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Ted.com 프로듀서가 전하는 TED의 놀라운 성장의 비결

with 13 comments

항상 경외심을 품고 보는 사이트가 있다. TED.com

세계의 지성들이 모여서 열정이 넘치는 발표가 이뤄지는 TED컨퍼런스. 참가비가 6천불이나 되는 비싼 컨퍼런스. 그 귀중한 발표를 낱낱이 생생하게 온라인에서 비디오로 공개하는 곳이 TED.com이다. 뿐만 아니다. Podcast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해 iPod, iPhone 등에서도 쉽게 강연을 접할 수 있고 Youtube.com을 통해서도 모든 강연이 낱낱이 제공된다.

‘지식의 공유’라는 차원에서 이렇게 멋진 사이트가 있을 수 있을까. 모든 강연을 다 보지는 못하지만 가끔씩 정말 가슴을 때리는, 큰 깨달음 ‘aha moment’를 제공하는 비디오를 만날때마다 정말 TED에 감사하고 있다. 그리고 어떻게 이런 멋진 컨퍼런스를, 사이트를 운영하는지 궁금했다.

그런데 내 의문을 상당부분 풀어주는 멋진 발표동영상을 오늘 만났다. 이번주 열린 Web 2.0 Expo에서 발표한 Ted.com Executive Producer, June Cohen의 20분짜리 동영상이다. 제목은 “”Ideas Worth Spreading: TED’s Transition from Conference to Platform” TED가 어떻게 콘퍼런스에서 진정한 지식플렛홈으로 발전했는가에 대한 설명이다.

역시 지식의 공유를 실천하는 ‘실리콘밸리의 현자’, Tim O’Reilly에게 이런 동영상을 컨퍼런스 하루만에 공유해준데 대해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위 동영상은 TED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신 분이라면 꼭 보셔야하는 초강추! 동영상이라고 생각한다. 꼭 보시길!

참고로 위 발표내용에서 몇가지 인상적인 부분을 뽑아내면,

지난 몇년간 TED비디오의 소비가 이렇게 괄목할만큼 늘어났다.

TED 비디오뷰중에서 절반은 TED.com을 통해서, 21% 정도는 Downloads, Podcast를 통해서 소비된다고 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6%밖에 안되보이는 Embeddable player, 즉 블로그에 붙여진 TED비디오가 큰 입소문효과를 내서 전체적으로 많은 트래픽을 유발시킨다고 한다.

TED Open Translation Project를 통해서 TED강연이 전세계 각국어로 번역되고 있다. 위 슬라이드는 그중 가장 많이 번역되는 20개언어다. 물론 한국어도 상당한 비중인데 놀랍게도 불가리아어가 중국어와 나란히 있다. 불가리아어를 말하는 인구는 9백만밖에 되지 않지만 약 20명의 헌신적인 번역자들이 있어서 그렇다고 한다. 아랍어도 마찬가지인데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 아랍인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많은 TED비디오가 아랍어로 번역됐다고 한다.

최근 발표된 Open TV Project이야기도 나왔다. 전세계 어떤 방송국이라도 TED비디오를 무료로 가져다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다. 지식을 더 오픈시켜 널리 퍼뜨린다는 취지에도 맞고 이미 TED와 제휴하고 있는 많은 TV방송국들의 권유로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 한국에서라면 EBS가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냥 TED비디오를 그대로 방송하는 것보다는 앞뒤로 해설을 붙여서 그 나라에 맞는 Context를 더 제공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다.

TED는 정말 웹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멋지게 보여주는 사례다. 웹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이런 세계적인 지성들의 육성 강연을 생생하게 보고 배울 수 있을까. 너무 인터넷이 고맙다.

