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L인기의 비밀-Level playing field 만들어주기
미국에 와서 살면서 놀라는 것중 하나가 미식축구의 인기다. 굳이 어제 열렸던 수퍼볼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날이 갈수록 더해가는 미식축구의 인기에는 나도 놀랄 정도다. 몇십년전에는 이렇지 않았던 것 같은데 메이저리그 등 기를 펴지 못하는 다른 스포츠에 비하면 경기불황과도 상관없이 변함없이 팬들의 사랑을 누리고 있다.
지난해 가을의 경우 가장 많은 시청율을 올린 25개 TV프로그램중 23개가 NFL풋볼경기였다. 또 2011년 가장 높은 시청율을 올린 프로그램 10개중 9개가 풋볼 관련이었다.
미디어파편화현상이 가속되는 요즘에도 수퍼볼은 매년 시청율기록을 경신해가고 있다. 어제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뉴욕자이언츠 vs. 뉴잉글랜드패트리오츠의 경기는 1억1천1백만명이 시청해 미국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시청한 TV프로그램의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수퍼볼경기의 TV광고는 가장 비싼 광고다. 어제의 경우 30초광고에 3백50만불의 가격표가 붙었다.
이렇다보니 NFL경기는 언제나 TV시청율톱이고 중계료는 매년 천문학적으로 올라가기만 한다. 2014년부터 새로 갱신되는 NFL TV중계권은 1년에 총 4.95B 즉, 5조5천5백억원수준이니 말 다했다. 그에 비해 웬지 메이저리그야구는 시들한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내 주관적 느낌이지만.)
도대체 NFL은 무엇때문에 이렇게 인기가 있을까? 내가 궁금해했던 미식축구 성공의 비결에 대해서 힌트를 주는 칼럼을 지난주에 WSJ에서 발견했다. NFL에서 78년까지 춰터백으로 활약했던 프랜 타켄톤이란 사람이 기고한 “How Football Became the National Pastime”(미식축구는 어떻게 미국의 국민오락이 되었나)라는 글이다.
내용은 이 한줄로 요약된다. The NFL’s success is based on financial parity among teams and ruthless meritocracy among players. NFL의 성공은 팀간의 재정을 균형있게 맞춰준 것과 함께 선수들에게는 무자비할 정도의 실력주의를 적용한 것에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내가 놀란 것은 NFL에서는 모든 팀이 TV중계권료를 평등하게 나눠가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1962년 당시 커미셔너(총재)였던 Pete Rozelle이 구단주들을 설득시켜서 이뤄낸 것이라고 한다. 즉, 뉴욕 자이언츠 같은 빅마켓팀과 위스콘신 그린베이 같은 스몰마켓팀이 똑같이 돈을 나눠갖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래도 머천다이즈판매수입등 빅마켓팀이 돈을 더 벌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큰 팀과 작은 팀이 어느 정도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이 그의 결정으로 이뤄졌다.
Rozelle recognized that the NFL i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and people don’t want to see big-market teams demolish outclassed opponents week after week. They want to see hard-fought games with evenly matched opponents, as in the 1958 championship game between the Baltimore Colts and the New York Giants—the sudden-death overtime thriller Baltimore won, 23-17, in what is commonly called the “Greatest Game Ever Played.”
로젤은 NFL이 엔터테인먼트비즈니스라는 것을 인식했다. 그리고 빅마켓팀이 상대도 안되는 작은 팀을 매주 격파해나가는 것을 보고 싶어하지 않다는 것도 알았다. 사람들은 실력이 균등한 팀들이 서로 치열한 경기를 펼치는 것을 보기를 원했다. 1958년의 볼티모어 콜츠와 뉴욕자이언츠의 챔피언쉽 경기처럼 말이다. 오버타임에서 볼티모어가 서든데스로 이긴 이 경기는 “역대 최고의 경기”로 불리운다.
내가 이 부분에서 감명받은 것은 피트 로젤의 선견지명으로 다윗과 골리앗이 평등하게 싸울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즉, Level playing field다. 우리가 흔히 벤처기업을 위해서 대기업에만 특혜를 주지 않는 공평한 사업환경을 마련해줘야한다고 말하지 않는가. 바로 그런 환경의 토대를 NFL은 62년에 마련한 것이다.
그렇게 할 수 있던 것은 당시 파이가 작았기 때문이다. 62년의 NFL은 겨우 총 4백65만불의 TV중계권료를 각 팀이 33만불씩 나눠가졌다고 한다. (당시는 AFL리그와 합병이전이었다.) 그러니까 공평한 배분을 하도록 구단주들을 설득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면 정확히 50년뒤인 지금은 얼마나 전체 파이가 커졌는지 보자.
