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에서의 공유자전거 체험기
지난주 베이징 출장. 호텔이 지하철역에서 약 8백미터 정도 떨어진 곳이어서 좀 불편했다. 택시는 한번도 타지 않았고 디디추싱을 몇번 부른 것 이외에는 모두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출장이었다. 특히 지하철역과 최종 목적지를 연결하는데 공유자전거가 아주 유용했다.
공유자전거는 눈을 돌리는 곳 어디에나 있었다.
중국 공유자전거의 양대산맥으로는 ofo와 모바이크가 있다. 그중 모바이크앱은 한국에서 가입해서 중국에서 그대로 쓸 수 있다. 회원 가입 같은 것을 할 필요도 없이 그냥 전화번호 문자로 앱을 인증한 다음에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끝이다. 나중에 해지하면 환불되는 보증금 5천원이 부과되고 또 5천원이 초기에 지갑에 충전된다. 이 상태로 중국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이크앱을 열고 QR코드 잠금해제 버튼을 누른뒤 자전거 뒤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된다. 스캔하자마자 그냥 ‘철컥’하고 자물쇠가 열린다. 그러면 원하는 만큼 타면 된다. 복잡한 회원가입절차, 휴대폰 본인 인증, 비밀번호 암기 등의 절차가 없어서 너무나 사용이 쉽다. 10번쯤 사용하니까 그제서야 이메일주소를 물어본다. 처음에는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서 일단 사용습관을 들이게 하려는 전략 같다.
1시간 타는데 1위안(168원) 밖에 하지 않으니 정말 부담이 없다. 그런데 한달 정기권을 끊으면 20위안에 무제한이라고 한다. 그 정도면 거의 공짜 아닌가.
바이두지도앱을 이용해서 목적지를 찾아서 다녔는데 이런 식으로 안내를 해준다. 현재 있는 곳에서 1.3km 거리에 있는 곳까지 자전거를 6분간 타고 간 다음에 지하철을 타고 간다. 그런 다음 내려서 또 1km거리에 있는 곳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라는 식이다.
보통 눈앞에 자전거가 있고, 지하철역까지 타고 간 다음 역 입구에 자전거를 놓고 역으로 들어가면 되니 아주 편리했다.
그리고 기대이상으로 자전거길이 잘 되어 있었다.
이런 식으로 자동차 도로 옆에 울타리가 쳐저 있고 널찍하게 자전거도로가 만들어져 있었다.
물론 자전거 도로에도 전동오토바이가 들어온다든지, 심지어 자동차가 끼여들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 다니는데 큰 문제는 없었다. 외국인인 내가 다니기도 쉬웠다.
베이징은 구릉이 없고 대체로 모두 평지인 것도 자전거를 타고 다니기 쉬운 이유다.
출퇴근 시간 이후에 이처럼 자전거회사에서 나와서 자전거들을 트럭으로 재배치하는 것 같았다.
폭우가 내린 다음에도 한 2km 정도 타고 간 일이 있는데 날이 건조해 워낙 빨리 땅이 말라서 그런지 자전거를 타는데 그다지 큰 어려움이 없었다.
요즘 중국에서는 5km이내 거리는 자전거를 타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를 들은 일이 있었다. 실제로 내가 자전거를 타보니 그럴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1~2km 타는 것은 약 5분정도 걸어가는 것과 비슷하게 수월했다. 지하철을 1~2번 갈아타느니 자전거를 타는 것이 더 낫다며 7km거리를 자전거로 오신 분도 만났다.
밤에 자전거를 이용할 때는 QR코드를 스캔할 때 자동으로 스마트폰 라이트가 켜지는 것도 신기했다. 고장난 자전거의 경우는 자동으로 알려주며 다른 자전거를 이용하라고 알려준다.
이런 식으로 사용하다 보니 불과 이틀만에 11번을 사용했다. 거의 다 4분~15분정도로 5백미터~2km정도의 거리를 가는데 이용한 것 같다.
솔직히 길거리에 너무 많이 쌓인 자전거가 공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선전, 상하이에 비해서 베이징의 자전거 매너는 좀 무질서하다고 느끼기도 했다.
길거리에 다니는 자전거의 절반이상이 공유자전거다. 아무도 헬멧을 쓰고 타지 않지만 별 문제가 없다.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고, 어릴 때부터 자전거를 많이 타서 다들 알아서 조심하면서 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모든 자전거가 다 깔끔한 상태는 아니었다. 대체로 더럽고 손잡이 한쪽이 없어진 자전거도 제법 있었다. 하지만 타고 다니는데 문제는 없었다.
11번 타는데 있어서 고장난 자전거는 1대밖에 없었다. 그것도 미리 경고를 해줘서 피할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과 연결해서 자물쇠를 열고 닫는데 있어서 오작동이 전혀 없었다는 점이 신기했다.
어쨌든 이제 중국인의 삶에서 공유자전거는 뗄 수 없는 필수 요소가 됐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스템이 다른 나라에서도 그대로 잘 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국의 ofo와 모바이크가 가장 앞선 노하우와 데이터를 쌓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울 것 같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익명
2018년 7월 6일 at 1:37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