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방송뉴스로 본 Skype vs. Facetime
미국에서 뉴스를 보다보면 Skype를 써서 원격인터뷰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전국을 커버하는 방송네트워크라도 이 넓은 나라를 샅샅이 커버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위처럼 짧은 인터뷰의 경우 스카이프화상인터뷰를 따고 그것을 그대로 방송에 내보낸다. 컴퓨터를 써서 원격으로 인터뷰를 하는 모습도 그대로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꼭 ‘Skype’라고 표시해준다. (스카이프에서 협찬을 받는 것 같지는 않다)
처음 봤을때는 약간 신선한 충격이었다. 스카이프를 쓰면 아무래도 화질과 음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ABC, CBS, NBC같은 전국네트워크방송에서 이렇게 한다니 말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기동성도 살릴 수 있고 (지역거점에서 중계팀을 보낸다고 해도 몇시간은 걸릴 수 있다) 또 비용도 많이 절감할 수 있다는데서 이해가 간다. (경기불황으로 미국방송사들도 구조조정과 비용절감에 열심이다)
그리고 또 그만큼 스카이프가 미국내 누구에게나 널리 보급되어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급히 인터뷰요청을 해도 상대방이 당황하지 않고 웹캠이 달린 랩탑으로 스카이프인터뷰에 응한다는 얘기다. 상대방이 스카이프도 모르고 웹캠이 달린 PC나 맥이 없다면 이뤄질 수 없다. 전화로 가르쳐서 금새 상대방을 스카이프에 대응시키기는 꼭 쉬운 일은 아니니까.
지금은 스카이프를 활용한 인터뷰는 거의 매일처럼 나와서 별로 신기하지도 않을 지경이다. 그런데 어제 스티브잡스의 ‘안테나게이트’에 대한 리포트 에서 흥미로운 시도를 했다.
(내가 알기로 방송뉴스에서는) 처음으로 PBS에서 아이폰4의 ‘페이스타임(Facetime)’을 써서 화상 인터뷰를 시도한 것이다. 워싱턴DC의 PBS NEWSHOUR 뉴스룸에서 삼각대위에 아이폰4를 고정하고 샌프란시스코의 CNET기자를 페이스타임으로 연결해 화상으로 대화하며 방송을 녹화한 것이다. 순발력이 뛰어나다고 칭찬해주고 싶다.
화면이 세로로 보여서 그렇지 스카이프에 못지 않은 화질이었다. 앞으로 페이스타임이 방송용으로도 쓰이지 않을까하는 기대감까지 느꼈다.ㅎㅎ
다만 CNET측에서 아이폰4를 제대로 고정시키지 않았는지 자꾸 화면이 흔들리는 것이 옥의 티였다.
역시 아이폰4의 Death Grip문제를 보도한 어제 CBS이브닝뉴스에서도 페이스타임을 써서 인터뷰하는 장면이 나왔다. 아이폰4에 대해 보도하는 것이니 일부러 그런 것이겠지만 가벼운 인터뷰용으로는 무리가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
값비싼 고가 장비를 사용하기 보다는 이처럼 생활속의 실용화된 기술을 적절히 사용해낼 줄 아는 미국뉴스를 보면서 역시 미국인들은 ‘실용적(Practical)’인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앞으로 오픈화된다고 하는 페이스타임과 스카이프의 대결을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듯 싶다.
미국의 경우(에스티마님께서 종종 올려주셔서 더 많이 알게 되었지만)
신문사나 방송국이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인 것 같습니다.
한국의 경우는 신기술에는 보수적이면서 작은 돈벌이에는 왜이리 관대한지 모르겠습니다.
신문사 웹사이트의 덕지덕지 붙은 성인대상 배너를 보거나
SBS같이 자사 프로그램 캡처 화면도 블로그 등에 쓰지 못하도록 엄포를 놓은 상태를 보면 한숨만 절로 나옵니다.
좋은 정보 소개 감사드립니다.
트위터에서도 늘 트윗 챙겨 읽고 있습니다. 🙂
chaecopy
2010년 7월 18일 at 7:37 am
트윗따라 오게된 블로그 정말 잘 봤습니다.
제가 모르던 세상 여러이야기를 이렇게 생생하게 듣다니..
정말 중도 실용에 입각한 라이브뉴스네요, 생생함을 가득담은 ^^
최문석
2010년 8월 15일 at 6:4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