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2월 5th, 2010
일본의 어린이에게 전자교과서를 쥐어주자-손정의
오늘 아침에 팔로하는 일본인의 트윗에서 “孫さんのプレゼンに超感動。他の社長さんとの差が歴然で、ある意味楽しい。(손상의 프레젠테이션에 초감동. 다른 사장들과 차이가 역력했고 어떤 의미에서 재미있었다)”라는 내용을 발견했습니다. 저도 Ustream 동영상 링크를 따라가 보았죠. 손정의사장이 과연 일본의 정치인들을 앞에 놓고 무슨 이야기를 할지 궁금했습니다. 약 10여분간의 짧은 강연이었지만 정말 저도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손정의 사장 앞에는 구글회장, 마이크로소프트부사장이 각각 발표했습니다.
지금까지 손정의사장이 대단한 사람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렇게 존경하는 마음은 없었습니다. 비즈니스 감각이 좋고 대단히 실행력이 강한 사업가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죠. 야후에 대한 투자가 밑거름이 되어 일본제일의 부호중 하나가 되고 무모해 보이는 야후브로드밴드사업추진, 보다폰인수, 아이폰 일본 도입 등을 차례로 성공시킨 성공적인 인터넷기업가중 하나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말부터 직접 손상의 트윗을 접하고는 점점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그의 생각을 직접 트윗을 통해 듣게 되니 (심지어는 저를 한번 멘션해주신 적도 있습니다ㅎㅎ) 친근감도 느껴지고 의외로 굉장히 생각이 깊은 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직접 몸으로 체득한 트위터를 며칠전 소프트뱅크 실적발표회에서 직접 사용해 중계하는가 하면 Ustream TV 지분투자도 전격적으로 발표하면서 실적발표회를 인터넷 실시간중계했습니다. 이번 정책포럼에서도 주최측에 Ustream TV중계를 제안해서 관철해 냈으며 그 결과 수천명이 동시접속해 손사장의 프리젠테이션을 지켜보고 트위터를 통해서 손사장의 이야기에 실시간으로 반응했습니다.
지금도 트위터를 검색해보면 손사장의 프리젠테이션에 감동했다는 일본인들의 트윗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어쨌든 “일본의 성장전략을 IT로 풀어내자”는 그의 대담한 제언을 일본의 정치가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합니다.
아래는 제가 가장 인상적으로 느낀 손사장의 발표 부분입니다. 의역을 섞어서 풀어서 소개합니다.
———————————————————————————-
4개의 제언이 있습니다. 우선 “의무교육 x IT” 현재 전 세계에서 1억이상의 사람들이 트위터를 이용해 소통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1개월전에 실명으로 처음으로 트위터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처음으로 인터넷을 만났을 때의 감동을 다시 느꼈습니다. 커뮤니케이션혁명이라고 새삼스럽게 느꼈습니다. 오바마대통령, 하토야마총리를 포함해 많은이들이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저도 직접 트윗을 날려보았습니다.
“여러분, 30년후의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합니까?”
라고 트윗했습니다. 즉시 엄청난 반응이 있어서 1시간동안 230건의 코맨트가 돌아왔습니다. 나름 어려운 주제였는데 정말로 고심해서 답한 의견들이 돌아왔습니다. 누계로 1천건. 단돈 1엔도 들이지 않고 이런 지혜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또 많은 분들이 RT를 해주셨습니다. ‘학교교육에서의 정보활용’을 먼저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30년후의 아이들과 사회가 어떻게 될지를 생각해야합니다. 이런 의견들이 많이 취합됐습니다.
사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교육도 바뀌지 않으면 안됩니다. 즉, 암기가 아니고 자신이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학교에서 배운 것이 실제 직업현장에서 도움이 되도록 교육체계를 바꾸지 않으면 안됩니다. 지금까지 공업사회에 있어서는 암기가 최우선이 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구글이나 야후나 눈깜짝할 사이에 전세계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은 어디인가” 같은 내용을 암기하는 것보다 바로 검색하면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이 휠씬 자세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암기하는 것에서 검색하는 것으로 인간의 뇌세포를 조금씩 해방시켜서 그 해방된 만큼 ‘생각’하는 것으로 뇌의 에너지를 옮기도록 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암기에 3할, 사고에 7할. 1천건이나 받은 트위터리플중에서 제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것입니다.
“혹시 ‘감동을 전하는 것’만을 명제로 해서 전력을 다해야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1천개의 리플중에 가장 마음에 들었던 내용)
역사의 감동, 사회의 감동, 자연과학의 감동, 동료와 같이 힘을 합칠 때의 감동, 미래의 구현에 참가하는 감동. 즉, 교육이라는 것은 무리해서 주입식으로 암기하는 시련을 견뎌내야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사실 인간은 ‘흥미를 가진다’는 자신의 지적호기심을 채우는 것이, 감동을 가지는 것이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외우는 것도 물론 중요합니다만 “대단하다!”고 뇌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면서 감동한다면 사람들은 휠씬 잘 기억할 것입니다.
감동을 전하는데 종이에 인쇄된 움직이지 않는 단방향의 문자로 정말로 감동을 전할 수 있을 것인가. 그래서 전자교과서가 어떨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전자교과서로 동영상으로 고래를 보면서 그 소리를 들으면서 이런 훌륭한 동물을 멸종시켜서는 안된다는 그런 감동을 아이들에게 직접 느끼게 합시다. 이렇게 교육하는 것이 그냥 암기하는 것보다 휠씬 기억을 잘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기술이라면 이 전자교과서를 한대에 2만엔이면 만들수 있습니다. 풀터치로, 모션센서를 붙이고 1G CPU로 1대 2만엔이면 만듭니다. 일본에는 1천8백만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전원에게 무료로 전자교과서를 나눠주면 3천600억엔이 듭니다. 얀다댐하나 건설하는데 예산이 4천800억엔입니다. 최근 민주당분들이 이 댐문제로 많은 말씀을 하고 계십니다만 댐하나 없다고 일본 무너지지 않습니다.
일본의 어린 학생들. 이 학생들이 일본의 꿈이고, 미래고, 일본의 보물입니다. 1천8백만명의 학생이 앞으로 일본을 떠받칠 사람들입니다. 여기에 투자하는 것이 최우선으로 해야할 일이 아니겠습니까.
콘크리트보다 사람입니다. 한번만 전자교과서를 나눠주면 그 다음에는 매년 400억엔이면 됩니다. 현재 교과서 예산이 연간 400억엔입니다. 초등학생 전원과 그리고 중학교에 들어가면 한번 신기종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교과서를 통해 외국인과 영어로 동영상 통화도 할 수 있습니다. 멋지지 않습니까?
———————————————————————————————–
참고내용:
*얀다댐은 일본 군마현에 건설예정인 대형댐프로젝트로 지역주민들의 찬반논란속에 일본의 정치쟁점이 된 문제인 듯 합니다. Wikipedia Link (일본어)
일본에 전문을 받아적은 블로그가 있어서 참고했음. ネット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政策フォーラム 孫正義部分のみ
Ustream 동영상 http://www.ustream.tv/recorded/4438919 약 46분 지점부터의 손정의사장의 제언.
@AnsSonya 님의 번역입니다. 저보다 더 많은 부분을 커버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