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1년반만에 나스닥 상장한 중국의 Luckin Coffee

오늘(미국시간 금요일) 럭킨커피 Luckin Coffee(중국어로는 루이싱커피 瑞幸咖啡)의 나스닥상장(IPO)이 큰 화제였다. 중국에서 스타벅스의 대항마가 미국에서 상장한 것이다. 그것도 이 회사는 2017년 10월 설립이다. 불과 회사설립 1년반 조금 넘었는데 나스닥 상장을 이뤄냈다. 게다가 첫날 주가가 공모가에서 50%정도 뛰었고 약 5조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게 됐다.
나는 보통 커피숍이나 레스토랑은 자영업자의 영역에 속하지 스타트업이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보통 이야기하고 있다. 노동집약적이고 오프라인 점포를 임대해서 개설해야 매출이 올라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빠르게 확장,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럭킨커피는 이런 내 말을 무색하게 했다. 어떤 소프트웨어, 인터넷 기업도 회사설립 불과 1년반만에 나스닥에 상장해 시총 5조짜리 기업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럭킨은 그것을 해냈다.
내가 럭킨커피를 처음 접한 것은 지난해 8월이었다. VIPKID의 베이징 사무실에 갔다가 1층 로비에 있는 이 커피숍을 만났다. 아래는 그때 찍은 사진이다.

그런데 카운터에 가서 커피 한 잔 주문을 하려고 했더니 안된다고 했다. 앱으로만 주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좀 황당했다. 아무리 첨단으로 한다고 해도 사람이 앞에 있는데 주문을 받지 않고 앱으로 하라니 말이 되는가.

그래도 해보고 싶었는데 나는 중국 전화번호가 없어서 번호인증을 하고 앱에서 주문을 할 수가 없었다. 앱으로 첫 주문하는 커피 한 잔은 무료라고 한다.
이 회사의 차별화요소는 경쟁사인 스타벅스보다 30% 정도 싼 커피값이다. 그리고 커피에 맛을 들인 중국인들이 사무실에서 커피를 다같이 시켜 마시는 트렌드에 주목해 앱으로 간편히 주문하면 빠르게 배달해주는 사업모델을 만든 것이다. 매장의 직원들은 음료를 만드는데만 집중한다.

탕 웨이 같은 톱모델을 써서 인지도를 높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거액을 펀딩하는 능력과 빠르게 점포를 확장하는 능력이다. 럭킨커피는 지난해 싱가포르투자청(GIC)등으로부터 40억불을 펀딩했으며, 올해는 블랙록으로부터 15억불을 투자받았다. 불과 1년사이에 6천억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받은 것이다. 이 자금으로 럭킨은 무섭게 점포를 확장해 1년반사이에 2370개의 점포를 중국 전역에 냈다. 그리고 이번 IPO로 조달한 약 7천억원의 자금으로 이제부터 일년간 2500개를 더 낼 예정이라고 한다. 스타벅스의 중국 점포수는 3600개다. 스타벅스가 큰 위협을 느낄만하다.

그래서 중국의 스타벅스와 맥도널드는 지난해부터 커피를 배달하기 시작했다. 전세계 어디에서도 하지 않던 것을 중국에서 먼저 시작한 것이다.
물론 럭킨커피는 아직 큰 적자다. 지난해 매출은 125M이었는데 적자는 그보다 휠씬 큰 241M이었다. 물론 출점비용이 크니까 이럴 수 있다. 향후 몇년간이 수익성확보에 있어서 중요할 것 같다.
실제로 중국에서 럭킨커피를 이용해 보면 어떤지를 소개하는 미국 비즈니스 뉴스보도다. 이용하기 편리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중국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음료와 먹거리를 낸다는 것이다.
불과 3년만에 25조원가치로 상장한 핀두오두오도 그렇고 중국회사들의 저돌성과 빠른 미국증시상장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거품이라고 비난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중국기업들은 글로벌 자본 생태계를 이용해서 회사를 빨리 키우는데 있어서 우리보다 휠씬 능한 것이 사실이다. 미중무역전쟁속에서도 아랑곳 하지 않고 이처럼 미국증시에 상장하는 모습도 놀랍다. 이런 저돌적인 중국회사들이 한두개가 아니다. 일년에 수십개씩 미국증시에 상장해서 수조에서 수십조 회사가 된다.
미중무역전쟁으로 중국이 조금 주춤한 것처럼 보이지만 계속 중국의 스타트업생태계를 주목해야하는 이유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