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트업 지도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2015년말부터 스타트업맵을 공개중이다. “한국에 좋은 스타트업이 어디가 있나요?”라는 질문에 좀 체계적으로 답하기 위해서 우선 10억이상 벤처펀딩을 받은 스타트업을 골라서 지도(?)를 만들었다. 당시에는 10억원이상이면 꽤 큰 투자라고 생각했고 또 개인(엔젤)이나 엑셀러레이터 투자가 아닌 벤처캐피탈(창투사)의 투자로 10억이상을 받으면 어느 정도 검증된 스타트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일단은 어느 정도 언론에 공개된 회사들을 리스트업해서 76개사 정도를 모아서 지도를 만들어 봤다. 물론 당시에도 빠진 회사들이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알려진 회사들은 대부분 위 지도에 넣었다.
그리고 매달 계속 투자뉴스를 따라가면서 이 지도를 업데이트했다. 언론에 10억이상 투자사실이 공개된 스타트업을 위주로 업데이트했다. 사실 10억이상 투자를 받았다는 것을 우리는 알지만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은 스타트업은 넣지 않았다.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리스트는 빠르게 늘어갔다.
최근에는 이 지도 데이터 작업을 자동화하는 작업을 외부의 도움을 받아서 하고 있는 중이다. (너무 감사하게도 큰 도움을 주고 있는 훌륭한 개발자분이 계시다.) 그래서 올초부터 업데이트를 못하고 있다가 이제 작업이 거의 마무리가 되서 곧 업데이트된 지도를 공개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 업데이트된 10억지도에는 571개사가 들어가 있다. 한국의 훌륭한 스타트업들이 이렇게나 많아졌다는 뜻이다.

이제는 누적 100억원이상 투자받은 스타트업들도 이렇게나 많아졌다. 이제는 159개사가 위 지도에 들어가 있다. 기업가치가 이제는 대개 1천억이상이 되는 스타트업들이다.

CB인사이츠의 글로벌 유니콘 스타트업지도가 우리가 만드는 스타트업지도와 비슷하다. 이 유니콘스타트업지도도 처음에는 한 100개내외에서 시작했다가 이제는 거의 400개 가까이 된다. 그리고 위 지도에 이제 한국의 스타트업이 9개쯤 들어가 있다. 앞으로 1년뒤면 한국의 스타트업이 위 유니콘 스타트업 지도에 한 20개 가까이 들어가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 한국의 스타트업 지도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한국의 스타트업 지도 - DEVBLOG - 개발자 메타블로그
2019년 8월 22일 at 6:46 am
투자 많이 받은 스타트업이 좋은 스타트업인가요?
순익이 높은 스타트업이 좋은 스타트업인가요?
좋은 스타트업의 기준이 좀 이상하네요.
투자받은 액수는 이만큼 잘할지도 모른다는 것일뿐 미래가치와는 별 상관없습니다. 저 중에 투자금만 까먹다 사라질 회사도 많겠죠
히히
2019년 8월 23일 at 3:16 am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죠. 저도 예전에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투자많이 받았다는 것이 꼭 성공했다는 의미는 당연히 아니죠. 하지만 말이죠. 이 회사들은 비상장, 비공개회사들이고 대외적으로 매출, 이익 등을 공표할 필요도 없어서 알기도 어렵습니다. 이 단계의 스타트업들이 성장성이 있고 미래가 밝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바로미터중의 하나는 투자유치 내역이거든요. 말씀대로 투자금만 까먹다가 사라질 회사들도 많지만 적어도 10억이상의 VC투자를 받은 회사들은 그렇지 않은 회사들보다는 휠씬 성장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투자를 전혀 안받고도 엄청 잘되는 회사들은 그렇게 많지 않고 이런 식으로 리스트를 만들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런 식으로 투자많이 받은 회사들이 주목 받는 것입니다. 그렇게 이해해주시면 좋겠네요.
estima7
2019년 8월 23일 at 11:48 am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리며, 본 글과는 관련 없는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포스팅해 주신 전체 글 들을 관심있는 주제들부터 과거->최신 혹은 역순으로 시간을 두고 정독하려 하는데,
각 카테고리안에 Post pagination 이 따로 없고 스크롤으로만 글 보기가 이뤄져서 글 보기가 매우 불편합니다.
혹시 제가 몰라서 이 방법으로만 보고 있는건지..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Danny
2019년 8월 23일 at 3:41 pm
너무 늦게 답을 드려서 죄송합니다…ㅠㅠ 제가 블로그 관리를 사실 거의 안하다보니 그렇게 됐습니다. 따로 다른 방법은 없는 것 같고 위의 캘린더를 눌러서 지나간 포스팅을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불편할 것 같네요. 방법이 있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stima7
2019년 10월 7일 at 9:48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