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Archive for 4월 19th, 2019

스타트업 성장 그래프의 실제 모습

with 6 comments

직업상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많이 만난다. 이제는 우리나라에도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이 제법있고 1~2년안에 유니콘이 될 로켓스타트업도 제법 많다. 미디어를 통해서 비춰지는 이들의 성공스토리를 읽다보면 너무나 똑똑하고 훌륭한 창업자들이 이끄는 이들 스타트업이 위 왼쪽 그래프처럼 아무 문제 없이 로켓처럼 아름답게 성장해 오늘에 이른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그런 착각을 할 때가 많다.

그런데 사실 현실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알고 보면 오만가지 고난, 시행착오를 통해 성공에 이른 것이다. 결코 아름답지 않은 일도 많다.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니까.) 창업팀간의 반목, 다툼, 시기 그리고 집단 퇴사 등등. 돈이 다 떨어져서 망하기 직전까지 가는 일 등이 실제로 벌어진다. 그러다가 하늘이 도와 귀인을 만나서 간신히 위기를 넘긴다. 그러다가 시리즈 A, 시리즈 B 등을 지나 어느 정도 대외적으로는 멀쩡한 회사처럼 보이는 단계가 된다. 하지만 급성장을 하는 회사는 당연히 내부는 항상 불안정하고 정신이 없다. 외부에서는 “잘나가는 그 회사는 사실 알고 보면 내부는 개판이라더라”는 말이 루머처럼 떠돈다. 그런 회사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고 떠난 사람들이 그런 이야기를 확대 재생산한다.

창업자와 좀 친해지고 오래 이야기해봐야 이런 진짜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처음 만난 기자에게 이런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는 없으니까.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라면 10번은 중간에 그만뒀을텐데…”하는 생각을 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뭔가 이뤄낸 창업자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공통점이 있다. 자신이 믿는 가치를 고수하는 것과 고객에 대한 집착이다. 가만 보면 돈은 중요하지 않다. 머리아픈 스타트업 운영보다 다른 일을 하면 돈을 휠씬 더 많이 벌 수 있는 능력자들이다. 그럼에도 스타트업을 하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뭔가를 이뤄내고 싶은 욕망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가치를 믿고 자신을 따르는 직원들과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해주는 고객에 대한 병적인 집착이다. 주위 사람들이 무슨 이야기를 하던, 결국 이들은 무시무시한 열정과 집중력으로 뭔가를 이뤄낸다.

오늘도 한 유명 창업자와 몇시간을 이야기하면서 위 그림을 떠올렸다. 물론 위 그림은 꼭 스타트업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Written by estima7

2019년 4월 19일 at 10:58 pm

스타트업에 게시됨

Tagged wi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