Written by estima7

2010년 5월 7일 , 시간: 11:08 pm

Webtrends에 게시됨

Tagged with

13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estima님이 소개해 주지 않았더라면 모르고 지나갔을, 멋진 스피치 즐감 했습니다.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broader mission of spreading ideas라는, a philosophy of radical openness 라는 경이로운 생각을 하게 만드는지를 새삼 되돌아보게 합니다. TEDx 라는 것이 ‘TED as a platform’으로의 트리거 역할을 해주는 것 같은데요, 각자의 일터에서 작은 규모에서라도 시도를 해봄 직 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여러 뜻 있는 사람들이 이미 시작하고 있긴 합니다만…

    한종호

    2010년 5월 8일 at 3:21 am

    • 저도 사실 이런 것 볼 시간이 없어서 힘들게 다운로드받아서 아이패드에 넣어놨다가 운동할때 몰아서 보고는 합니다. 어제는 피곤해서 그냥 자려다가 이 비디오가 너무 괜찮아서, 모두에게 공유해드리고 싶어서 잠 좀 늦게 자고 짤막하게 포스팅했습니다.^^ 한이사님이 즐감하셨다니 힘이 나네요!

      estima7

      2010년 5월 8일 at 7:30 am

  2. 공공조달부문의 교육을 담당하는 공무원으로서 유익한 정보의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공감하고 도전을 받게 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김주생

    2010년 5월 8일 at 7:47 am

    • 네 TED에서 많은 영감을 받으셔서 한국에서도 지식을 확산시켜주십시오!

      estima7

      2010년 5월 8일 at 9:39 am

  3. 저도 인터넷이 고맙습니다. 그리고 늘 좋은 정보 소개해 주시는 에스티마님도 고맙습니다!

    kevin lee

    2010년 5월 8일 at 8:28 am

  4. 영어가 짧아 다 알아듣지는 못했지만 하여간 감명깊게 봤습니다 에스티마님에게 항상 감사드립니다

    Sekyung Lee

    2010년 5월 8일 at 8:32 am

    • 저도 영어가 짧습니다만 요즘은 subtitle기능도 있고 하니까 영어공부한다고 생각하시고 반복해서 보면 많이 늘겁니다ㅎㅎ 지식의 습득을 위해서도 영어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estima7

      2010년 5월 8일 at 9:40 am

  5. 허니몬의 알림…

    Ted.com 프로듀서가 전하는 TED의 놀라운 성장의 비결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도 있지만… 분명, TED라는 기점을 통해서 세계의 유명인사들의 생각과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내게는 행운인 것이다….

    sunfuture's me2DAY

    2010년 5월 8일 at 9:27 am

  6. 저도 경외심을 가지고 봐오던 터였는데, TED의 성공을 설명하는 비디오 정말 잘 봤습니다.

    “무료로 컨텐츠를 공개하는 것이 불안했다. 하지만 일단 좋은 컨텐츠를 만들고 그것을 좋아하는 특정한 타겟층이 생기면, 그들 targeting하고 싶어하는 sponsor가 나타나게 마련이다.”

    라는 말이 인상깊네요.

    sungmoon

    2010년 5월 8일 at 1:21 pm

  7.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바로 podcast에서 HD버젼으로 구독하여 보고 있습니다. 선진국의 집단지성이란 이런 것이었나 싶군요. 우리는 안될까요?

    gootie

    2010년 5월 10일 at 12:40 pm

    • 한국방송국이라도 우선 좀 적극적으로 이런 지식콘텐츠를 웹에서 공유했으면 좋겠습니다만…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ㅎㅎ

      estima7

      2010년 5월 10일 at 12:54 pm

  8. 님의 소개를 통해 본 강연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급진적 개방, 정말 깊게 생각해볼 일입니다. 관련 포스트를 했는데, 트랙백이 없어 여기에 링크 남기고 갑니다. http://anyflow.net/entry/TEDcom-%EA%B8%89%EC%A7%84%EC%A0%81-%EA%B0%9C%EB%B0%A9%EC%84%B1Radical-Openness%EC%9D%98-%ED%9E%98

    어쨌건간에

    2010년 5월 16일 at 8:24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