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Archive for 10월 14th, 2017

(거의) 현금을 쓰지 않는 사회 : 중국

leave a comment »

지난 일년사이 중국이 Cashless society, 즉 현금없는 사회로 가고 있다는 보도가 쏟아져 나온다. 그중 CBS모닝쇼의 보도내용을 재미있게 봤다. CBS방송 특파원이 중국에 부임해서 생활하면서 직접 느낀 내용을 보도한 것 같다. 지갑에 현금을 가지고 다니면서 쓰는 것이 갈수록 어색하게 느껴진다는 것. 인터뷰중에 한 중국인에게 “현금을 마지막으로 쓴지 얼마나 됐냐”고 묻자 “한달됐다”고 말하는 부분도 나온다. 보도 내용중 화면을 캡처해서 메모.

Screen Shot 2017-10-12 at 11.39.17 PM

요즘 웬만한 베이징이나 상하이의 레스토랑에서는 현금보다 모바일페이먼트를 휠씬 선호한다고 한다. 아예 현금으로 낸다고 하면 짜증을 내는 곳도 많다고 한다.

Screen Shot 2017-10-12 at 11.39.27 PM

이처럼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로 QR코드를 스캔해서 돈을 낸다.

Screen Shot 2017-10-12 at 11.38.39 PM

수많은 중국의 공유자전거 사용도 마찬가지다.

Screen Shot 2017-10-12 at 11.38.49 PM

자전거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자전거의 잠금장치가 풀리면서 쓸 수 있게 된다.

Screen Shot 2017-10-12 at 11.32.47 PMScreen Shot 2017-10-12 at 11.31.46 PM

길거리 가게에서 만두를 살 때도 마찬가지.

Screen Shot 2017-10-12 at 11.33.09 PM

버스요금을 낼 때도.

Screen Shot 2017-10-12 at 11.34.48 PMScreen Shot 2017-10-12 at 11.35.00 PM

거리의 악사에게 돈을 줄 때도 그렇다. 거지들이 QR코드로 구걸을 한다는 말이 정말 과장이 아니다.

Screen Shot 2017-10-14 at 10.07.16 PM

또 어떤 식당은 종업원이 와서 주문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그냥 테이블 자기 자리의 QR코드를 스캔해서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고 즉석에서 결제까지 마치면 음식을 알아서 가져다 준다고. 진정한 더치페이다.

Screen Shot 2017-10-12 at 11.33.31 PM

중국의 모바일페이 결제금액은 이미 미국의 50배라는 얘기다. 이렇게 된 것은 중국이 위조지폐가 많고, 신용카드보급이 더디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그런 환경이 중국이 신용카드사회를 뛰어넘어 바로 모바일결제중심으로 가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내가 올초 칭타오의 카르푸에 갔을 때 현금으로 돈을 내니 직원이 한참 이리저리 지폐를 불에 비춰보며 진짜인지 확인했던 기억이 있다.

중국의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모바일페이먼트는 비싼 신용카드 결제기를 구입할 필요없이 스마트폰으로만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수수료도 비싸지 않아 당연히 이용해야 할 것 같다.

아래는 CBS모닝쇼의 보도와 실리콘밸리VC인 앤드리슨호로비츠의 중국인터넷트렌드 소개 동영상이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Written by estima7

2017년 10월 14일 at 10:46 pm

데이빗 루빈스타인쇼 : 손정의편

leave a comment »

흥미롭게 본 동영상 소개. 데이빗 루빈스타인쇼 : 손정의편.

유튜브에 떠서 우연히 본 인터뷰 동영상. 데이빗 루빈스타인이라는 인물이 소프트뱅크 손정의회장을 인터뷰한다. 그런데 루빈스타인은 저널리스트가 아니다. 세계굴지의 사모펀드인 칼라일그룹의 창업자이자 CEO로 그도 역시 3조원 넘는 자산을 가진 억만장자다. 그런 대단한 인물이 지난해부터 블룸버그에서 자신의 인터뷰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이다. 한국나이로 70세쯤 되는 거부가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또 인터뷰어로서 통찰력있는 대답을 이끌어내는 질문으로 대담을 매끄럽게 이끌어 나가는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 지난해 빌 게이츠의 인터뷰부터 워렌 버핏, 에릭 슈미트, 필 나이트 등 대단한 인물 22명의 인터뷰가 온라인에 모두 공개되어 있는데 틈틈이 봐야겠다.

어쨌든 위 손정의 인터뷰를 보면 손회장 특유의 영어화법을 느낄 수 있다. 원어민처럼 아주 유창하게 말하지는 않지만 아주 쉬운 어휘를 사용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군더더기 없이 정확하게 전달한다. 일본식 영어액센트가 조금 있지만 천천히 말하고 비교적 정확한 발음으로 말해 영어원어민이 알아 듣는데 문제가 없다. 부드러운 미소와 유머, 제스쳐로 효과적으로 자신의 스토리를 전달한다. 즉, 정말 매력적인 화술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어떻게 해서 100조원 펀드를 조성하게 됐는지 -어떻게 사우디왕자를 45분만에 설득해서 45B달러를 투자받았는지 -그가 어떻게 한국계라는 차별을 딛고 일본에서 성장했는지 -어떻게 16세의 소년이 끈질기게 60번 넘는 장거리 전화를 걸고 도쿄의 사무실까지 쳐들어가서 맥도널드재팬 회장을 만났는지 -어떻게 버클리 재학시절 하루에 5분씩 투자해서 전자사전을 개발해 처음으로 거액을 벌게 되었는지 – 마윈의 무엇을 보고 알리바바에 투자했는지 -왜 ARM을 인수했는지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의 인생에 돌아보는 마지막 질문에 “This is definitely exciting life. I’m having fun!”이라고 웃으며 답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주말에 시간 여유가 있는 분들은 가볍게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다. 24분.

Written by estima7

2017년 10월 14일 at 8:36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