에서 녹화할 수 있는 이 제품이 실제로 경찰에 보급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궁금했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일년이 지난 지금 실제 이 제품을 도입해 사용한 한 미국지방경찰의 사례가 공개되었다. 경찰 한명한명이 소위 ‘블랙박스’를 달고다니면 어떤 변화가 나올지 뉴욕타임즈기사와 리알토시의 자료(PDF)를 참고해 소개한다.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근교 리알토시의 경찰서장 월리엄 파러씨는 일년전 자청해서 이 실험에 나섰다. 비디오카메라로 경찰의 활동을 낱낱이 기록하는 것이 경찰과 시민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는가를 평가해 보기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비디오카메라를 착용한 경관들에 대해 시민들의 불만접수와 불미스러운 사고건수가 줄어드는가를 측정하기로 했다.
그래서 2012년 2월부터 인구 10만의 이 도시에 근무하는 54명 제복경관중 절반을 매일 무작위로 선택해 이 카메라를 착용하게 했다. 물론 “빅브라더의 감시를 받기 싫다”는 경관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요즘은 모르는 사이에 시민들에게 경찰에게 불리한 장면이 찍히는 경우가 많다. 차라리 그런 경우를 대비해서 경찰쪽에서 완전하게 상황을 찍어놓는 것이 낫다”고 설득했다.
그래서 시민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했다. 근무가 끝난 경관은 경찰서에 돌아와 이 카메라를 충전기에 꼽으면 자동으로 그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되어 evidence.com이라는 클라우드서비스에 올라가 증거자료로서 자동분류, 보관된다. 이후 단순히 법규를 위반한 시민을 검문하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긴박하게 범인을 뒤쫓는 영상등 수많은 자료가 실시간으로 쌓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 카메라에는 “Pre-event video recording”이란 비디오버퍼가 있어서 녹화버튼을 누른 시점에서 30초전의 영상부터 녹화가 된다는 것이다. 덕분에 어떤 상황에서 동영상을 찍기 시작했는지 맥락 파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를 도입한 이후 1년간의 결과는 놀랍다. 도입 이전과 비교해서 시민들의 경관에 대한 불평민원신고가 88% 줄어들었다. 그 뿐이 아니다. 경관이 법집행을 위해서 무력을 사용한 경우도 60% 줄어들었다. 설사 무력이 사용된 경우도 카메라를 착용하지 않았던 경우가 착용한 경우보다 2배 높았다. 카메라를 착용했을 경우 경관이 법집행과정에서 행동을 조심하려 한 것이 역력한 것이다.
카메라의 존재를 의식한 시민들도 행동을 조심하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카메라의 모습이 드러나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순전히 자기중심적으로 민원을 제기했다가 동영상을 보고 순순히 물러난 경우도 있었다. 이 동영상을 계속 관찰해온 경관은 인터뷰에서 “카메라로 찍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마자 시민들의 태도도 바로 변한다. 온순하게 행동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는 이 NYT기사를 읽으면서 이런 내용이 앞으로 구글글래스같은 안경형 스마트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된 세상이 어떻게 될지 힌트를 준다고 생각했다. 상대방의 안경이나 시계 등에 달린 카메라가 나도 모르게 나의 모습을 항상 촬영하고 즉시 인터넷에 올리는 세상이 되는 것이다. 물론 상대방의 양해없이는 촬영을 못하게 하는 방법이 나오겠지만 빈틈을 타서 사방에서 모습이 찍히고 내 목소리가 녹음당하는 세상이 올 것이다. 프라이버시의 종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온세상 사람들의 시선이 다 카메라가 되는 세상이 되니까 말이다. 리알토 경찰의 사례처럼 구글글래스가 보급되면 사람들이 좀더 자신의 말과 행동에 대해서 조심하게 될지도 모른다.
어쨌든 경찰이 법집행과정에서 카메라를 착용하는 것은 부정적인 면보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더 있지 않을까 싶다. 공공기관의 법집행은 투명하게 하면 할수록 좋기 때문이다. 테이저사에는 미전역의 경찰에서 이 비디오카메라의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나도 앞으로 경찰을 만날 때는 내 모습이 촬영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조심해야겠다.
테이저인터내셔널의 ‘엑손 플렉스 비디오카메라’홍보동영상.
