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Management라는 것은 참 어렵다

with 17 comments

주위에 쉽게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요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회사를 경영하는 것 때문이다. 내가 잘하고 있는 것인가. 이렇게 하면 안되는 것 아닌가. 내가 이렇게 게을러서 괜찮은가. 회사직원들이 이런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등등 걱정이 많다.

다음의 인수후 5년간 계속 적자가 이어지며 힘든 구조조정중인 어려운 상황에서 2009년 현재의 회사에 CEO로 부임했다. 정말 회사가 좋아질지 개인적으로 반신반의상태였다. 회사를 결국 정리해야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상황이 그리 나쁘지만은 않았다. 희망은 있었다. 그리고 끈기있게 이끌어간 결과 흑자반전에 성공했다.

2010년초부터 회사실적이 안정된 흑자기조로 반전되는 가운데 의외의 바이어가 나타났다. 그리고 3월부터 매각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솔직히 이제 겨우 본 궤도에 올랐는데 회사를 팔아야한다는 것이 그리 즐거운 일은 아니었다) 그리고 봄부터 가을까지 Due Diligence(회사실사작업)하느라 정말로 힘든 나날을 보냈다.

흔히 인수합병딜이 언론에서 발표되는 것을 보면 쉽게 뚝딱 이뤄지는 것 같은데 실제로 겪어보니 그게 전혀 아니었다. 지겹도록 이어지는 자료요청, 밤낮으로 이뤄지는 컨퍼런스콜, 흔들리는 핵심직원들, 상대방의 의중을 놓고 벌어지는 끊임없는 줄다리기… 특히 한국회사끼리 인수합병도 아니고 “서울의 한국회사가 보스턴의 미국회사를 하이드라밧의 인도회사에 매각”하는 것이니 얼마나 복잡했던지… 더구나 그 인도회사의 인수합병담당임원과 프로젝트리더는 콜로라도 덴버에 있고, 우리쪽 변호사님은 뉴욕에 계셔 복잡성을 더욱 더했다. 서울-보스턴-덴버-뉴욕을 연결한 컨퍼런스콜이 백번도 넘게 이어졌다.(물론 내가 모두 참여한 것은 아니다. 이 콜에는 가끔 인도도 끼여들었다) 알아듣기도 힘든 법률용어로 싸우는 변호사들의 공방을 듣고 있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던지…(그것도 영어로!) 그러면서 회사는 회사일대로 챙겨야한다. 정말 버거웠다. 그런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예상을 뛰어넘는 좋은 실적이 나온 것은 운도 따랐지만 무엇보다 다 직원들의 덕이다.

인도회사는 얼마나 깐깐한지 도대체 적당히 넘어가는 법이 없었다. 그 결과 항상 이잡듯이 뒤져서 옛날 자료를 찾아내 제공해야했다. 우리 키멤버들과 다음쪽 멤버, 변호사님들이 참 고생 많이 했다. 주위에는 절대 비밀로 하고 회사 핵심멤버들과 같이 준비를 하는 것도 정말 쉽지 않은 일이 었다. 인수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동요하는 핵심멤버들을 격려하고 힘을 복돋우는 것이 정말 어려웠다. 직원들에게는 아무 일 없는 것처럼 회사의 장기 비전을 얘기하고 시치미를 떼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었다. 이제 다음주면 딜이 되고 끝날 것이라는 희망을 5월부터 해서 결국 발표한 것은 8월. 그 이후에도 세부사항을 합의하고 진짜 딜을 마무리(Close)하는 것은 거의 연말이 다 되서였다. 하나 해결하면 또 예상치 못한 일이 생겼다. 최종 책임을 지는 사장으로서 “진짜 이 딜이 될 수 있을까” 매주 반신반의했다. 어쨌든 결국 좋은 결과를 낸데 대해 기쁘다. 하지만 다시 겪고 싶지는 않은 일이다. (정말 많이 배웠다. 후회도 많다. 다시하면 이렇게 안했을텐데 생각되는 일의 연속이다.)

딜을 완료하고 한숨 돌리고 나니 새로운 도전이 또 찾아왔다. 우리 회사를 인수한 것은 인도회사지만 실제 같이 일하게 된 것은 이스라엘회사(인도회사의 자회사)였다. 유태인과 이스라엘에 대해서 무지하던 내가 그들과 같이 일하면서 또 새로운 문화충격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엄청 공격적이고, 똑똑하고, 국제적 감각이 있는 이스라엘인들과 일하는 것은 새로운 경험이었다. 많이 배웠다. 하지만 또 다른 부담감이 쏟아졌다. 이 회사를 파악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그들은 많은 것을 알기 원했다. 그리고 항상 최종적인 의견은 내게 물었다. 지극히 당연한 일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또 나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했고 그들과 또다른 신뢰관계를 쌓아야했다. 이제는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 많은 것을 이해하게 됐다. 신뢰를 쌓게 됐다. (개인적으로 이스라엘사람들에게 많이 감탄하고 있다.)

이런 과정들을 거치다보니 나도 모르게 회사에 소홀히 하게 된 것 같다. 다른 무엇보다 사람에 소홀히 했다. 50여명 규모의 회사에서는 사장의 존재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2009년초 직원들과 가까이 있기 위해 개인사무실을 비워두고 직원들과 함께 있는 한구석 셀로 이동해서 지냈다. 지나다니면서 더 자주 얼굴을 보다보면 이야기도 한번이라도 더 하게 되고 밥이라도 한번 더 먹게 된다. 그러다보면 서로를 알게 되고 신뢰관계가 쌓일 수 있다.

