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윗(RT)의 무게
소설가 공지영씨가 타워팰리스 투표율이 80%에 이른다는 트윗을 리트윗(Retweet)했다가 구설수에 올랐던 것 같다. 공지영씨는 잘못된 정보를 믿고 트윗했던 것은 잘못이나 트위터에서 이런 오보가 일어날 가능성은 누구에게든 늘 존재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 소동을 보고 트위터의 RT의 무게를 다시 느낀다. 나도 신중하게 RT를 가끔 하는 편이지만 주로 정보성위주로 하고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은 그래서 피하는 편이다. 특히 내가 정확하게 확신이 없거나 원트윗의 저자를 잘 모르면 안하거나 그 사람의 예전 타임라인과 프로필을 확인하고 검색을 해봐서 어느 정도 사실인지 파악을 하고 RT를 하는 편이다.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유명인의 섣부른 RT로 문제가 된 일은 얼마든지 있다. 얼마전 유명한 흑인영화감독인 스파이크리는 플로리다에서 순찰중 다툼을 벌이다 흑인소년을 피살한 조지 짐머먼의 집주소를 트위터 타임라인에서 보고 RT했다. 그런데 사실은 그일과 전혀 관계없는 노부부의 주소였다. 그 주소가 스파이크 리의 24만명 팔로어에게 전해진 뒤 온갖 위협전화와 메일이 잇따랐고 그 70대의 노부부는 집을 나와 피신해야했다. 스파이크 리는 사과후 이 노부부에게 어떤 종류의 보상을 해주는 것으로 합의한 듯 싶다. (뉴욕타임즈 관련기사)
나도 얼마전에 한국에 곧 아이튠스가 시작된다는 트윗을 보고 반가운 마음에 RT한 일이 있다. 트윗계정도 “아이튠스코리아” 같은 식으로 되어 있어서 깜빡 속았다. 그런데 트윗을 하고 불과 1분만에 7분에게서 멘션을 받았다. 그거 가짜라는 것이다. 즉각 지우고 잘못 트윗한 것이라고 정정트윗을 날렸지만 찜찜하긴 했다. 이런 경우는 그렇게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은 아니지만 위 타워팰리스 투표율이나 조지 짐머먼의 주소 같은 경우처럼 사람들의 감정에 불을 지를만한 내용을 유명인이 트윗한다면 그야말로 눈 깜짝할 사이에 불길처럼 퍼져가기 마련이다.
예전에도 “트위터팔로어 2만명 그리고 늘어가는 부담감”이라고 블로그포스팅을 했던 일이 있다. 그것이 거의 2년전인데 나도 지금은 팔로어수가 5만5천명을 육박하고 있다. 더욱더 부담이 된다.
그래서 어쨌든 내가 하고 싶은 얘기는 팔로어가 늘어가는 것에 비례해 그만큼 RT나 트윗의 무게를 느끼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얼마전 트위터 사무실에 들렀을때 로비에 마음에 드는 글귀가 있어서 사진을 찍어왔다.
“Google before you Tweet is the new think before you speak.”
“트윗전에 검색을 하는 것”은 이 시대의 새로운 “말하기 전에 생각하는 것”이다.
이제는 모두가 기자가 될 수 있는 시대다. 트윗전에 꼭 검색하고 맞는지 생각하고 트윗하자.
마지막 사진… 인상적이네요.. ^_^
Ray
2012년 4월 14일 at 7:28 am
안녕하세요. 공감 가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RT에 한해서… 공감해봤자 실천할길 없는 마이너 트위터 ㅠㅠ)
마지막 사진이 인상적이예요 …
사진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사진에 대한 라이센스 정책을 찾을 수 없네요.
양요한 (@yangkun7)
2012년 4월 14일 at 8:17 am
음.. 제가 별 생각이 없이 블로깅을 해서요… 제가 찍은 사진은 크레딧이 없고, 제가 가져온 사진은 출처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찍은 사진을 쓰실때는 출처만 명시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estima7
2012년 4월 14일 at 8:51 am
일종의 트위터계의 연예인이신 셈인데, 공인의 책임감까지 안고 가시는것 아닌가 합니다. 하지만, 마이너 트위터러인 저에게는 리트윗의 책임감이 덜한 장점이 있군요!~
ideaots
2012년 4월 14일 at 8:51 am
연예인라뇨… 무슨… 공인이고 아니고, 유명인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잘못된 정보가 불길처럼 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누구나 조심해야한다는 이야기를 한 것 뿐입니다.^^
estima7
2012년 4월 14일 at 8:53 am
워드프레스와 구플, 트위터만 쓰시는 줄 알았는데 페북도 쓰시는군요. 다양한 매체로 쓰시면 공이 많이 들어가실 듯한데. 저같은 평범한 팔로워 2000명대의 사람도 제 헛소리를 남이 잘못 이해하거나 퍼트릴까 고민하는데, 부담감도 있으실 것 같습니다. 트위터의 장점인 빠른 전파가 이럴 때는 양날의 검이 되는 듯합니다.(트위터 에 대한 비판의 주류도 부정확한 정보의 무책임한 확산이니..)
*트위터 사용자라면 자기 글에 어느 정도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파급력이 큰 분이 잘 못 올린 글에 대한 사과나 수습을 안해서 눈총을 사는 경우도 종종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합니다)
** 줄여말하면 선검색 후RT겠네요^^.
정우Thomasユウعبد الله (@ksixrenine)
2012년 4월 16일 at 1:06 am
‘리트윗의 무게’를 무겁게 느낄수록, 트위터는 올드 미디어의 배포수단의 하나로 전락되겠고, 또한 트위터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을 잃겠지요.
언론에서 몇 차례 등장하였던, RT만 해도 처벌된다는 류의 기사는 해당 사건의 fact를 면밀히 보면 RT만으로 처벌된 경우는 아닙니다.
비슷한 종류의 생각을 적어본 적이 있습니다만, 법조계에도 이러한 논의가 아직 완결된 것은 아닙니다.
http://www.lawtimes.co.kr/LawEdit/Edit/EditContents.aspx?serial=61183&kind=ba11
SangSoon Kim
2012년 4월 18일 at 6:5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