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열어젖힌 오디오북시장
한국에서는 스마트폰 전성시대가 열리면서 출판시장이 붕괴한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다. 만나는 출판업계분들마다 “일찌기 겪어보지 못한 엄청난 불황”이라는 말씀을 많이 하신다. 그도 그럴 것이 지하철을 타면 책은 커녕 신문을 보는 사람도 거의 없으며 온 국민이 게임, 카카오톡, TV(동영상) 시청 밖에 안하는 것 같다. 한 출판사사장님은 “텍스트의 종말”이라는 말씀도 하신다.
사실 번역서인 ‘인사이드애플’을 출간해보고 생각보다 한국에서 책이 그다지 팔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 초판 몇천부이상을 판매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책을 읽지 않기로 유명한 한국인들이 스마트폰시대에 더더욱 책을 안 읽게 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그런데 꼭 스마트폰이 사람들로 하여금 책을 읽지 않게 하는 것일까? 스마트폰 때문에 책은 망하는 것일까? 물론 그런 측면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NYT기사를 통해서 다시 느꼈다.
Actors Today Don’t Just Read for the Part. Reading IS the Part. 요즘 배우들은 단순히 자신의 역할이 담긴 대본을 읽는 것 뿐만 아니라 아예 읽는 것 자체가 일이 됐다는 뜻의 제목인듯 싶다.
내가 좋아하는 오디오북 이야기다. 스마트폰 이전 시대에는 오디오북출간이 활발하지 못했다. 대형 베스트셀러가 아니면 오디오북 제작은 사치였다. 웬만한 책은 총 8시간~15시간분의 오디오녹음이 되어야 하는데 성우 녹음도 힘든데다가 카세트테이프나 CD에 넣어서 판매하기에는 분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수십장의 테이프나 CD를 갈아끼워가면서 오디오북을 듣는 것은 사실 쉽지 않다. 만들더라도 유통도 쉽지 않고 제작원가 때문에 가격도 종이책보다 휠씬 비싸다.
그런데 스마트폰 세상이 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다. 굳이 CD나 테이프 없이도 인터넷을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파일을 몇분만에 다운로드받으면 끝이다. 그 덕분에 보다 많은 책이 오디오북으로 제작되게 되었다.
다음은 기사의 내용.
-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의 보급으로 미국의 오디오북시장이 매년 두자리%로 급성장중. 2012년에는 전년대비 22% 성장했다고.
- 이같은 성장은 디지털화 덕분. 비싼 스튜디오 대신 성우의 집에서 녹음이 가능해 졌고, 인터넷을 통해 단품이나 매달 정기구독형식으로 오디오북이 팔리게 됐고 그리고 스마트폰을 통해 쉽게 소비가 가능해졌음.
- 이런 오디오북시장의 성장은 영화, 연극, TV드라마 등에 캐스팅기회를 기다리는 수많은 미국의 배우지망생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었음. 책 한권당 1천불~3천불을 받고 녹음하는 것. 배우로서의 연기 연습도 되고 돈도 벌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것.
- 디지털 오디오북시장의 선두주자인 Audible.com은 지난해 직간접적으로 1만개의 오디오북 타이틀을 제작했을 정도.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2천7백억원수준. (2008년 아마존이 인수한 회사)
- 이 회사는 이 1만개의 오디오북을 제작하기 위해 지난해 약 2천명의 배우들을 고용. 아마도 작년에 뉴욕지역에서 가장 많은 배우를 고용한 회사일 것이라고.
아닌게 아니라 이제는 미국에서 발매되는 웬만한 책들은 모두 오디오북버전이 같이 나온다. 10년전만해도 이렇지 않았다. 웬만한 인기있는 베스트셀러나 오디오북 버전이 나왔고 그것도 전체 내용을 다 읽을 경우 너무 많은 분량 때문에 내용을 축약한 Abridged버전이 대부분이었다.