항공기 승무원의 법칙
기내식으로 제공되는 라면에 대해 불평을 하면서 항공기 승무원에게 행패를 부린 대기업 상무 이야기가 대화제다. 처음에는 방송 단신으로 임원의 실명과 구체적인 내용 없이 몇 줄만 가볍게 보도됐던 것이 트위터, 인터넷커뮤니티를 통해 실명과 항공사의 내부 대응 기록문건이 퍼지면서 일파만파가 됐다. 뜻밖에도 많은 이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그 임원의 고약한 행동에 분노의 감정을 표출했다. 아마도 평소 직장에서 그런 상사를 접한 경험이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닐까.
그러다 트위터를 통해서 ‘웨이터의 법칙’이라는 말을 접하게 되었다. 데이브 배리라는 작가의 글에서 유래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만약 누군가가 당신에게는 잘 대해주지만 웨이터에게는 거만하게 행동한다면 그는 좋은 사람이 아니다.”
이 말은 미국의 시이오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일종의 불문율이라고 한다. 시이오가 회사의 임원을 뽑을 때 꼭 명심해야 할 말이라는 것이다.
시이오가 회사 내부나 바깥의 누군가와 식사할 때는 다들 그가 중요한 사람이기 때문에 잘 보이려고 예의를 다해서 행동한다. 시이오에게는 누구나 좋은 사람으로 느껴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식사 상대가 웨이터를 어떻게 대하는지를 자세히 보면 그 사람의 진짜 성품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보다 지위가 낮다고 사회적 약자에게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직장에서도 부하들에게 비슷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자기도 모르게 권위적인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서 웨이터뿐만 아니라 호텔 종업원, 경비원, 청소원 등 서비스업 종사자들을 하인 부리듯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회사에서 많은 사람을 이끌어야 하는 시이오나 임원의 자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2006년 이 웨이터의 법칙을 소개한 <유에스에이 투데이> 기사에서는 웨이터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하려고 하는 사람일수록 “난 이 레스토랑을 사버리고 널 잘라버릴 수 있어”라든지, “난 이 레스토랑 주인을 잘 아는데 널 해고시킬 수도 있어”라는 식의 발언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소개했다. 곧 “너, 내가 누군지 알아?”라는 과시다. 불행히도 이런 발언은 그 사람의 힘을 과시하기보다는 그가 얼마나 형편없는 인간인지를 나타낼 뿐이다.
국적항공사 비즈니스클래스에서 일하는 항공사 승무원의 경우는 우리 사회의 소위 ‘지도층 인사’들을 항상 접하기 때문에 이 ‘웨이터의 법칙’을 몸으로 느낄 것 같다. 이번 사건은 언론에 보도되어 파문이 일고 있지만 그 임원보다도 더 잘나고 힘센 인사들의 비슷한 무례한 행동은 알려지지 않고 묻히는 일이 많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도 힘있는 사람에게는 깍듯이 하면서 식당의 종업원이나 골프장의 캐디는 마치 하인 부리듯 반말조로 막 대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만 해도 수년 전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 일이 있다. 개인적으로 가까운 한 선배의 형수가 항공사 승무원이었다. 하루는 카운터에서 업무를 보는데 한 대기업의 최고위급 중역이 체크인을 하려고 왔다. 그런데 규정을 넘어서는 크기의 가방을 기내로 가지고 들어가겠다고 해서 원칙상 안 된다고 짐을 부치라고 정중히 말씀드렸단다. 그런데 내가 얼마나 대단한 고객인데 이렇게 대할 수 있냐며 엄청나게 화를 내면서 고객카드를 두 동강 내면서 떠났다고 한다. 또 너희 회장에게 널 자르라고 얘기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일을 이야기하면서 격분하던 선배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누군가가 당신에게는 잘해주지만 항공기 승무원에게는 거만하게 행동한다면 그는 좋은 사람이 아니다.” 이 기회에 한국에서는 이런 ‘항공기 승무원의 법칙’이 나와야 하지 않을까. 아무쪼록 한국의 경영자들도 이 법칙을 명심하길 바랄 뿐이다.
———————————————————
2013년 4월 23일자 한겨레 생각의 단편 칼럼으로 게재된 글이다.
