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윗하나로 맺어진 인연-드라마피버
SNS를 쓰면서 신기하기도 하고 보람이 있는 경험을 한 일이 많다. 이번에도 그런 경험을 하나했기에 메모.
2010년 6월쯤인가 한국드라마가 미국에서도 인기가 있다는 트윗을 했던 것 같다. 그런 다음 누가 나에게 “미국에 드라마피버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한국드라마가 많다”고 알려줬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트윗을 날렸다.
이 트윗으로 인해서 드라마피버의 방문자가 아주 조금 늘었을 것이다. 그런데 며칠뒤 링크드인을 통해서 예기치 않은 메시지를 받았다.
트위터에서 드라마피버가 회자되는 것을 알아채고 그 트윗을 날린 범인이 나라는 것을 파악한 박석대표가 날 링크드인에서 찾아서 메시지를 보내왔던 것이다. 신기하기도 해서 메시지를 교환하면서 그가 뉴욕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참 지나서 뉴욕출장을 갈 일이 생겼다. 마침 생각이 나서 드라마피버 사무실을 들러보겠다고 했다. 내 예상과 달리 낡은 건물안에 약 5평 남짓한 방에 직원들과 다닥다닥 붙어서 일하고 있었다. 따로 미팅룸도 없어서 사무실 가운데 앉아서 이야기를 했다. 그런데 박대표가 비디오광고에 대해서 아주 선수였다. 당시 나는 라이코스의 비디오광고플랫폼 문제로 골머리를 썩히고 있었다. 비디오광고는 왜 그렇게 잦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어떤 비디오광고 회사와 일하는 것이 좋은지 등등에 대해서 그의 의견을 물었는데 드라마피버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비디오광고에 대해서는 이골이 난 그는 아주 박식했고 실질적인 조언을 해주었다. 허름한 사무실에 있지만 실력을 갖추고 겸손한 자세의 그에게 나는 아주 좋은 인상을 받았다.
나도 뭔가 보답으로 도움을 주고 싶어서 “도움이 필요한 것이 없냐”고 물어봤다. 그러자 그는 “나중에 한국에 출장을 갈때 투자자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던 것 같다. 그래서 나는 (가까운 후배인) 소프트뱅크 이강준상무에게 드라마피버를 메일로 소개했다.
나중에 한국에 다녀온 박석대표는 “소프트뱅크에서 크게 환대해주고 관심을 가져줬다”고 고마와했다. 문규학대표부터 많은 사람이 나와서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줬다는 것이다. 이강준상무도 좋은 회사를 소개해줘서 고맙다고 전해왔다. 한국언론에 드라마피버가 소개될 수 있도록 광파리님 등을 연결해주기도 했다.
하지만 2012년 6백만불을 펀딩한 시리즈B 투자에는 소프트뱅크가 들어가지는 않았다. 하지만 꾸준히 소프트뱅크와 관계를 유지하던 드라마피버는 결국 2013년 소프트뱅크의 1백50만불 투자를 받았다. 그러면서 드라마피버는 꾸준히 성장했다.
그리고 바로 이틀전 일본의 소프트뱅크 인터넷&미디어의 드라마피버 인수 뉴스가 나왔다. 인수가격이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최소 1천억원에서 1천5백억원사이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물론 (한국)소프트뱅크의 드라마피버 투자와 (일본)소프트뱅크의 이번 인수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4년전의 트윗하나가 인연이 되어서 박석대표를 알게 되고 소프트뱅크에 소개해줄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 작은 보람을 느낀다. 이런 일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SNS의 파워를 다시 실감한다.
손정의회장을 만나러 도쿄로 가는 비행기안에서 박석대표가 페이스북 메시지를 보내왔다.
“Mr. Lim, it’s been a crazy and exciting journey so far and I’m very happy that we connected a few years back. It’s amazing how everything works out – THANK YOU”
놀라운 세상이다.
정말 세상은 좁고 시간의 격차가 점차 더 줄어 드는 느낌 이네요 ~ 칼럼 잘 보고 갑니다.
rapael99
2014년 10월 17일 at 8:59 am
트윗 하나가… 정말 엄청난 Connection을 만드는 군요. 놀랍습니다.
hundredin
2014년 10월 18일 at 8:22 am
드라마틱한 이야기군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HP
2014년 10월 18일 at 2:27 pm
아~ ‘강한 전류’가 통했네요 !! 준비된 분들이 연결되면 ‘시너지’가 나는것은 당연한 일이겠죠~ ㅎㅎ
김기성
2014년 10월 20일 at 9:04 am
음 많은 걸 생각하게 하는 글이네요 sns도 중요하지만 적극적으로 connect하고 communicate하고 cooperate하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yjc (@yjchamd)
2014년 10월 20일 at 1:33 pm
오우~~~ 정말 영화같은 애기가 이제는 현실이 되는 시대이군요…^^
SNS에 애써 무관심했던 제가 좀 부끄럽네요…
처음 댓글 남기네요… 님의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네요… 시야도 넓어지고…
감사합니다!
심우진
2014년 11월 16일 at 9:47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