요약하면 스마트폰의 등장이 미국의 출판업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준 것이다. 출판사와 저자들에게 책이 더 많이 팔릴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채널을 열어준 것은 물론 많은 배우지망생들에게 돈을 벌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고용창출효과도 있었다. 이 가난한 배우지망생들은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 주로 레스토랑에서 일했다.
결국은 전체적인 콘텐츠생태계를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의 문제인 것 같다. 비록 종이책의 판매는 줄어간다고 하지만 전자책을 포함한 미국의 출판업계 전체 매출은 오히려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도 아마존이 킨들로 미리 길을 닦아 놓지 않았으면 어려웠을 것이다.
한국의 출판업계도 이런 선순환의 길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참 어려운 것 같다.
이런 Audio actor들이 작업하는 모습을 담은 NYT동영상.
저번에 쓰셨던 오디오북 단상 글을 읽으면서 그동안 관심만 가졌던 오디오북을 구입, 오더블 유료회원까지 되었습니다. 지금은 콜린 퍼스의 오디오북을 듣다가 잠깐 들어왔는데 새로운 오디오북 관련글을 보고 반가워 댓글까지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게 배우들이 성우를 하면서 좋은 점은 좋아하는 배우의 목소리로 오디오북을 들을 수 있는 점인 것 같아요. 콜린 퍼스와 리처드 아미티지 오디오북을 듣고 있는데 이들의 발음과 속도도 좋지만 듣고 있는 저의 마음가짐, 집중력, 인내심이 완전 달라져요 ㅎㅎㅎㅎ
정연선
2013년 7월 2일 at 5:20 am
제가 Audible.com에서 무슨 보상을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마음에 드는 성우가 읽으면 정말 내용에 빨려들어가게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estima7
2013년 7월 11일 at 11:54 pm
[…] 스마트폰이 열어젖힌 오디오북시장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
스마트폰이 열어젖힌 오디오북시장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 chtcher
2013년 7월 2일 at 5:49 am
한국에서 이런 적극적인 움직임은 판타지 쪽에서 일어 나려고 했던 때가 있었으나, 그렇게 잘 되지는 않았 던 듯 하네요. 예전에 Audien 이란 곳에서 ‘얼음나무 숲’이라는 책의 오디오 북을 소장 용으로 출시한 적도 있었고, 그 당시 나름 인기가 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현재 여러 말씀을 듣다 보니 우리나라 오디오 북의 제작비가 좀 작다는 느낌이 드는가 싶습니다. 케릭터 별로 구분되는 출연진이 아쉽다고 하는 말들을 꽤 들은 것 같습니다.
p.s 저를 비롯한 그 당시 구하지 못한 분들은 다시 판매하기를 기대하고 있어요 … (제가 왜 구매를 안 한 건지 참… ㅎㅎ)
HaeGyung
2013년 7월 2일 at 5:17 pm
미국도 책 한권당 1천불~3천불의 성우 개런티가 많다고 느껴지지는 않는데요. 한국의 경우는 형편이 안되니 더욱 적겠죠.
estima7
2013년 7월 11일 at 11:55 pm
위의 것은 좀 과거 이고, 그 것보다 과거는 원태연 씨 같은 분들이 했던 음악과 영화, 소설을 한 대로 묶어 만드는 시도도 있었더군요.
개인적으로 저는 디지털 시장이, 컨텐츠 생산에 관여하는 출판사와 작가, 제작진의 권리를 더 확대할 수 있는 기회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디오 북을 비롯해서 좀 더 다양한 표현으로 생산자의 입장이 커질 것 같아요. 굳이 현재의 e-book이란 틀에 있을 필요도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
HaeGyung
2013년 7월 2일 at 5:20 pm
요즘은 오디오북 제작에 비싼 장비가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질이 좀 떨어지더라도 좀 가볍게 접근해서 만들어보는 시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estima7
2013년 7월 11일 at 11:56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