이 한겨레칼럼 마감시간은 항상 미국시간으로 일요일저녁인데 그날 따라 써놓은 글이 그저 그랬다. 그래서 전날 블로그에 가볍게 ‘웨이터의 법칙‘이라고 써두었던 글을 한겨레측의 양해를 얻어 더 길게 써서 보냈다. 내가 그동안 보냈던 칼럼글들과 달리 시의성이 있는 내용이어서 좀 반응이 있을 줄은 알았지만 이렇게 뜨거울 줄은 몰랐다.
이 시간까지 페이스북에서 2천회이상, 트위터에서 5백회이상 공유되어 한겨레기사중에 가장 많이 공유된 기사 1위로 올랐다. 솔직히 잘 쓴 글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웨이터룰’이라는 생각자체에 워낙 많은 분들이 공감해주신 것 같다.
우연히 알았는데 5년전 박연차회장의 기내난동사건도 비슷한 경우에 속하는 것 같다. 참고링크 : 항공기 난동 박연차 회장… 박준용판사에 혼쭐(로이슈) 다만 그때는 한국에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 차이랄까? 내 글이 조국교수, 선대인소장 같은 파워트위터유저의 도움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보고 소셜미디어의 파워를 또 느꼈다.
어쨌든 이렇게 정보가 순식간에 퍼지는 세상이 무섭기도 하다.
칭찬과 격려, 감사의 문화
어제 NBC나이틀리뉴스를 보다가 미소를 머금었다. 시카고트리뷴이 지난주에 큰 고생을 한 보스턴글로브의 동료들에게 피자를 쏜 것이다. 그것을 단신뉴스로 가볍게 다루고 간 것이다.
아마도 일주일간 전 편집국기자들이 잠 한숨 제대로 자지 못했을 보스턴글로브는 이 소식을 신문 블로그코너를 통해서 전했다. (링크: Chicago Tribune sends pizza, kind words to Boston Globe staff)
보스턴지역의 인기피자가게인 Regina pizza 라지사이즈를 수십개 주문한 듯 싶다.
시카고트리뷴은 위와 같은 편지를 보스턴글로브에 보냈다.
We can only imagine what an exhausting and heartbreaking week it’s been for you and your city. But do know your newsroom colleagues here in Chicago and across the country stand in awe of your tenacious coverage. You make us all proud as journalists.
We can’t buy you lost sleep, so at least let us pick up lunch.
Your friends at the Chicago Tribune.
우리는 여러분들과 여러분의 도시가 얼마나 힘들고 가슴아픈 일주일을 보냈는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여기 시카고와 전국에 있는 신문사의 동료들이 여러분의 집요한 뉴스리포트에 감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십시오. 여러분은 저널리스트로서 우리가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우리가 여러분들의 잠을 보충해줄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점심이라도 사겠습니다.
시카고트리뷴에 있는 여러분들의 친구들이.
정말 멋지지 않은가? 나는 정말 이런 미국의 칭찬과 격려, 감사의 문화가 좋다. 긍정적인 동기부여를 일으키는 원동력이다. 이런 진정성, 위트가 녹아있는 감사의 메모 한장에 사람의 마음이 움직인다.
이것을 뉴스로서 다뤄준 NBC나이틀리뉴스도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브라이언 월리암스의 마지막 멘트도 좋았다.
“전국에 있는 많은 병원과 경찰서들도 보스턴에 있는 동료들에게 같은 일을 했다.” (A lot of hospitals and police departments around the country have done the same for their colleagues in Boston as well.)
NBC나이틀리뉴스 링크 Chicago Tribune uses pizza to thank Boston Globe
혁신을 낳기 위해서 ‘아주 이상한 사람’을 응원하자
일본에서 ‘신경제서밋’이란 행사가 열렸던 것 같다. 일본인터넷업계의 거물인 라쿠텐 미키타니사장이 이끄는 신경제연맹이 주최한 행사다. 안드로이드의 아버지, 앤디 루빈, 트위터 창시자 잭 도시 등 쟁쟁한 인물들이 참가해 인터넷을 통한 일본갱생의 길을 논한다는 행사였던 것 같다.
그런데 이 행사를 다룬 IT미디어의 기사에서 일본인으로서 MIT미디어랩의 소장(디렉터)을 맡고 있는 이토 조이치씨의 흥미로운 발언을 접했다. “혁신을 낳기 위해서 ‘아주 이상한 사람’을 응원하자”라는 제목의 짧은 기사인데 ‘일본’을 ‘한국’으로 바꿔도 그대로 들어맞는 얘기같다. 재미있어서 전문을 아래 의역해보았다. “変な人”는 ‘이상한, 독특한, 튀는 사람’정도의 뜻으로 바꿨다.
