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2월 26th, 2010
닛케이신문의 온라인유료화 도전: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일본의 명문경제지인 일본경제신문(니혼게이자이:보통 줄여서 닛케이라고 함)이 3월23일부터 유료버전 온라인신문 ‘Web刊’을 창간해 유료화에 도전한다고 선언했다.
현재 310만부가량을 발행하는 닛케이신문은 경제종합지로 일본에서 가장 우량신문중의 하나다. 종합일간지 요미우리, 아사히와 함께 잘나가는 3대신문으로 꼽힌다. 특히 경제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의 대기업사원이라면 누구나 닛케이를 읽는 것이 상식으로 통할 정도로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뉴미디어에 대한 투자를 일찍 시작해 판매, 광고 그리고 뉴미디어 매출 포트폴리오가 균형잡힌 신문으로 알려져있다.
그런 닛케이지만 인터넷에 대한, 웹에 대한 투자는 좀 인색해 지금까지 닛케이넷 http://www.nikkei.co.jp에는 기사 일부분만을 제공해왔다. 그래서 사실 읽을 만한 기사가 많지 않고 기사의 앞부분만을 살짝 잘라서 제공하는 바람에 개인적으로는 별 흥미가 없는 사이트였다. 야후 등 포털에도 일체 콘텐츠를 공급하지 않는 정책을 고수해왔다.
위는 온라인유료화버전 Web刊의 초기페이지.
잘나가는 닛케이지만 시대의 흐름 변화에는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더이상 인터넷을 외면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드디어 본격적인 유료화전략을 발표한 것이다.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 현재 닛케이넷을 리뉴얼하는 형태로 전기사의 본문을 제공.(한국, 미국에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대부분 일본신문들은 웹에 전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 기본적으로 모든 기사는 유료회원에게만 개방되나 무료회원이라도 한달에 20개까지 기사를 볼 수 있음
- 유료회원에게 과거 5년분 기사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 25개까지 본문을 보는 것이 가능.(역시 그동안 기사DB를 외부에 무료로 공개한 일이 없음)
- 오픈형식(?)으로 스마트폰 네이티브앱은 따로 준비하지 않음. 모바일에서 웹브라우저로 읽으면 된다고.
- 종이신문구독자에게는 월간기존 구독료 플러스 1천엔, 온라인으로만 구독의 경우에는 월간 4천엔. 참고로 종이신문 구독료는 (조간만 볼경우 3천5백18엔, 조석간세트는 4천3백83엔)
발표회에서 나온 멘트중 긍정적인 부분은
「良質なコンテンツはタダではない。本当に価値がある情報や機能には、それにふさわしい対価をいただきたい. “양질의 콘텐츠는 공짜가 아니다. 정말로 가치가 있는 정보와 기능에는 그것에 맞는 대가를 치뤄야한다.”
短期的な収益は追わず、じっくり育てていきたい考え。まずは無料会員50〜100万人、有料会員30万人(日経発行部数の1割)を目指す。「成功するまで5年、10年かかるかもしれないが、今スタートさせないと10年後の成功はないことは確かだ」단기적인 수익은 쫓지않는다. 제대로 키워가겠다는 생각이다. 우선은 무료회원 50~100만명, 유료회원 30만명을 목표로 한다. 성공할때까지 5년, 10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10년뒤의 성공은 없다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안타깝게도 부정적으로 보이는 부분도 적지 않다. 우선 가격이 너무 비싸다. 종이값, 잉크값, 배송료 등이 들지 않는 온라인으로 보는데 왜 종이신문과 같은 4천엔이나 내야할까. 왜 그런 가격으로 결정됐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답이 한심하다. 「紙の新聞の部数に影響に与えない」ということを前提に、その範囲内で価格を模索しました。(종이신문의 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그 범위안에서 가격을 모색했다) 결국 종이신문의 부수및 매출감소가 두려워서 웹신문 가격을 못 내렸다는 것인데… 독자들이 납득할리 만무하다.
그리고 종이신문 가입자에게는 무료로 웹버전을 제공했어야 하지 않을까? 종이신문가입자에게 추가로 1천엔을 더 내라고 하는 것도 좀 지나치다. 결국 종이신문부수를 절대로 포기할 수 없다는 것으로 읽힌다. 하지만 일본의 인구감소와 젋은 층의 종이매체 이탈 현상을 볼때 현 310만부 유지는 쉽지 않다. 종이신문에 미련을 버리고 이왕이면 온라인에 더 매력적인 가격으로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으면 좋았을텐데 좀 아쉽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깊이있는 정보가 웹에 흘러넘치는 요즘, 천하의 닛케이라도 과연 각종 온라인미디어, 블로그, 트위터와 경쟁해 우위에 있는 가치있는 정보를 온라인유료사이트에 채워넣을 수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다. 지금까지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했던 닛케이의 웹사이트를 보면 말이다. 어쨌든 귀추가 주목된다. 지켜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