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임파서블푸드를 창업한 스탠포드교수

with one comment

흥미롭게 본 CBS선데이모닝 리포트. 요즘 갈수록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식물을 베이스로 만드는 대체육류에 대해서 취재한 내용이다. 동물을 죽이지 않고도,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고도 만들어 기존 고기와 똑같은 식감으로 먹을 수 있는 식물성(?) 고기에 대한 내용이다. 이런 푸드테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보시면 좋을 내용이라 블로그에도 메모해 둔다.

감탄한 것은 대체육류시장에서 가장 앞서있다는 임파서블푸드를 창업한 패트릭 오브라운 교수의 이야기다. 스탠포드대 바이오화학교수로 상당한 학문적 업적을 쌓은 그는 십년전인 2009년 18개월간의 안식년을 보내면서 남은 커리어를 어떻게 보낼까 생각했다고 한다. 그의 나이가 54세쯤 됐을 때다.

그는 고기를 얻기 위해서 동물을 도축하면서 생기는 환경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했다. 그래서 컨퍼런스도 개최하고 했는데 별 효과가 없었다. 그는 그렇다면 시장에서 고기에 필적하는 제품을 만들어 내서 고기소비를 줄이는 것이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과학자들로 팀을 만들어서 왜 고기가 고기맛이 나는지 연구했다. 그리고 그의 직감으로 고기맛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Heme(철분 같은 것)에 있다고 생각하고 식물을 통해서 이 맛을 복제해 내기 시작했다.

그 다음은 실리콘밸리 한복판에 있는 스탠포드대 교수다운 전개다. 많은 벤처캐피탈에 이야기를 해서 9백만불의 펀딩을 받아 2011년에 임파서블푸드를 설립했다. 그가 실리콘밸리에 있지 않았다면 이런 식으로 푸드테크 스타트업을 세우고 거액의 VC펀딩을 받는 것이 가능했을까 싶다.

지금 임파서블푸드의 햄버거패티는 버거킹에도 공급되고 있다. 경쟁사인 비욘드미트는 이미 나스닥에 상장해서 주가가 6배이상 상승해 10조 가치의 회사가 됐다. 임파서블푸드도 지난 5월 3억불을 펀딩받아 유니콘이 됐다. 임파서블푸드가 지금까지 투자받은 자금은 약 9천억원에 이른다.

이 리포트에서 소개된 두번째 회사는 저스트(Just)다. 햄톤크릭이라는 회사가 이름을 바꿨다. 연구실에서 세포배양해낸 소고기, 닭고기를 선보이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회사로 역시 VC들에게 2천억원이상 투자받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어쨌든 근미래에 이런 회사들이 만든 대체육류가 우리의 식탁을 지배하게 될지도 모른다. 더이상 불쌍한 동물들을 도축하지 않고도 고기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푸드테크의 미래가 궁금하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7월 7일 , 시간: 11:30 pm

One Response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