혁신을 낳기 위해서 ‘아주 이상한 사람’을 응원하자.(원문링크)
일본에서 파괴적인 혁신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신경제서밋2013’에서 MIT미디어랩의 소장인 조이 이토씨는 “이상한 사람을 지키고, 응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했다.
“사회전체를 중심부터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변방에 있는 특이한 사람을 지원해야한다. 특이한 사람에게는 대단한 가치가 있고 그런 일본인은 아주 많다. 예를 들어 만화를 그리는 사람들은 세계로 나가면 대단한 사람이 된다.”
미국에서 성장한 이토씨는 일본의 교육의 문제를 지적하며 이렇게 말했다. “‘모범생’을 키우는 일본의 교육이 창의적인 인재를 말살하고 있다. 권위를 부정하고 마음대로 행동하고, 행동하면서 가설을 생각해 나가는 인재가 필요하다. (그렇게) Creative를 Unlock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 글을 읽고 나서 바로 머니투데이 유병율기자의 “싸이가 창조경제? 너무 심각한 어른들이 문제”라는 기사를 접했다. 창조경제의 모범사례로 싸이의 젠틀맨을 모범사례로 들고 나온 정부와 창의성을 말살하는 한국교육의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다. 이 중에서 아랫 부분을 읽으며 이토씨의 말을 떠올렸다.
1년 전쯤 인터뷰에서 싸이는 한국교육에 대해 내내 분노하고 고개를 내저었다. “제가 늘 듣던 말이 ‘산만하다. 딴 생각하지마. 잡생각 하지마’였어요. 이골이 날 정도로 혼나고 맞았죠. 지금도 그게 억울해요. 저는 산만해서, 딴생각 많이 해서, 잡생각 많이 해서, 재미있는 이상한 아이였고, 그런 게 지금 제 음악의 모든 것이 된 거에요. 산만하고 딴짓만 하는 아이가 한번 몰입하면 얼마나 무섭게 하는데, 맨날 혼만 내면 어쩌라는 거죠? 잡생각을 잡스럽게 보니까 잡생각이지, 좋게 보면 창의에요. 잡생각에서 창의가 나오고 창의가 반복되면 독창적이 되고, 독창적인 게 반복되면 독보적인 게 되는 거 아닌가요?”
어떤가 위 조이씨의 말에 나오는 ‘아주 이상한 사람’이 바로 싸이가 아닐까?
창조경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암기에 능한 모범생보다는 튀고 자기 생각이 있는 ‘이상한 학생’을 복돋워주는 교육을 먼저 만들고 실패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그런 사회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봤다. 그래야 제 2의 싸이가 계속 나오지 않을까.
웨이터법칙
기내에서 항공승무원에게 행패를 부린 모대기업 상무가 트위터 타임라인에서 대화제다. 기존 언론은 두리뭉실하게 몇줄만 보도했지만 인터넷과 트위터를 통해서 그 임원의 실명과 항공사의 내부 대응기록(?)이 전파되면서 겉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그러다 타임라인에서 “Waiter Rule”이란 것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싶어서 찾아보았다. (위키피디아 링크)
“If someone is nice to you but rude to the waiter, they are not a nice person.” 만약 누군가가 당신에게는 잘 대해주지만 웨이터에게는 거만하게 행동한다면 그는 좋은 사람이 아니다.
이것이 소위 “웨이터법칙”이다. 사실 웨이터뿐만 아니라 호텔메이드, 경비원, 청소부 등 우리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가를 보면 그들이 자신의 부하들을 어떻게 대할지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적항공사 비즈니스클래스에서 일하는 항공사승무원의 경우는 우리 사회의 소위 ‘지도층인사’들을 항상 접할 텐데 정말 많은 것을 느낄 것 같다.
이 웨이터법칙을 소개한 USA투데이기사에서는 웨이터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하려고 하는 이런 사람일수록 “난 이 레스토랑을 사버리고 널 잘라버릴 수 있어”라든지, “난 이 레스토랑 주인을 잘 아는데 널 날려버릴 수 있어”라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불행히도 이런 발언은 그의 힘을 과시하기보다는 그가 얼마나 형편없는 인간인가를 나타낼 뿐이다.
