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2월 26th, 2019
5G로 세계를 석권하려는 화웨이의 야심-MWC19
이번 MWC에서 인상적인 것은 화웨이의 강력한 존재감이다. 연일 트럼프정부가 화웨이를 때려잡는다고 난리인 상황에서 이 회사가 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런데 MWC에 와서 보니 가장 존재감이 강한 회사였다.

화웨이의 존재감이 느껴진 것은 이 부스였다. MWC입구 가장 앞에 있는 홀1에 있는데 미리 초대받아서 따로 출입증을 발급받은 고객이나 미디어만 들어갈 수 있다.

들어가는 입구에는 이렇게 전세계의 미녀들이 맞아준다. 왜 이렇게 했을까 생각해봤는데 아마 전세계의 통신회사 임원들이 방문하기 때문에 이렇게 한 것 아닌가 싶었다.

안에 들어가면 이렇게 큰 공간이 나오고 또 3~4개정도의 큰 영역으로 나눠져서 전시가 되어 있다. 그중에서 가장 큰 곳은 5G is ON이라고 써있는 5G전시공간이다.
이 거대한 부스 뒷쪽에는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공간이 있고 식사시간에는 부페를 제공한다. 윗층은 비즈니스미팅공간으로 활용한다.

이곳에서는 각종 5G기지국 장비와 운영 소프트웨어 등을 설명하고 있다.

내가 통신전문가는 아니지만 전시 장비와 설명 수준으로 봤을 때 화웨이가 5G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으로 앞서 있다는 것은 느껴진다.

여기 부스에서 방문해서 설명을 듣는 많은 이들이 통신사 임원들 같다는 느낌이다. 아마 화웨이에서 5G장비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이미 중국내에 스마트시티 등 많은 5G, AI, 빅데이터 등 적용사례가 있다는 것도 화웨이의 큰 장점이다.

실제로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전세계의 수많은 국가들이 5G도입에 있어서 화웨이 장비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중에는 미국의 화웨이장비도입 제한조치를 강하게 반발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가격과 성능면에서 다른 옵션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5G통신장비나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클라우드 전시관에 비하면 화웨이의 스마트폰과 랩탑 전시공간은 한켠으로 밀려있는 느낌이다. 새로 선보인 화웨이 메이트 10 폴더블폰이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뿐만이 아니다. 화웨이는 다른 홀에도 큰 규모의 부스를 여러개 운영하면서 일반 참관객에게도 존재감을 과시했다.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견제는 5G시대에 이제 잘못하면 완전히 중국에 밀려버릴 수 있다는 미국의 위기감의 발로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 MWC에서는 5G에 관한한 시스코 같은 미국 통신장비회사의 존재감은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미국의 견제가 만만치 않지만 화웨이는 중국이라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시장을 배후에 두고 있다. 그리고 중국정부는 5G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이제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겠다며 수백조의 투자를 다짐하고 있는 상태다. 화웨이가 이대로 무너질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5G시대에 한국은 어디에 줄을 서야 하는가도 앞으로 큰 고민이 될 것 같다.
바르셀로나 MWC 2019 첫 인상

CES에는 많이 가봤지만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에 가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워낙 입장료가 비싸서 엄두를 내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프레스로 등록해서 미디어패스를 받았다. (그냥 입장패스를 사려면 백만원에서 삼백만원정도 한다.) 블로거로 등록을 했는데 안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받아줘서 한국스타트업들의 활약상을 볼 겸 큰 맘 먹고 참가했다.
오늘 하루종일 광대한 전시장을 대충 둘러보고 느낀 점을 몇가지만 사진과 함께 메모해 본다. 부스를 자세히 보지는 않고 대충 전체적인 분위기만 살펴봤다.

지난 CES의 주인공이 삼성전자였다면 이번 MWC의 주인공은 화웨이처럼 보인다. 입구 들어가자마자 있는 홀1에 거대한 부스를 만들어두었다. 아무나 들어갈 수 없고 미리 등록해야만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홀에도 크고 작은 화웨이 부스가 산재해 있다. 미중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통신업계에서 세계를 제패하겠다는 화웨이의 야심이 느껴진다.

스마트폰핸드셋, 통신장비 제조사와 함께 MWC의 주역은 통신사다. 한국에서는 SKT, KT가 참가했고 전세계의 통신사 부스를 다 볼 수 있다. 위는 유럽최대통신사인 텔레포니카관이다.

STC라는 통신사는 처음 봤는데 사우디 텔레콤 컴퍼니다.

수다텔, 아프리카의 통신사다. 아마 수단 회사인 것 같다.

흥미롭게 본 것은 통신사를 컨설팅하면서 많은 돈을 버는 글로벌 경영컨설팅회사들이 대부분 부스를 내고 참가했다는 것이다. 자세히 보니 뭔가를 전시한 것이 아니고 미팅을 위한 부스를 낸 것이다. (열심히 고객사를 만나고 있을 것 같다.)

BCG, PwC, 액센추어, EY 등 웬만한 컨설팅회사들은 다 보였다.

이번 MWC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5G다. 일반 소비자에게는 아직 와닿지 않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이 초고속 차세대 무선망인 5G기술을 과시하고 있다.


5G망에서는 딜레이없이 스마트폰으로 상대방과 연결해 치열한 격투기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것 같다. 더 많은 5G적용사례를 찾아보려고 한다.

CES와 비슷하게 느껴지는 것은 다양한 국가관의 존재다. MWC도 전세계 많은 나라들이 팀을 꾸려서 단체로 이 전시회에 (비싼 돈을 내고) 참가하도록 하는데 성공한 것 같다. CES와 막상막하다. 프랑스의 라프렌치테크는 MWC에서도 존재감이 강했다.

스타트업네이션 이스라엘도 여전하다. 유럽에서 하는 행사라 그런지 유럽국가의 부스도 많이 보이는 것 같은 인상이다.

수많은 나라들이 나와있지만 가장 여기저기 부스도 많고 참가회사도 많은 것은 단연 한국인 것 같다. (물론 개개 회사까지 합치면 중국이나 미국이 더 많겠지만 단일 국가관은 없어서 느껴지지 않는다.) 한국인 참관객도 가볍게 수천명은 되어 보인다. 여기저기서 아는 분들을 마주치며 인사하게 된다.


어쨌든 전체적으로 전시장과 컨퍼런스 프로그램 등이 잘 구성되었고 전체적으로 순조롭게 잘 운영된다는 인상을 받았다. CES와 달리 앉아서 쉴 곳도 많이 보였고 음식을 사먹을 수 있는 식당도 많았다. 전시장에서 모바일데이터나 Wifi도 느려서 쓰기 어려운 CES와 달리 MWC는 통신속도도 괜찮았다. (그래도 통신사들이 참가하는 행사라…) 또 CES가 열리는 라스베가스와 달리 바르셀로나시는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잘 되어 있는 점도 편리했다. 모든 참관객에게는 행사기간동안 무제한으로 바르셀로나 시내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패스를 준다. 미리 등록하면 무료인 CES와 달리 MWC는 무척 등록비가 비싼 행사이니 그럴지도 모르겠다. 인구가 겨우 160만밖에 안되는 비교적 작은 도시인 바르셀로나시가 10만명이 넘는 MWC손님을 받아서 나름 잘 대처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서울에서 MWC가 열린다면 어떨까?
어쨌든 오늘 하루 벌써 2만보 가까이 걸었는데… 꽤 지친다. 내일부터는 조금 더 자세히 살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