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프랑스 스타트업 생태계 리뷰
나는 우리 스타트업생태계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경제규모나 인구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 미국이나 중국과 비교하는 것보다는 우리와 비슷한 인구를 가진 선진국과 비교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프랑스의 스타트업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프랑스는 인구는 6천6백만에 1인당국민소득도 3만7천불수준으로 한국(인구 5천1백만, 3만불)보다 높지만 아주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또 대통령제 국가에 영어가 아닌 프랑스어 중심국가로 영어가 잘 안통하는 편이다. 유럽에 위치하고 있지만 자기들도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이 쉽지 않다고 말한다. 한국과 비슷한 측면이 많다.

프랑스는 최근 몇년간 라프렌치테크라는 국가혁신브랜드의 성공으로 스타트업네이션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정부에서 나서서 창업을 장려하고 스타트업 지원을 열심히 하고 있다는 면에서도 한국과 비슷하다.
마침 CB인사이츠에서 프랑스 스타트업생태계에 대한 자료를 발표했기에 내 블로그에도 주요 내용을 기록해 둔다.

프랑스의 벤처투자는 2017년부터 크게 늘기 시작했다. (마크롱은 2017년 5월에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018년 3.4B달러가 699개의 회사에 투자됐다. 한화로 3조8천900억원정도의 돈이다.

참고로 한국은 3조4천2백억원정도가 지난해 투자됐다. 프랑스의 스타트업 4천6백억원정도가 더 투자됐다. 약 13% 정도 더 많은 돈이다. 2015년까지만해도 한국의 벤처투자금액이 더 많았다.

역시 프랑스도 대부분의 딜은 파리에 집중되어 있다. 파리 기업에 311딜이 집중됐다. 그 다음으로 활발한 곳은 리용, 낭트, 그르노블, 툴루즈의 순이다.

유럽의 주요국가인 영국, 프랑스, 독일은 투자액수에서도 3강이다. 그런데 투자액수에서 보면 영국이 압도적이다. CB인사이츠의 유니콘리스트를 보니 영국의 유니콘이 16개, 독일이 9개, 그리고 프랑스가 2개밖에 안된다. 영국이 어느 사이에 이렇게 유니콘이 많아졌나 싶은데 Monzo, Atom Bank 같은 핀테크스타트업의 부상덕분인 것 같다.

전체 분류를 보니 인터넷분야의 딜이 절반 이상이다. 그런데 이 분류에서는 바이오분야가 빠진 것 같다. 한국의 벤처투자금액에는 바이오분야가 포함되어 있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혹시 프랑스의 벤처투자 통계에 바이오분야는 빠져있다면 한국과 프랑스간의 투자금액 격차는 휠씬 더 클 것 같다.

스타트업에 활발히 투자하는 프랑스 투자사순위다. 1위는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창업가인 자비에르 니엘이 만든 키마 벤처스다. 매주 평균 스타트업 2군데씩 투자한다는 자칭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초기투자사다. 자비에르 니엘은 스테이션F, 에콜 42 같은 곳을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순위인데 Paris&Co는 파리시산하의 경제개발, 혁신에이전시라고 하는데 스타트업에 활발히 투자하고 육성한다고 한다. 2위는 실리콘밸리의 플러그앤플레이와 제휴한 곳인 듯 싶다.

2018년 스타트업 투자 순위다. Voodoo라는 회사에 2억불이 투자됐다. 찾아보니 모바일게임회사다. 2위는 역시 2억불가까이 투자된 Deezer다. 유럽에서는 잘 알려진 뮤직스트리밍회사다. 3위는 블라블라카로 장거리카풀스타트업이다.

투자액 톱 10을 보면 톱이 2천2백억원에서 10위가 470억원규모로 꽤 큰 투자가 이뤄지는 편이다. 벤처중기부에서 발표한 지난해 한국의 상위 투자유치기업을 보면 1위가 475억에서 10위가 220억이었다.

큰 엑싯을 몇개 소개했는데 M&A로 피플독이란 회사의 M&A가 3천3백억원대의 큰 소프트웨어회사 인수건으로 나와있다. 한국에서는 수백억원짜리 M&A가 고작인데 프랑스에서는 그래도 꽤 큰 인수딜이 나오는 것 같다. 반면 소개된 IPO 두 건은 밸류에이션이 1천2백~1천3백억원대로 그렇게 크지 않다. 지난해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IPO는 카페24의 상장이었고 밸류에이션은 1조원정도가 됐다.

마지막으로 주요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현황이 소개됐다. 파리의 Meero라는 스타트업은 인공지능 기반 사진편집기능을 제공하는데 약 500억원정도의 시리즈B펀딩을 받았다. 프랑스에도 꽤 큰 투자를 받기 시작한 AI스타트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프랑스 정부가 CB인사이츠와 어떤 계약을 했는지 매년 이렇게 프랑스의 테크스타트업현황을 전하는 깔끔한 자료가 발표되고 있다. 지난 몇년사이에 프랑스의 이미지가 많이 바뀌어서 혁신스타트업이 많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CES에서 La French Tech라는 국가 브랜드로 프랑스 스타트업이 매년 대거 참가하면서 화제를 일으키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그런 분위기가 프랑스내에서도 창업열기와 함께 벤처투자액도 크게 증가하는 원인이 된 것 같다. 하지만 의외로 1조원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스타트업은 프랑스에 블라블라카와 OVH 2군데 밖에 없다.
한국의 벤처투자도 프랑스만큼은 아니지만 크게 늘어나고 있다. 조금만 더 잘하면 몇년안에 프랑스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앞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유니콘스타트업은 한국이 6곳이나 있어서 휠씬 앞선다. 한국은 모빌리티나 헬스케어, 핀테크 등의 뒤쳐진 규제를 과감하게 풀고, 글로벌하게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더 많이 나오면 스타트업생태계가 또 한단계 올라설 것으로 생각한다.
프랑스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해서 공부 겸 메모. 2018 한국 벤처투자 동향 리뷰와 비교해서 보면 좋다.
[…] 2018 프랑스 스타트업 생태계 리뷰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2018 프랑스 스타트업 생태계 리뷰 - DEVBLOG - 개발자 메타블로그
2019년 2월 11일 at 12:11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