절친한 선배의 형수가 모항공사승무원이셨다. 하루는 카운터에서 업무를 보는데 모대기업의 특급VIP가 체크인을 하려고 왔다. 그런데 규정을 넘어서는 가방을 기내로 체크인하겠다고 해서 규정상 안된다고 짐을 부치라고 정중히 말씀드렸단다. 그런데 내가 얼마나 대단한 고객인데 이렇게 대할 수 있냐며 엄청나게 화를 내면서 밀리언마일리지카드를 두동강 내면서 떠났다고 한다. 너희 회장에게 널 자르라고 얘기하겠다고 위협하면서… 이 일을 이야기하면서 격분하던 선배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런 비슷한 일들이 정말 수도 없이 많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스튜어디스룰’이라는 것이 나와야하지 않을까 싶다…
“당신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아름답습니다.”
뉴욕타임즈의 기사를 통해 방금 알게 된 Dove의 광고캠페인이다. 지금 보고 나서 그 훌륭한 메시지에 감탄했다.
경찰에서 오래 근무했던 몽타주 전문가가 한 여성의 자신의 용모에 대한 묘사를 듣고 (실제로 보지 않고) 스케치를 한다. 그런 다음에 방금 몽타주를 그렸던 그 같은 여성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묘사를 듣고 또 하나의 스케치를 그린다. 그리고 그 본인과 함께 두개의 그림을 비교해 본다.
놀랍게도 어느 그림이나 자신이 묘사한 자신의 모습보다 다른 사람이 묘사한 자신이 모습이 휠씬 나아보인다.
“당신은 당신이 챙각하는 것보다 더 아름답습니다.”(You are more beautiful than you think.)
이 광고의 메시지다. 자신의 외모에 더 자신감을 가지고 살자. 당신은 사실은 못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참 파워풀한 메시지가 아닌가. 정말 멋진 광고캠페인이다.
지난 일요일 게시된 이 광고의 유튜브동영상은 5일만에 벌써 8백만뷰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여러분들도 한번 감상해보시길. 3분.
코플리스퀘어 단상
10개월전까지 내가 살던 곳에 폭탄테러라니 세상에 안전한 곳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 폭탄이 터진 코플리스퀘어(Copley square)는 보스턴공립도서관이 위치한 곳으로 내가 시내에 나갈때마다 즐겨가던 곳이다. 나는 보스턴도서관의 신관보다 구관쪽이 휠씬 마음에 들었었다. 참 멋진 도서관이다.
그리고 코플리스퀘어역을 나서면 바로 보이는 올드사우스처치도 내가 좋아하는 건축물이었다. 보스턴은 미국의 도시중 보기드물게 아담하고 유럽의 향기가 흐르는 멋진 곳이다.
마침 오늘은 Patriots’ Day였다. 매사추세츠주와 메인주에서만 휴일로 지정된 미국독립전쟁의 시초인 렉싱턴-콩코드전투를 기념하는 날이다. 새벽 6시에 렉싱턴에서 당시의 전투를 재현하는 행사가 열린다. 그리고 매년 보스턴마라톤이 열리는 뜻깊은 날이다. 아직도 보스턴에 살고 있었으면 나도 시내에 가족과 함께 나가서 봄나들이겸 마라톤을 구경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 멋진 코플리스퀘어거리가 오늘 아비규환의 현장이 됐다니 가슴이 아플뿐이다.
위에 소개한 보스턴공립도서관과 올드사우스처치사이에서 폭탄이 터졌다.
이 분 말씀에 동감한다. 이 시대에 이 세상에서 어디가 과연 안전할까. 지난 연말 비극적인 총격사건이 일어난 커넥티컷 뉴타운도 보스턴에서 불과 2시간 거리다.
오늘 폭탄테러에서 세상을 떠난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고 부상자들의 쾌유를 기원한다.
