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조차 지키지 않는 한국의 온라인신문들
한국의 온라인신문을 보다가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바로 이 기사를 보고.
박근혜당선인이 계사년 새해 인사를 유튜브로 공개했다는 내용의 기사다. 그런데 기사 어디에도 유튜브동영상이 삽입되어 있거나 그 링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덩그러니 유튜브캡처화면만 있다. 역시 연합뉴스기사를 포함해서 다른 기사 몇개를 검색해봤지만 다 마찬가지였다.
유튜브동영상을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가? 이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경우 그냥 유튜브링크만 넣으면 아래처럼 그냥 동영상이 삽입된다. 그다지 어려운 일도 아닌데 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당연히 해야하는 것을 하지 않는 온라인신문들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리고 또 아래와 같은 기사를 마주쳤을때도 아쉽다.
인터넷에서 어떻게 6~7면을 참조할까. 이건 기사를 올릴때 조금만 신경써서 관련기사를 찾아서 하이퍼링크로 묶어주면 된다. 아마 신문하나를 인터넷에 올릴 때 기사가 1~2백꼭지내외가 될텐데 이런 식으로 종이지면을 참조하라고 적혀있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편집자 한명이 종이신문을 비교하면서 한두시간만 작업해도 링크 몇개 연결해주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제대로 된 온라인신문이라면 이 정도 작업은 해줘야하지 않을까. 이것은 비단 위 중앙일보뿐만이 아니고 다른 신문들도 대부분 마찬가지다.
이런 경우와 비교해 외국에 비슷한 사례가 있을까 싶어 오늘자 뉴욕타임즈를 열어봤다. 바로 참고로 할만한 사례가 보인다.
미국 우체국이 적자를 견디다 못해 토요일배달을 중단하기로 했다는 기사에 대한 2월9일 토요일자 칼럼이다. 본문내용에서도 2월7일의 뉴스기사를 정확히 링크하고 있고, 관련뉴스로 그 기사를 또 링크하고 관련 사설까지 링크하는 친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인터넷의 장점을 살린 정석아닌가?
또 어젯밤 미국 북동부를 강타한 눈폭풍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뉴욕타임즈 페이지를 보자.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적절하게 유튜브동영상 삽입은 물론 독자들의 인스타그램사진까지 집어넣은 생생한 편집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트윗을 그대로 삽입하는 것도 기본이다. 뉴욕의 교통당국에서 공항의 상황을 알리는 트윗자체가 정보로서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장점이 무엇인가? 팀 버너스 리가 89년 처음 월드와이드웹(WWW)을 고안해냈을 때 그 최고의 가치는 하이퍼링크(Hyperlink)였다. 관련 정보, 더 깊이있는 정보를 링크로 연결해 바로 점프해서 갈 수 있는 것이 인터넷의 진짜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온라인신문을 처음 시작한지 15년도 넘은 한국의 온라인신문들은 이런 링크조차 제대로 해주는 곳이 별로 없다. 사진은 말할 것도 없고 유튜브동영상, 트윗 등 뭐든지 마음대로 집어넣어서 종이지면보다 휠씬 설득력있는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의 장점인데 기본중의 기본인 링크조차 제대로 해주는 곳이 별로 없다.
온라인 스토리텔링, Narrative journalism 등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 뉴욕타임즈를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 아래 Snow Fall 같은 기사를 보면 그들이 얼마나 온라인저널리즘을 고민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는지를 알 수 있다. 입체적인 스토리텔링이 어떤 것인가 보려면 이 기사를 한번 참고해보시길 권한다. 슬라이드쇼, 비디오인터뷰, 지도 등이 기사에 자연스럽게 잘 녹아들어가 있다.
한국의 신문업계가 제대로 된 훌륭한 온라인신문을 만드는 것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을 하거나 투자하지 않고 너무 네이버뉴스캐스트나 낮은 광고수입 등 외부환경에만 불평을 해댄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우선 어떻게 온라인의 장점을 살려 조금이라도 독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해줄 수 있을까 고민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아닐까? 한국의 온라인신문은 지난 10여년간 제자리걸음을 하다못해 선정적인 제목, 내용, 광고로 점철되어 더 악화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NYT의 구독료수입이 사상 처음으로 광고수입을 추월했다는 뉴스가 있었다.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차별화된 온라인뉴스경험을 디지털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은 지난 15여년간 쉬지 않고 연구하고 개선해왔다. 그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하루 아침에 되는 일은 없다.
