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샌프란시스코의 점프 바이크로 보는 Maas

with one comment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했을 때 시내 곳곳에 있는 빨간 자전거를 보고 놀랐다. 점프 전기자전거다. 2018년 2월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이 자전거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리고 2018년 4월에 우버에 2억불에 인수됐다. 한화로 2천2백여억원이다.

생각보다 점프자전거가 샌프란 시내에 아주 많이 보여서 놀랐다. 자전거거치대에 꽃아놓지 않아도 되는 Dockless자전거이지만 인도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 스탠드에 끼워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중국의 공유자전거처럼 길거리 아무데나 버려져 있는 느낌은 아니었고 어느 정도 정돈된 느낌이었다.

샌프란에서 우버앱을 열면 이렇게 나온다. 차를 렌트할지, 자전거를 탈지, 아니면 우버차를 부를지 물어본다. 무조건 우버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렇다 보니 가까운 1~2km거리에 갈 때 차보다 자전거를 타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자전거도 생각보다 많다. 쉽게 잡아 탈 수 있다. 잡고자 하는 자전거를 미리 앱으로 예약을 잡고 가서 타면 된다. 처음 30분이 2불, 그리고 이후부터는 분당 7센트다.

이 서비스를 미국 전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직접 타보니 전기 자전거가 정말 편하다는 것을 느꼈다. 페달에 별로 힘을 주지 않아도 쑥쑥 나간다. 타기에 정말 수월하다. 샌프란시스코에는 언덕이 많은데 올라가는데도 전혀 힘이 들지 않는다. 직접 타봐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점프바이크가 서비스 개시 1주년을 맞이해 발표한 데이터가 흥미롭다. 지난 일년간 6만3천명의 점프 고객이 62만5천번 자전거를 탔다. 특히 처음 9개월간 겨우 250대의 자전거로 만든 성과다.

이렇게 단거리는 우버대신 점프바이크를 타다보니 당연히 전체 우버 차량의 호출건수는 10%가 줄었다. 하지만 우버 입장에서는 전체 우버 교통 사용량은 오히려 늘었다. 이것이 바로 Maas 다. Mobility as a service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이런 데이터다. 사람들이 점프 자전거를 타고 어디에서 내리는지 알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도심이다.

사람들이 점프 자전거 앱을 열어보는 위치를 표시한 지도다. 점프는 현재 샌프란스시코 시내에서만 되는데도 베이에어리어 전역에서 “혹시 우리 동네에서 되나”하고 점프앱을 열어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디맨드가 있다는 뜻이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2월 14일 , 시간: 10:54 pm

One Response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