엘비스 프레슬리를 닮은 나사엔지니어
얼마 전 올림픽 중계를 제쳐놓고 본 실황중계가 있었다. 나사(NASA·미국 항공우주국)의 큐리오시티 화성탐사선의 화성 착륙 중계였다. 시속 1600㎞의 무서운 속도로 화성의 대기권으로 진입하는 900㎏의 탐사선을 낙하산에 이어 로켓 분사력으로 감속시켜 안전하게 착륙시킨다는 어려운 임무도 그렇거니와 그 과정을 ‘7분간의 테러’라고 명명해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나사의 홍보감각도 칭찬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내 눈길을 끈 것은 방송에 등장한 독특한 나사 엔지니어의 모습이었다. 이 어려운 임무를 지휘하는 리더로 나오는 이 엔지니어는 마치 엘비스 프레슬리를 연상시키듯이 머리에 기름을 발라 빗어 올리고 구레나룻을 기른 외모의 사나이였다. 두꺼운 뿔테 안경을 쓴 공붓벌레 스타일의 천재 엔지니어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모습이었다. 어쩐지 범상치 않아 보여 이 사람에 대해서 찾아봤다. 그는 나사의 선임엔지니어인 애덤 스텔츠너였다. 그의 이야기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다음은 언론 보도와 위키피디아에 소개된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근교의 부유한 가정 출신인 그는 초등학교 때부터 “별로 똑똑하지 못한 아이”라는 말을 들었다. 친아버지에게서 “넌 막노동꾼 이상은 될 수 없을 거야”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였다. 부모가 얼마나 그에게 실망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고교 때는 기하학에서 F플러스(+)로 간신히 낙제를 면하기도 했는데, 그것은 두 번이나 계속 수준 미달의 결과를 가져오는 그를 담당 교사가 다시 보기 싫어서 그냥 플러스를 붙여 통과시켜 준 것이라고 한다. 공부 대신 그는 고교 시절 섹스, 마약, 로큰롤에 탐닉했다. 당연히 고교 졸업 후에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클럽밴드에서 음악을 연주하며 록스타가 되는 것을 꿈꿨다.
그렇게 생활하던 그는 어느 날 클럽에서 연주를 마치고 밤늦게 집에 돌아가다가 밤하늘을 보고 별의 위치가 바뀐 것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그 매력에 빠졌다고 한다. 별의 움직임을 더 잘 이해하고 싶어서 그는 커뮤니티칼리지에 들어가 천문학 강좌를 수강하려고 했다. 그런데 천문학을 듣기 위해서는 먼저 물리학 강좌를 이수해야 했다. 물리학 수업 첫번째 시간에 접한 공식을 통해 그는 자연현상의 법칙을 연구하는 이 학문이 그가 원하던 것임을 알게 됐다. 그는 “나는 나의 종교를 찾아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이듬해 그는 음악을 완전히 접고 공부에 몰두해 결국 UC데이비스에 진학해 기계공학을 전공했다. 그런 뒤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석사, 위스콘신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다음 나사에 합류했다. 그리고 그는 지난 10년 동안 큐리오시티 탐사선 프로젝트에서 화성 착륙 시스템의 디자인 및 실행 작업을 지휘했다. 마치 공상과학영화에 나오는 것 같은, 불가능에 도전하는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그는 멋지게 성공시켰다.
스텔츠너의 인생 궤적을 따라가 보면서 열정을 바칠 수 있는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것이 인생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다시금 느꼈다. 그리고 또 천재는 꼭 타고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깨달았다. 천재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평생 ‘동기부여’를 해줄 대상을 찾는 것이다. 자신의 ‘종교’를 찾아낸 스텔츠너가 무인탐사선의 화성 착륙이라는 전인미답의 일을 성취해낼 수 있었던 이유다.
명문대 입학만을 목표로 하는 암기형 공붓벌레 영재들을 키워내는 것보다 우리 아이들이 평생을 바칠 수 있는 ‘꿈’을 찾도록 도와주는 교육이 ‘참교육’이 아닐까 문득 생각해봤다.
——————————–
2012년 8월14일자 한겨레신문 [임정욱의 생각의 단편]칼럼으로 기고한 글이다. 사실 CBS뉴스에서 접한 아담 스텔츠너의 모습을 보고 호기심이 동해서 찾아봤었다. 그리고 가볍게 ‘쿨한 나사엔지니어들’이란 블로그포스팅을 했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칼럼용으로 조금더 가다듬어서 한겨레신문에 기고(라고 쓰고 재탕이라고 읽는다)한 것이다. 세상엔 참 멋진 인생을 사는 사람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