그러다가 회사의 자리 재배치와 매니저들의 권유로 몇달전부터 반대쪽 구석 코너오피스로 옮겼다. 그런데 Out of sight, Out of mind라고 떨어져 있다보니 뭔가 불편하다. 어색하다. 역시 얼굴을 자주 봐야한다. 뭔가 사람들과의 연결고리가 끊어진 느낌이다. 다시 핑계를 대고 돌아갈 생각을 하고 있다.

어쨌든 직원평가시즌을 맞아 평가서를 읽으면서 요즘 나태해진 내 자신을 생각한다. 나에 대한 평가가 제일 가혹해야한다는 생각이 든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못하고 100% 회사일에 몰입하기 보다는 다른 일에 너무 시간을 빼앗기는 것 아닐까. 트윗을 너무하는 것 아닌가. 회사직원들에게 미안하다. 지난주는 특히 사람문제 때문에 하루종일 고민하고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진짜 회사의 전략과 비전을 고민해야할때에 내가 뭐하고 있나”하는 생각을 했다.  참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자괴감이 들어서다. 나도 언론에 등장해 웅대한 전략과 비전을 이야기하는 멋진 CEO가 부럽고 되고 싶은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이런 부질없는 생각을 하다가 틈틈히 읽는 Management가이드에 무척 위안이 되는 구절을 발견했다. “아, 나만 그런게 아니구나.”

At the end of the day, management is about people. And the fact that you spend most of your time dealing with people problems simply means you are doing your job.

-The Wall Street Journal Essential Guide to Management

Written by estima7

2011년 1월 22일 , 시간: 11:59 am

짧은 생각 길게 쓰기에 게시됨

Tagged with

17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잘 지내시지요? 저도 미국으로 옮겨서 한 4개월 되었습니다.
    멋진 이야기들 나중에 책으로도 써주세요..

    Chang

    2011년 1월 22일 at 2:37 pm

    • 아 궁금했는데 아예 실리콘밸리로 옮기셨군요. 다음에 갈 일이 생기면 연락드리겠습니다!

      estima7

      2011년 1월 23일 at 7:06 pm

  2.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가슴이 뭉클합니다.
    귀한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이 글을 제 Facebook Note에 공유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foxparkp

    2011년 1월 22일 at 9:48 pm

    • 뭐 그냥 가볍게 적어본 글인데 뭉클까지야…ㅎㅎ 감사합니다. 공유하세요.

      estima7

      2011년 1월 23일 at 7:05 pm

  3. 에휴. 인생에 정답지가 없으니 항상 고민인 거죠.
    정답지 있으면 누가 고민하겠습니까

    moris kim

    2011년 1월 23일 at 8:24 pm

  4. 스파이디의 생각…

    Management라는 것은 참 어렵다…

    sinra's me2day

    2011년 1월 24일 at 3:02 am

  5. 하시는 일이 잘 진행된 듯 해서 보기가 좋네요. 참 열심히 정성을 다해서 해야겠다는 아주 쉽고도 어려운 다짐을 생각하게 되네요. 좋은 글, 경험담 엿봅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Swimmingwolf

    2011년 1월 25일 at 6:51 am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estima7

      2011년 1월 26일 at 9:28 pm

  6. 본인에게는 힘든 경험이셨겠지만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고생 많이 하셨어요. 🙂

    sticky

    2011년 1월 25일 at 7:33 pm

    • 제가 생각해도 독특한 경험이기는 합니다ㅎㅎ 나중에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드릴 수 있기를.

      estima7

      2011년 1월 26일 at 9:28 pm

  7. Kindle 3 한글 되나를 알고자 우연하게 왔다가 이 글을 읽고 갑니다. 참 좋은 사장님이신거 같아요. 저의 보스도 이글을 읽고 배우면 참 좋으련만… 불행히도 그는 한글을 읽지 못해요… 자주 들려 좋은글 읽고 갈게요! 🙂

    Sarah Oh

    2011년 1월 26일 at 4:28 pm

    • ᄒㅎ 별로 좋은 사장 아닙니다.

      estima7

      2011년 1월 26일 at 9:27 pm

  8. 그간의 고생이 절절하게 전해져 옵니다.

    멋지십니다. 기회가 되면 더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MumblingWitch

    2011년 1월 27일 at 1:08 pm

  9. 많은 귀감이 되는 글입니다. 그동안 많은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 낸 집념이 있었군요. 그리고 무엇보다 그 속에는 ‘사람’이 있다는데 공감합니다.

    구태언

    2011년 2월 2일 at 6:31 pm

    • 구변호사님, 감사합니다. 집념이라고 하니 좀 그렇고… 극복해내야하는 상황이었으니 그렇게 한 것이지요 뭐…ㅎㅎ

      estima7

      2011년 2월 2일 at 7:44 pm

  10. 많이 힘드신 듯 한 것이 느껴지네요..

    트윗 보며 항상 좋은 정보 감사 드렸는데..

    힘든 만큼 성장 하는 듯 해요. 저도 이제 힘든 길을 가려 하는데, 그래야 재밌지 않을까요.. 언제 기회 되면 식사라도 하면 좋겠네요^^

    곽만영

    2011년 2월 22일 at 2:11 am

    • ㅎㅎ 감사합니다. 그냥 푸념해본 겁니다.

      estima7

      2011년 2월 22일 at 9:06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