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메일콜을 사용해 보고
오늘 내 지메일창에서 활성화된 지메일 콜, 즉 지메일을 통해서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을 실제로 써보고 감탄했다.
쉬울거라고 생각했지만 정말 이렇게 쉬울 줄이야. 그리고 통화품질도 괜찮았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나의 경우 맥북프로에서 크롬브라우저로 테스트했다. 지메일에서 왼쪽 채팅창에
Call phone이라는 채팅명이 나타났길래 이 전화기능이 활성화된 것을 알게 됐다. 눌러보니 플러그인을 깔라고 해서 바로 설치하고 크롬브라우저를 재시동, 바로 전화를 걸어볼 수 있었다.
마치 채팅창처럼 나타나는 다이얼패드를 이용해 미국내 친구번호로 전화를 해서 통화했는데 통화품질에 아무 문제가 없었다. 예전에 Google Voice를 가입해 내 고유번호(이 동네의 로컬전화번호)를 미리 받아둔 일이 있었는데 상대방에게는 자동으로 그 번호가 내 발신자번호로 나타났다. 그 친구가 표시된 발신번호로 콜백을 하면 내 지메일 채팅창이 전화를 받아서 벨소리를 울려준다. 컴퓨터를 켜고 지메일창을 열어둔 경우라면 컴퓨터자체가 자체 전화번호를 가진 전화단말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미리 구글보이스를 가입하지 않고 전화를 거는 유저의 경우는 상대방에게 동일한 지메일프로모션용 전화번호가 뜬다고 한다.
미국이나 캐나다 번호 전화통화는 올 연말까지 공짜. 한국의 경우는 일반전화로 걸때에는 분당 2센트, 휴대전화는 분당 5센트. 1시간정도 일반전화로 통화해도 1천5백원정도면 된다. 당장 구글체크아웃을 통해 구글보이스크레딧을 10불어치사서 한국으로 전화를 걸어보았다. 아무 문제없이 통화할 수 있었다. 상대방은 내가 지메일을 통해서 전화건 것을 눈치채지 못했다. 한국으로 거는 경우에도 상대방 전화에는 내 (구글보이스) 발신번호가 나타난다. 10분통화하고 20센트 크레딧을 사용했다.
하여간 써보니 쉽다. 음질은 … 솔직히 미국내 통화의 경우는 휴대폰으로 하는 것보다 더 깨끗한 것 같기도 하다. 무엇보다 수화기를 귀에 댈 필요없이 컴퓨터 마이크, 스피커로 하거나 이어폰을 이용해서 핸즈프리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구글보이스를 잘 활용하면 보이스메일도 구글로 받고 상대방 음성메시지를 Text로 자동으로 받아써서 전달해주기도 한다.
이건 정말 혁명적인 변화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첫날 24시간동안 지메일을 통해 1백만통의 통화가 이뤄졌다는 것도 무리가 아니겠다 싶었다.
특히 나처럼 스카이프크레딧을 구입해 한국과 통화할 때 쓰는 경우에는 스카이프보다 지메일콜이 휠씬 편리하다 싶다. 어차피 지메일은 항상 열어놓고 있고 미국통화는 공짜인데다 한국통화도 아주 저렴하고 무엇보다 내 고유번호를 가질 수 있고 발신자번호가 상대방에게 제대로 표시되니 말이다. 스카이프의 매출에 나름 영향이 가지 않을까 싶다.
NYT의 데이빗포그의 오늘 기사 “Google Shakes It Up Again With Free Phone Calls”에 나도 동감이다. 그의 말처럼 이제 이통사들은 히스테리를 부릴 시점이 되었고, 지메일콜은 Game Changer가 될 가능성이 크다. 지메일콜이 “The newest telecom killer”라는 제목의 기사도 나왔다.
그 옛날 이스라엘 보컬텍의 ‘인터넷폰’이 생각난다. 또 99년인가 새롬기술의 다이얼패드를 처음 써보고 느꼈던 감동도 생각난다. 다이얼패드가 구현하고자 했던 것을 구글이 이제 아주 이상적으로 만들어 실행한 것이 아닌가 싶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미국에서만 된단다. 판도라, 훌루, 넷플릭스 등등 미국에서만 되는 것이 요즘 너무 많아서 한국에 계신 분들이 많이 부러워하신다. 뭐 구글 지메일콜은 얼마 안있으면 한국에서도 제공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사족 : 구글보이스콜의 진화를 보면서 문득 다시 생각난 Onion News의 동영상. 안보신 분들은 꼭 보시길. (패러디뉴스인데 예전에 트윗했더니 진짜로 받아들이시는 분들이 많아서 곤혹스러웠음)
트위터를 통해 읽게 되었는데…정말 잘 읽어보았습니다.
