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구글글래스의 가능성

with 4 comments

어제 아이패드의 넷플릭스앱으로 침대에 누워서 ‘하우스오브카드’를 보다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는 단어를 만났다. “Valedictorian”.(내가 어휘력이 좀 약하다.) 주인공 케빈 스페이시의 아내역으로 나오는 로빈 라이트가 대사중에 한 말인데 무슨 뜻인가 궁금했다.

Screen Shot 2013-04-30 at 7.54.02 PM

순간적으로 Pause버튼을 누르고 옆의 아이폰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구글앱에서 바로 음성검색을 했다. “밸러딕토리언, Meaning” 들린대로 그대로 따라서 발음해서 검색해본 것이다.

Screen Shot 2013-04-30 at 8.38.19 PM

그러자 즉각 위와 같은 결과화면이 뜨면서 이 단어의 사전적인 뜻을 여성의 목소리로 유창하게 말해주는 것이었다. 아, 이게 ‘졸업식 축사 대표학생’이란 뜻이구나 하고 바로 드라마를 이어서 볼 수 있었다.

이렇게 검색을 해보면서 솔직히 구글글래스가 나오면 정말 편리하겠다 싶었다. 구글글래스를 쓰고 TV를 보다가 모르는 내용이 나오면 가볍게 안경을 두드리고 “Google, valedictorian meaning”, 이렇게 말을 하면 바로 뜻을 설명해줄 것이 아닌가. 그동안은 스마트폰을 꺼내서 타이핑을 해서 정보를 찾았는데 이제는 정말 음성검색이 구글글래스를 통해서 본격적으로 일반화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글글래스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 1분짜리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좋다.

구글글래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미래는 또 어떤 세상이 될 것인가. 이제 알라딘의 램프처럼 안경을 쓰다듬고 말만하면 뭐든지 다 할 수 있는 세상이 열리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 정말 혁신을 쫓아가기 숨가쁜 세상이다.

Written by estima7

2013년 4월 30일 , 시간: 9:03 pm

4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누가 구글글래스 이후의 세상이라고 올렸더군요. 재미있는 영상이라 링크를 겁니다. 이런 세상이 온다면 지금보다 행복한 세상이 될까요? 그래도 행복할 사람은 행복하고 불행할 사람은 불행하다 생각하겠죠?

    Yong Jun Lee

    2013년 4월 30일 at 10:50 pm

  2. 안경 쓴 사람들을 위한 모델이 따로 있겠죠??
    시간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흐르는 것은 아니네요

    1sanboy

    2013년 5월 1일 at 12:02 am

  3. 어느 순간부터 혁신 혁신 그러더니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그만큼 지루함도 빨라 찾아오고
    그에 발맞춰서 새로운게 가속도가 점점 더하면서 나오는게 나중에는 정말 뭐가 나올련지 흥미진진합니다.

    Jihoon Kong

    2013년 5월 1일 at 9:03 am

  4. 검색도 검색이지만, 제 개인적인 의견은 손에서 자유로운 사진. 동영상 촬영이 일반 사용자에게 깊이 어필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아이들을 둔 부모. 스포츠. 병원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를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병원에서 일해서 병원 쪽이 눈에 띄게 발전할 수 있으리라 생각 (구글글래스+아이패드 등)하는데. 뭔가 준비하려니 사람이 없네요! 우리 나라에서 이런 분야로 뛰어들면 좋을텐데 말입니다!

    jinsungk

    2013년 5월 1일 at 2:51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