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4월 5th, 2019
예상보다 빠르게 보급되는 음식배달로봇

스타십테크놀로지라는 자율주행로봇을 만드는 스타트업이 있다. 에스토니아출신들이 샌프란시스코와 탈린에서 2014년 창업한 회사다. GPS와 카메라를 장착하고 사람이 걸어다니는 인도를 달려서 음식을 배달해주는 앙증맞은 로봇을 만든다.
이 회사의 제품을 보면서 가능성은 있어보이지만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는 아직 먼 것이 아닌가 싶었다. 과연 로봇이 목적지를 잘 찾아가 음식배달을 완수하고 잘 돌아올 수 있을지 의심스러웠고 속도도 느리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그런 것은 내 기우였던 모양이다.

이 회사가 지난 1월부터 미국 조지메이슨대에서 이 로봇을 활용한 음식배달 서비스를 상용화했다는 뉴스가 있었다. 4만명의 이 학교 학생과 교직원들이 앱을 이용해 음식을 주문하면 로봇이 배달해 주는 것이다. 26대의 로봇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는 잘 될까 싶었다.
그런데 이 로봇배달 서비스가 아주 잘되고 있다는 뉴스보도를 오늘 접했다. 위 뉴스클립이다.
이 뉴스에 따르면 지난 1월에 시작된 이후 1만번이상의 배달이 이뤄졌다. 배달로봇은 지금 40대로 늘었으며 새벽 2시까지 배달하고 있다. 그리고 곧 24시간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던킨, 서브웨이 등이 이 로봇을 통해 배달을 하고 있고 곧 스타벅스, 치폴레 등도 가세한다고 한다. 배달료는 건당 1.99불이다.

피자가 가장 인기라서 하루 70번이상의 배달주문이 있고 예전에는 없던 아침식사 주문도 많다고 한다. 음식주문량이 늘어나서 식당들에서 아르바이트 일자리도 20명정도 늘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커피도 많이 주문해 마신다고 하니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사용하는 모양이다. 생각해보면 밤낮없이 배달 일을 하는 아르바이트생 40명을 고용한다고 하면 그 인건비가 장난이 아닐텐데 확실히 이런 배달로봇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이 높을 것 같다. 일이 많다고 불평하지도 않을테고 쉬지 않고 개미처럼 일한다.
스타십은 여세를 몰아 스타십 패키지 배송서비스를 시작했다. 집에 배송되는 택배상자를 스타십센터에서 대신 받도록 한 뒤 집에서 앱으로 명령하면 로봇이 집 문 앞으로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라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서비스다.
아직 먼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가까운 장래에 로봇이 배달해주는 짜장면이나 떡볶이를 받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무인 주문기가 순식간에 식당을 점령하는 것을 보니 드는 생각이다. 한 푼이라도 인건비를 줄여야 하는 식당입장에서는 배달로봇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것 같다.
Update : 내 위 블로그 포스트를 보고 SBS 김수형 워싱턴DC특파원이 내친 김에 조지 메이슨대 취재를 다녀왔다. 실제로 가보고 생각 이상으로 로봇 배달이 잘 운영되고 있어서 놀랐다고 한다. 아래는 그 내용을 다룬 비디오머그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