이것도 사용자가 늘어나면 느려진다거나 품질이 안좋아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있네요. 지메일만 해도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데…
앨런
2010년 8월 26일 at 11:40 pm
며칠 계속 써보고있는데 아직까지 품질이 떨어진다는 느낌은 없네요. 지메일이 속도가 계속 느려진다고요? 벌써 6년째 꾸준히 써오고는 있는 저는 그런 느낌을 받은 일이 없는데.
estima7
2010년 8월 29일 at 5:31 am
그정도 인가요? 에스티마님 사용기라 더 신용이 간다는.. ^^
저도 말씀하신 초창기 새롬의 다이얼패드를 써본적이 있습니다만
신기하긴했어도 이걸로 상용화는 좀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을 만큼
품질에는 실망을 했던 기억때문에 구글의 새로운 서비스에
그다지 관심이 가지 않았었는데요.
품질이 좋다면 저역시 굉장히 관심이 가는건 사실이구요.
오랜만에 구글의 대박 서비스가 될지 흥미롭네요.
컬러네임
2010년 8월 26일 at 11:58 pm
저는 2000년인가 99년인가 다이얼패드 처음 써보고 감동했었습니다. 물론 음질은 떨어지지만 그 당시로서는 정말 혁신적인 시도였기 때문이죠. 초심을 잃지 않고 계속 꾸준히 사업을 시도했더라면 지금 스카이프 같은 기업이 되어 있을지도 모르는데… 닷컴버블 광풍에 …..
어쨌든 그 다이얼패드팀이 지금 구글로 옮겨서 이번 서비스를 만들어냈다니 (@woohyong님 말씀) 참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10년전과 지금은 여러모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성공여부를 일찌기 재단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estima7
2010년 8월 29일 at 5:29 am
한국 구글에서도 빨리 서비스가 됐으면 합니다. 지금은 그저 구글 토크만 쓰고 있어요.
박종배
2010년 8월 27일 at 3:39 am
블로그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다름아니라 블로그 건의 하나, 검색 메뉴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정보를 찾아보려고 하는데 찾을수가 없어서요 ^^
긱스
2010년 8월 27일 at 4:40 am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ㅎㅎ 나중에 시간날때 한번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estima7
2010년 8월 29일 at 5:26 am
[…] 지메일콜을 사용해 보고 오늘 내 지메일창에서 활성화된 지메일 콜, 즉 지메일을 통해서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을 […] […]
Top Posts — WordPress.com
2010년 8월 27일 at 7:08 pm
음.. 써보고 싶은데 한국에서는 아직 지원이 안된다니 아쉽군요..
된다면.. 괜찮을텐데 ^^;
학주니
2010년 8월 28일 at 12:12 am
한번 써보고는 싶네요 ㅎ.
kimhojung43200115
2010년 8월 28일 at 4:06 am
안드로이드폰에서 구글보이스를 설치하고 기본 콜 핸들러로 구글 보이스를 선택해두면 모든 발신 전화를 기본으로 구글 보이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우선 순위 테스트는 아직 해보지 않았지만 전화가 올때 기존의 콜 핸들러가 무력화되는 수준의 1순위로 올라가는 방식이라면(누가 좀 확인해주세요.) 결론적으로 이통사의 보이스콜은 완전히 무력화되는 것입니다.
Skype의 경우 전화 통화 중에 전화가 오거나 SMS가 오면 Skype가 강제 종료되거나 중단되는 식으로 우선 순위가 기본 콜 핸들러보단 떨어졌었죠. 안드로이드폰에서 콜 핸들러 자체가 Google Voice 인것 같던데. 더 이상 이통사 음성망은 이용할 이유가 없을 듯.
s
2010년 8월 29일 at 3:29 am
네 말씀하신 바가 맞습니다. 그래서 지난해 구글보이스 처음 나오고 아이폰앱스토어에서 구글보이스앱이 삭제됐을때 난리가 났었죠.
estima7
2010년 8월 29일 at 5:26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