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교육적 읽기에 적합한 아이패드:전자교과서로서의 가능성

leave a comment »

방금 읽은 뉴욕타임즈의 A Textbook Solution이란 기사에서 ‘읽기(Reading)’라는 행위를 대략 3가지종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Schnittman breaks down reading into three kinds: extractive reading (say, looking up words in the dictionary), immersive reading (sinking into “Moby-Dick”) and pedagogic reading (studying a physics curriculum). The first type is well suited to the search capacities of digital devices. The second works beautifully on e-ink readers. The third? So far it has failed in all electronic formats, awaiting the right hardware — the so-called form factor. Schnittman says the solution might be in tablets like the iPad. He even says that Apple purpose-built the iPad as an educational device.

첫번째, Extractive reading은 발췌해가면서 읽는 것. 사전을 찾아보거나 백과사전을 읽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종이책보다 디지털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월등히 편리하다. 전자사전이 종이사전을 몰아내고 위키피디아가 두꺼운 브리태니커사전전집을 고사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두번째 Immersive reading은 몰입해서 읽는것이다. ‘밀레니엄’같은 흥미로운 소설에 푹 빠져서 몰입해서 읽는 것을 말한다. 주로 텍스트위주로 된 내용을 읽는 것이기 때문에 e-ink스크린을 채용한 킨들같은 전자책리더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세번째 Pedagogic reading은 교육을 위해 읽는 것이다. 즉, 배우기위해 교과서를 읽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복잡한 수학공식, 그래픽 등을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모든 전자기기들이 종이교과서를 대체하는데 실패했다. 지난해 몇개 대학에서 이뤄진 킨들을 전자교과서로 쓰는 실험은 실패했다고 한다. 학생들이 느린 흑백화면의 킨들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전자책 전문가인 Mr Schnittman은 아이패드의 디지털교과서로서의 성공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듯 하다. “It’s the educational wolf in sheep’s clothing” 미국의 교실안에서 아이패드 등 타블렛이 과연 적극적으로 쓰이게 될까? 그렇게만 된다면 학생들의 가방은 상당히 가벼워지게 될 듯 싶다.

Written by estima7

2010년 9월 18일 , 시간: 9:11 pm

모바일웹트랜드, iPad에 게시됨

Tagged with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