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NYT의 지면과 온라인버전 기사 비교

with 6 comments

뉴욕타임즈가 얼마나 온라인기사에 공을 들이는지 오늘 일요판 신문을 보면서 다시 실감했다. 종이신문으로 읽을 때는 평면적인 기사와 사진, 그래픽을 NYT가 어떻게 온라인에 맞게 다시 디자인했는지 두가지 버전을 비교해가면서 보면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마이클 블룸버그가 뉴욕시장으로 재임한 12년간 뉴욕시가 얼마나 변모했는가를 보여주는 기사.

마이클 블룸버그가 뉴욕시장으로 재임한 12년간 뉴욕시가 얼마나 변모했는가를 보여주는 기사.

위 기사는 1면톱과 속지에 걸쳐서 게재된 것이다. 이를 온라인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Reshaping New York 링크를 눌러서 꼭 한번 직접 보시길 바란다.

Screen Shot 2013-08-18 at 9.17.29 PM

그리고 오늘 일요판 스포츠섹션에 평생동안 5만회이상 출전한 55세의 경주마 기수에 대한 이야기가 실렸다. 자그마치 6개면에 걸친 소설같은 분위기의 심층 취재기사다. 종이지면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이런 기사들이 실리는 일요판은 한국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두껍고 양이 많다.)

Screen Shot 2013-08-18 at 8.30.37 PM

Screen Shot 2013-08-18 at 8.30.50 PM

Screen Shot 2013-08-18 at 8.31.14 PM

종이신문에도 정성들여서 사진과 그래픽을 곁들인 기사를 실었는데 위 내용을 온라인인터렉티브로 재가공해 올린 버전도 볼만하다. 기사의 제목은 ‘The Jockey’. 링크를 눌러서  이 기사를 스크롤하면서 읽어보자. 적절한 위치에서 성우의 목소리가 나오고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으로 동영상을 집어넣는등 온라인 독자에게 더 나은 읽기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다. (데스크탑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는 것 같은데 타블렛 등에서도 잘 보인다.) 역시 꼭 한번 아래 그림을 눌러서 NYT의 디지털스토리텔링기사를 경험해보길 권한다.

Screen Shot 2013-08-18 at 9.32.38 PM

이렇게 비교해서 보면 NYT가 온라인에 얼마나 공을 들이는지 알수 있다. 예전에도 김연아관련기사의 예에서 고품질 NYT온라인기사에 대해서 언급한 일이 있는데 이 정도 투자를 하기 때문에 온라인유료화에 나서고 또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출처: 동아일보

출처: 동아일보

NYT는 원래 콘텐츠에서 차별화된 신문이다. 세계적인 고품질의 신문이 또 이 정도로 온라인콘텐츠에 꾸준한 투자를 해서 유료화에 겨우 성공했다. 반면 기사품질은 신문마다 큰 차이가 없는데다 온라인기사에는 종이신문기사만큼의 신경도 쓰지 않고 낚시질로 트래픽을 올리는데 급급한 한국의 신문들이 과연 온라인유료화를 이뤄낼 수 있을까. NYT독자들처럼 기꺼이 월 몇만원씩의 돈을 내면서 온라인유료구독을 할까… NYT를 보면서 한국신문의 온라인유료화 성공가능성을 한번 생각해봤다. (지금의 수준으로는) 정말 어려울 듯 싶다.

추가 Update : 뉴욕타임즈라는 신문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 분들에게 올해 5월 동아일보 토요판에 실렸던 ‘Why NYT’-세계는 왜 뉴욕타임즈를 열독하는가라는 기사를 추천한다.

Written by estima7

2013년 8월 18일 , 시간: 10:38 pm

6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 NYT의 지면과 온라인버전 기사 비교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

  2. […] 출처: NYT의 지면과 온라인버전 기사 비교 | 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

  3. (원래)잘 팔리는 콘텐츠를 웹/모바일의 장점을 살려 잘 풀어낸 예가 NYT가 아닐까 합니다.
    재밌게 읽고 갑니다. ^^

    아크몬드

    2013년 8월 19일 at 2:28 am

    • 맞습니다. 기사의 수준은 확실히 최고니까요. 하지만 이 정도 품질의 온라인기사를 만드는 곳은 미국에서도 NYT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estima7

      2013년 8월 20일 at 12:10 am

  4. 이정도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내려면 독자층(영어를 읽을 수 있는 인구수랑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인구수 차이;;;)이 적어도 몇억명 단위는 되어야 하지 않을지 -ㅇ-;;; 이런점에서 아쉬운게 많아요;;;ㅋ 중국이 한글(한국어가 아니라 글자만)을 쓰면, 국내에서 인터넷 서비스에 투자되는 돈이 엄청 늘어날것도 같은데 말이죠ㅋ.

    kipacti (@kipacti)

    2013년 8월 20일 at 12:24 am

  5. 한국온라인신문에선 김치년을 까는게 제맛이죠. 하루에도 수 없이 김치년들의 막장짓이 나오니깐요.

    ㅍㅌㅊ

    2013년 8월 21일 at 8:35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