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청와대에서 못다한 이야기

with 3 comments

내 왼쪽은 신제윤 금융위원회 장관 오른쪽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KBS뉴스캡처)

내 왼쪽은 신제윤 금융위원회 장관 오른쪽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KBS뉴스캡처)

오늘 금융위원회의 요청으로 지난해 9월의 규제개혁장관회의에 이어 두번째로 청와대에 가서 발언할 기회를 얻게 됐다. 제 2차 청와대 새해 업무보고가 끝나고 이어지는 핀테크토론회에서 이야기하게 된 것이다. 3주전에 연락을 받고 CES출장다녀오느라 정신이 없는 와중에 말할 내용을 준비했다. 2분30초밖에 안되는 발언기회였지만 꽤 신경이 쓰였는데 오늘 행사가 시간이 초과되는 바람에 막바지에 있던 내 발언차례가 생략됐다. 별로 대단한 내용을 말할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아쉬운 마음에 블로그에라도 남겨 놓는다. 며칠전 블로그에 썼던 CES에서 느낀 점을 짧게 이야기하려고 했었다. 중국의 무서움과 프랑스의 분발, 그리고 허약한 우리 기업생태계에 대한 걱정. 다음은 그 내용.

“한국의 스타트업을 돕는 미션을 갖고 있는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임정욱 센터장입니다.

저는 오늘 건전한 생태계 조성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스타트업이 잘 성장하려면 생태계 조성이 중요합니다. 스타트업의 양적 숫자도 중요하지만 또 다양한 만남을 통한 정보교류, 제휴, 투자 등이 이뤄질 수 있는 정부, 관련기업, 학교 등의 생태계가 잘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런 생태계가 만들어지면 훌륭한 스타트업은 저절로 쏟아집니다.

저는 지난주에 세계최대의 가전쇼인 라스베가스 CES에 다녀왔습니다. 여기서 제가 놀란 것은 두가지입니다. 우선 중국에서 온 기업들이 전체 3천6백여 참가기업중 4분의 1정도 되는 8백50여개사에 달했습니다. 그리고 또 그중 절반이 ‘세계의 공장’이라고 하는 심천에서 온 하드웨어기업들이었습니다. 심천의 하드웨어생태계가 어마어마하다고 들었는데 그 결과물인 셈입니다.

또, 사물인터넷(IOT)부문에서 프랑스 스타트업의 활약이 대단했습니다. 요즘 프랑스정부에서 나서서 스타트업을 밀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CES 스타트업관에 미국 다음으로 많은 66개의 스타트업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드론, 웨어러블 등에서 주목받는 제품을 많이 내놨고 상도 많이 받았습니다. 프랑스에 멋진 IoT생태계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반면 한국은 이번 CES에서 삼성, LG, 현대차 이외에 주목받는 새로운 기업이 거의 없었습니다. 저는 이게 우리의 허약한 기업생태계를 나타낸다고 생각했습니다.

핀테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좋은 생태계가 이뤄져야 많은 핀테크기업들이 쏟아져 나오고 혁신을 합니다. 정부 규제는 시장의 혁신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소비자보호를 위한 큰 울타리만 치고 그 안에서는 스타트업들이 맘대로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또한, 금융 대기업들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스타트업들은 금융 대기업들이 처음 보기에는 같이 일하기에 작고 보잘 것 없고 허술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큰 기업은 없습니다. 이런 스타트업들에게 기회를 주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면 이들은 치열한 혁신을 통해 기대이상의 기업으로 성장해, 성공하는 팀이 반드시 나오게 됩니다. 그것이 스타트업입니다. 그래서 은행 등 큰 금융기관들이 스타트업과 협업하면서 기회를 줘야 합니다.

핀테크 스타트업들이 많이 나오는 생태계가 만들어지도록 우리 정부와 금융업계가 같이 노력을 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6개 부처 합동으로 진행된 새해 정부부처 업무보고 행사. (사진출처:청와대)

미래창조과학부 등 6개 부처 합동으로 진행된 새해 정부부처 업무보고 행사. 장관들사이에 내 뒤통수가 보임.(사진출처:청와대)

어쨌든 오늘 업무보고에서 발표된 ‘건건 사전규제에서 원칙 사후점검’으로 금융규제의 틀이 바뀌고, 금융거래에서 비대면 실명확인방식도 폭넓게 인정해 점포없는 인터넷 은행을 설립할 것이라는 보고는 고무적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이렇게 해서 핀테크의 문이 열리게 된다면 정말 다행인 것 같다.

업무보고 자료중에서 발췌.

업무보고 자료중에서 발췌.

Written by estima7

2015년 1월 15일 , 시간: 11:49 pm

짧은 생각 길게 쓰기에 게시됨

Tagged with , ,

3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하지만 큰 기업은 없습니다’라는 대목이 이상해서 원문을 찾아보니 ‘하지만 처음부터 큰 기업은 없습니다’에서 ‘처음부터’가 빠졌군요.

    한종호

    2015년 1월 16일 at 11:11 am

    • 오타요… 발행하자마자 고쳤는데 메일로 받으셨군요.ㅎㅎ

      estima7

      2015년 1월 16일 at 11:21 am

  2. 액티브 X 는 없어질 수가 없다고 하는데 // 과연 어떤 방식으로 철폐한다는 것인지요? 그리고 외국처럼 보안에 대한 책임이 개인이 아닌 기업(은행)으로 바뀔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언급은 없었는지도 궁금합니다 //

    Lee Byounghee

    2015년 1월 16일 at 12:56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