매우 공감합니다. 특히 라이브로 충분히 기사 업데이트가 가능함에도, 아직도 1보, 2보 처럼 인쇄 매체식 단어와 방법으로 속보 전하는거 보면.. 많이 뒤쳐진 느낌이 들더군요..
Min Song (@songminseung)
2013년 2월 9일 at 2:16 pm
감사합니다. 왜 이런 점에 대한 문제제기와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외국언론이 하는 것을 조금만 벤치마킹해도 되고, 눈에 보이는 고칠 곳이 너무 많은데…. 참 답답합니다.
estima7
2013년 2월 10일 at 3:50 pm
매우 공감합니다. NYT 구독중인 일인
heechul
2013년 2월 10일 at 6:33 am
일리노이 계신가보군요. 감사합니다.^^
estima7
2013년 2월 10일 at 3:51 pm
다른건 벤치마킹(?) 잘하면서 왜 이런건 안따라하는지 모르겠네요. 인터넷(속도만) 강국.
Ellery
2013년 2월 10일 at 8:33 pm
과거 종이신문은 현재 시스템으로도 별문제가 없습니다. 온라인은 부수적인것이였지요.
링크를 건다던가 하려면 자동화로는 되지 않습니다. 사람손이 가야하고, 또한 그러한 시스템이 있어야하며
신문사와 포털간의 데이터가 표준화가 되어야 하는데, 아직 표준화가 안되어 있습니다. (시도는 하고 있습니다. ex: NewsML)
일부 온라인에 중점을 두는 신문사들은 자사 홈페이지에 링크를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포털로 기사가 전송되면서 누락되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이것말고도 다른 요인들도 조금 있긴합니다만 신문사들도 인식은 하고 있는데 쉽게 시스템 변경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dummy
2013년 2월 11일 at 4:49 pm
링크는 자동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사의 저자가 어떤 글이 링크되야하는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기사를 쓰면서 온라인에디터와 함께 링크를 붙여나가는 것도 방법일 겁니다. NYT에는 온라인링크만을 담당하는 에디터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기도 합니다. 어쨌든 기사작성을 하면서 신경만 조금만 쓰면 될 겁니다.
저는 오히려 포털에 보내는 기사에는 링크가 좀 빠져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론사 사이트에 있는 오리지널한 기사가 더 경쟁력이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시스템변경이란 것은 신문사의 투자의지만 있으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지금까지 안되는 것은 그동안 의지가 전혀 없었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ㅎㅎ
estima7
2013년 2월 11일 at 9:44 pm
공감가는 글 잘 앍어 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앞으로의 세대들의 교육도 링크화가 되어야 겠단 생각이 듭니다.. 집에서 아이들 참고 자료 찾아볼때 위키디피아를 찾아 보곤 하는데 정말로 링크화가 잘되어있고 자발적인 갱신이 이뤄져서인지 정보 또한 종이자료에 비교하여 품질이 우수할 때가 많습니다..
정보화의 인터넷 보급률 oecd중 1 위인 한국에서 이러한 일들이 차곡차곡 쌓여 이뤄져야 할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다음번엔 혹 미국 온라인 교육 환경이라던가 현제 병행되서 진행 되고 있는 인터넷 Reference 교육 등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을 알고 싶습니다.. 한국 환경과 비교 해서 말이죠….
고맙습니다.. 늘 배우고 갑니다..
ES HAN .
rapael99
2013년 2월 12일 at 12:33 am
한국 신문사들의 현실에 비추어보면 이정도는 약과라는 생각도 많이 듭니다. 유통 헤게모니는 포탈에 뺏기고 속도는 소셜 미디어에 밀리고 내용은 전문 블로거만도 못한 상태니…생각의 속도가 아니라 이젠 생각의 방향을 진진하게 고민해야할 시기이지 않을까 싶네요.
Moon Lee
2013년 2월 12일 at 12:21 am
[…] 기본조차 지키지 않는 한국의 온라인신문들 –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우선 어떻게 온라인의 장점을 살려 조금이라도 독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해줄 수 있을까 고민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아닐까? ” […]
2013.02.12 읽을거리 링크 « lhgeun
2013년 2월 12일 at 5:44 am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9일 계사년(癸巳年) 설 인사를 전했다.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http://www.youtube.com/pgh545)를 통해서다.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42004
저는 열심히 링크도 집어넣습니다:)
상상 (@mistakekim)
2014년 2월 22일 at 11:26 am
관련기사를 찾아서 하이퍼링크로도 연결 🙂 다만, 워낙 사이트가 후져서 한계가 있네요 ㅠ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66932
상상 (@mistakekim)
2014년 2월 22일 at 11:28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