당시로서는 얼마되지 않았던 TV중계권료는 NFL의 인기가 올라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현재 각 팀은 9천6백만불씩을 배분받고 있고 2014년부터는 1억5천5백만불씩 배분받는다고 한다. (NFL은 총 32개팀)
영화 머니볼에서 보듯 적은 예산을 지닌 오클랜드애슬래틱스와 부자구단인 뉴욕양키스와의 불공평한 경쟁같은 상황은 NFL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전체 리그 팀들의 실력이 평준화되면서 더 다이내믹한 경기가 벌어지고 그것이 시청자들을 더 많이 끌어들이면서 풋볼 생태계에 선순환이 일어나게 됐다. 그러면서 전체적인 파이가 커지고 그 혜택이 다시 모든 구단으로 고르게 돌아가게 된 것이다. 그 한 예로 NFL팀의 가치도 같이 뛰어올랐다. 1961년에 NFL에 새로 가입한 미네소타 바이킹스는 당시 1백만불의 가입비를 냈었는데 2002년도에 조인한 휴스턴 텍산스는 자그마치 7억불의 가입비를 냈다.
사실 인터넷과 함께 수백개의 채널과 스마트폰, 타블렛 등 다매체로 파편화되는 미디어빅뱅시대에 시청자를 늘려간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NFL이 그만큼 대단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NFL이 엔터테인먼트비즈니스라는 것을 일찌기 인식한 로젤의 선견지명이 빛을 발하는 부분이다.
선수들을 실력주의로 대우하는 것(meritocracy)이야 어느 정도 다른 프로스포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기에 NFL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이 TV중계권의 공평한 배분에서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봤다.
그리고 무엇보다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만들기 위해 올바른 정책을 펼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Level Playing Field의 씨앗을 뿌리는 것이다. 마침 예전의 에릭슈미트의 혁신이야기가 떠올랐다. 그는 벤처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혁신이 일어나기 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가장 먼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다.
First, start-ups and smaller businesses must be able to compete on equal terms with their larger rivals.
첫번째로 스타트업과 작은 회사들은 더 큰 규모의 라이벌회사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 혜택을 주라는 것이 아니다 그저 공평하게만, 기존 강자들이 텃새를 부리지 않도록 경기장을 고르게 만들어주면 된다.
NFL의 경우에 비추어 보니 에릭 슈미트의 말이 정말 맞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정책 당국자들도 먼 미래를 내다보고 정책을 입안했으면 한다.
좋은 글 재밌게 읽어씁니다. Level Playing Field 원칙을 유추해 내신 임사장님의 탁견에 감탄했습니다.ㅎㅎ 정치경제학자들 중에도 풋볼 경기에 쓰이는 전략들을 자료로 연구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기회가 되면 한번 읽어 보세요. NFL 성공 요인들 중 Salary Cap도 중요한 변수인 것 같습니다. 특정팀이 뛰어난 선수들을 독식할 수 없도록 한 부분도 매우 중요한 것 같군요. 마지막으로 NFLPA라 불리우는 선수 노동조합도 의미있는 역할을 하고 있구요.
marxtoday
2012년 2월 6일 at 9:29 pm
감사합니다. 샐러리캡 이야기도 알고 있지만 여기 쓰기에는 너무 길고 자세하게는 알지 못해서 생략했습니다. ㅎㅎ 어쨌든 NFL은 경영의 성공사례로 더 깊이 연구해볼 대상인 것 같습니다.
estima7
2012년 2월 6일 at 10:00 pm
운동으로서의 미식축구가 아닌 산업으로서의 NFL을 바라 보는 것도 흥미롭습니다만, NFL 뿐만 아니라 대학리그도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조금 다르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대학미식축구를 했던 선수입니다.(물론 한국은 미국에 비하면 정말 열악합니다.) 제가 꼭 미식축구라는 운동을 해서가 아니라, 제가 접해본 운동 중에 관전하기에(물론 경기하기엔 아닙니다^^;) 제일 재미있는 운동이 미식축구입니다.
멋진 기술을 보여주는 농구에 비교하면, 러닝백의 질주나 어려운 패스를 받아내는 리시버의 동작 또한 상당히 화려합니다. 대신 농구에는 격투기 같은 터프함은 덜하죠. 미식축구는 정말 터프합니다.
또 화려한 지략을 보여주는 야구에 비교하면, 미식축구에서는 매 다운 숨막히는 감독의 결정이 전장을 좌우하기 때문에 전략 또한 무궁무진합니다. 대신 야구에서는 멋진 장면이나 긴박감은 조금 덜하죠.
어느정도 비슷한 운동이 축구라고 생각되는데, 미식 축구는 축구보다 조금 더 터프하고, 조금 더 전략적이고, 조금 더 숨막히는 질주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진부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미식축구는 땅따먹기, 미국인의 Frontier 정신에도 부합되어 미국인들에게 인기가 상당한 것 같습니다.
