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만리장성 인터넷을 경험하다

with 2 comments

3박4일간의 일정으로 중국 베이징에 다녀왔다. 테크크런치 차이나를 참관하고 베이징 조양구에서 주최하는 OTEC이란 스타트업행사에 출전하는 한국 스타트업 9개팀의 발표를 보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2008년이후 가본 적이 없는 중국에 대해서 좀 학습을 하고 싶었다.

그리고 정말 만리장성인터넷을 흠뻑 느끼고 왔다. 영어로는 Great Firewall이라고 한다. 누가 세상에는 인터넷과 차이나넷 두개가 있다고 하던데 정말 그렇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데이터로밍을 한 내 스마트폰에서는 접속이 되지만 현지 wifi로 인터넷을 연결해서 인터넷을 쓰려고 하자 안되는 것이 너무 많았던 것이다. 처음엔 일부 사이트에 연결하는데 속도가 느려서 접속이 안되는 것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고 중국사이트들은 빠르게 접속이 가능하고 미국쪽 사이트들은 막혀있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네이버, 다음 등 한국사이트들은 비교적 접속이 원활한 편이었다.)

예전부터 많이 들어서 페이스북, 트위터가 막혀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구글도 완벽하게 막혀 있는지는 이번에 처음 알았다. 그것은 검색엔진인 Google.com만 막혀있다는 것이 아니다. 구글의 거의 모든 서비스, 즉 유튜브, 지메일, 구글맵, 구글캘린더 등 거의 모든 것이 안된다. 회사이메일을 구글시스템을 써서 쓰는 회사들이 요즘 많은데 그런 회사들의 경우도 중국출장을 가서 일을 하려면 손발이 완전히 묶인다고 보면 된다. (같이 간 플래텀의 조상래대표가 그런 경우인데 그래서 중국출장을 갈 때마다 중국메일로 자동포워딩을 해놓는다고 한다.)

글로벌 인터넷의 인프라 역할을 하는 구글이 막혀있다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구글의 앱엔진 같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해 서비스를 하는 사이트나 구글의 애드센스 같은 광고를 붙여놓은 사이트는 (혹은 모바일앱은) 중국에서 사이트의 접속이 원활하지 않고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이나 MS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는 경우는 아직 괜찮은지도 모르겠는데 그렇다고 안심할 수가 없다. 언제 막힐지 모르기 때문이다.

내 뉴욕타임즈 아이패드앱. 목요일날 열어본 것인데 월요일부터 계속 업데이트가 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내 뉴욕타임즈 아이패드앱. 목요일날 열어본 것인데 월요일부터 계속 업데이트가 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내 블로그도 중국에서 막혀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았다. 미국의 블로그플랫폼인 wordpress.com위에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리고 사이트방문자통계를 보니 과연 중국으로부터의 방문은 거의 없었다.) 중국지도부에 대해서 비판적인 기사를 자주 쓰는 뉴욕타임즈는 사이트가 원천 봉쇄되어 있었다. 아이패드의 뉴욕타임즈앱으로도 전혀 읽을 수가 없었다. 예전에 동북공정 기사를 써서 중국정부의 노여움을 산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일보 중국어판도 접속이 되지 않았다. 예전에 티스토리도 막혔다가 풀렸다고 하는데 다음블로그는 아직 막혀있었다. 외국사이트의 경우 지금 당장은 접속이 되더라도 그야 말로 언제 갑자기 막힐지 모르는 것이다.

얼마전 중국에서 차단이 되서 문제가 됐던 카카오톡, 라인은 내가 방문하는 동안은 중국인터넷망에서 테스트해본 결과 되기는 했는데 가끔 전송에러가 나면서 불안정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이러니 당연히 위챗이 중국에서 막강한 점유율을 자랑할 수 밖에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중국사람들은 도대체 이런 절름발이 인터넷을 쓰는 것이 불편하지 않을까? 그리고 중국내에서 생활하는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사람들은 불편해서 어떻게 인터넷을 쓸까. 그런 물음을 가져봤다.

그림 출처 : 마이클 안티의 테드발표 동영상.

그림 출처 : 마이클 안티의 테드발표 동영상.

중국인들은 중국서비스만 쓰는 한 불편하지 않을 것 같다. 위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를 대체하는 중국의 인터넷서비스들이 다 존재한다. 단순 카피캣으로 출발했지만 중국인의 구미에 맞게 진화를 거듭해서 거대회사로 성장한 회사들이다. 모바일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하철에서 중국인들의 스마트폰화면을 어깨너머로 들여다 보니 바이두, 위챗, 유쿠 같은 앱들이 홈스크린을 장악하고 있었다. 외국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영어정보 검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아무 문제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서구 못지 않은 다양한 중국산 인터넷서비스가 나와있는 것이다. 불온한 정보(?)만 보지 않는다면 볼만한 콘텐츠가 넘쳐나는 점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다.

그리고 중국내의 외국인들은 VPN을 써서 인터넷에 접속한다고 한다. VPN소프트웨어나 앱을 깔면 해외에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것처럼 해서 페이스북 등의 해외인터넷을 쓸 수가 있는 것이다. 구글로 China vpn을 검색하면 VPN을 찾아서 설치하는 방법이 나온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귀찮기 짝이 없다. 게다가 VPN을 통해 접속하는 해외인터넷은 느리다. 또 이런 VPN구멍을 찾아서 중국당국은 열심히 막는다. 막히면 또 새로운 VPN방법을 찾아서 다시 해야 한다. 평범한 중국인들이 이런 방법까지 써서 해외인터넷에 접속할리가 만무하다.

하드웨어도 이제 소프트웨어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요즘 하드웨어를 판매하는 해외업체들도 중국에서는 주의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애플 아이폰을 아직 중국인들이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애플의 iCloud가 중국에서 막히면 어떻게 할 것인가. iMessage나 페이스타임을 중국인들이 못쓰게 차단시켜버리면 어떻게 할 것인가. 애플의 중국전략에 심대한 타격이 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글을 쓰고 있다가 Techneedle의 “애플, 중국 사용자 데이터를 차이나 텔레콤이 운영하는 서버에 보관키로“기사를 접했다. 그렇다.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계속 하려면 이렇게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정말 이래도 되는 것인가? 언제까지 이렇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정말 장기적으로 중국의 미래에 도움이 될까. 그런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 중국방문이었다.

Written by estima7

2014년 8월 16일 , 시간: 7:12 pm

2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결국 자기산업의 발목을 잡겠죠

    kimjunho79

    2014년 8월 17일 at 8:18 am

  2. 저도 중국 시장에서 많은 서비스들이 막혀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정말 어이가 없었습니다. 중국 내수시장도 뺏기지 않고, 정부가 체계적(?)으로 외부 정도를 차단할 수도 있다는 장점 때문일까요. 저도 이런 정책이 장기적으로 중국에 도움이 될 까 생각해봤는데, 어마어마한 내수시장을 가진 중국이 과연 이정도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을까 생각해봅니다.

    참고로. 저도 중국 친구들 때문에 결국 위챗을 쓰게 되었어요. 카톡은 내 자존심이다 생각하고 ^^; 다른 나라 친구들을 많이 끌어들였는데, 결국 중국에 무너졌습니다 ^^;

    thewandererlife

    2014년 8월 19일 at 9:13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