나비르
2012년 2월 6일 at 9:33 pm
위 칼럼을 쓴 분이 WSJ에서 비디오인터뷰를 한 것을 보니까 미식축구는 로마의 글래디에이터를 현대로 옮겨놓은 것 같은거라고 비유를 하더군요. ㅎㅎ 말씀하신 내용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미식축구자체의 매력이 있으니 NFL도 이만큼 성공할 수 있는 것이겠죠. 하지만 전 문외한이라서 그렇게까지 깊게는 이해를 못했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estima7
2012년 2월 6일 at 10:02 pm
동감합니다. 운동 중에 가장 재미있는 운동이 풋볼이기 때문에 잘 나가는 거죠. 더이상 재미있을 수가 없어서 ‘인류 최후의 스포츠’라고도 불리죠.
gyoju
2012년 2월 7일 at 7:53 am
그 재미를 저는 아직 잘 모르겠더라고요.ㅎㅎ
estima7
2012년 2월 7일 at 8:27 am
쓰신글 읽어보니
‘NFL인기의 비밀-전체 파이를 키워라!’보다
NFL인기의 비밀-Level playing field!’ 이 더 와 닿는거 같습니다.
Dohyung Kim
2012년 2월 6일 at 9:38 pm
저도 써놓고 보니 제목을 잘못 단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대로 다시 바꿨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estima7
2012년 2월 6일 at 10:02 pm
재밌게 읽었었습니다. 제목이「“공정한 분배”로 파이를 키워라」가 더 적당할듯 싶네요. 한국에 적용하자면 상위 1%에 대한 과세강화, 재벌규제, 중소기업 육성, 서민복지강화, ..
coffee4man
2012년 2월 6일 at 10:09 pm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이기범
2012년 2월 7일 at 12:47 am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저도 어제 친구들과 슈퍼볼 보면서 우리나라 프로 스포츠가 크게 되지 못하는 이유중에 하나가 중계권료에 있지 않나?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렇게 숫자로 보니까 정말 중계료가 엄청나군요. 실제로 프로 스포츠팀 (혹은 조직)의 수익중에 중계권이 차지하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네요 ^^
Taekyung Kim
2012년 2월 7일 at 1:08 am
저도 궁금한데 거기까지는 조사를 못해봤습니다. 언젠가 시간이 될때 NFL구단은 어떻게 경영되나를 한번 보려고 합니다.
estima7
2012년 2월 7일 at 6:45 am
공 들고 이리저리 뛰어다니다 가끔 킥도
하는 NFL이 재미가 없었는데 큰 인기에는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영준
2012년 2월 7일 at 2:59 am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마 축구에서 English Premier League가 잘 나가는 이유 중 하나를 중계권료의 고른 분배로 인한 리그 평준화로 꼽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EPL에서는 1. 영국 내 중계권의 1/2를 20개 구단이 고르게 나누고 2. 1/4은 리그 최종 순위에 따라 비중을 다르게 두어 나누고 3. 나머지 1/4은 TV 중계에 나오는 횟수에 따라 나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외 중계권은 100% 20개 구단이 고르게 나눠 가진다고 합니다.
위에 중계권의 비중에 대한 댓글이 있길래 Manchester United의 예를 들자면 Man Utd는 2009-2010 시즌에 £286.4m의 매출을 올렸는데 그중 broadcasting이 £104.8m로 약 37%쯤 되는군요.
Changbum Sohn
2012년 2월 7일 at 9:22 am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NFL에 이런 비밀이 있는 줄 처음 알았네요..
이태식
2012년 2월 7일 at 6:39 pm
(=^▽^)/ ♪와 역시 그런 공평한 중계권료 분배정책이.있었다니
경쟁을 하려면 제도적인 뒷받침도 필요하군요
kimjunho79
2012년 2월 11일 at 7:15 am
[…] 그리고 먼 미래를 대비한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느끼게 됐다. (TV시청료수입을 팀간에 공평하게 나눈다는 50년전 총재의 선견지명으로 지금 NFL미식축구가 얼마나 대단하게 성장했는지에 대해서 얼마전 블로그에 소개한 바도 있다. 이것도 정책의 중요성의 한 예라고 생각한다. 참고 : NFL인기의 비밀-Level playing field 만들어주기) […]
코닥의 몰락에도 살아남은 로체스터시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2012년 2월 12일 at 8:24 pm
[…] -미식축구는 너무나 미국적인 스포츠이자 자본주의의 결정체다. 거대한 콜로세움에서 진행되는 현대의 검투사들의 땅따먹기 전쟁이다. 이런 오락거리를 만들어낸 NFL의 경영능력에 탈모. (참고 : NFL인기의 비밀-Level playing field 만들어주기) […]
수퍼볼을 보고 든 잡생각 몇가지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2013년 2월 4일 at 2:57 pm
우리나라 프로스포츠 관계자분들도 꼭 읽었으면 좋겠네요
김진성
2013년 2월 6일 at 5:40 am
NFL 의 생태계가 경제논리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 보이는 군요,, 예전과 지금은 많이 달라 졌지만,,, Level playing field 컨셉에 공감 합니다…블로깅 감사 합니다..
rapael99
2013년 2월 18일 at 4:31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