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매니저 컨퍼런스에서 느끼는 미국의 힘
우연히 “Campaign Decision Makers Conference”라는 행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하버드의 정치연구소(Institute of Politics)에서 주관하는 행사다. 매 4년마다 대통령선거가 끝나면 몇주안에 공화당, 민주당 양 진영의 캠페인매니저, 즉 주요 대선참모들과 뉴욕타임즈, CNN,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미디어의 정치담당 간부급 기자들이 모여서 이틀동안 토론하는 행사다. 올해는 11월 6일의 미국 선거일후 약 3주가 지난 11월 29일에 열렸다.
이런 행사가 있다는 것도 놀랍지만 1972년이래 40년동안 4년마다 한번도 빠지지 않고 양 진영의 주요참모들이 모여서 선거를 복기해 왔다는데 대해 감탄했다. 이 행사에는 오마바와 롬니캠프뿐만이 아니라 릭 페리, 허먼 케인, 릭 샌토럼 등 공화당 경선후보들의 참모들도 모두 빠지지 않고 참가해 당시 치열한 전쟁중의 전략과 성공, 과오에 대해서 솔직하게 털어놨다.
양 진영을 총지휘한 캠페인매니저 둘이 의외로 젊다는 점도 놀랍다. 오바마캠프의 짐 메시나는 42세, 롬니캠프의 맷 로즈는 37세다. 이 두 사람은 이 컨퍼런스에서 허심탄회하게 지난 선거에서 잘했던 점과 못했던 점을 털어놓은 듯 싶다.
예를 들어 맷 로즈는 롬니의 47% 발언이 담긴 테이프가 있는지에 대해 전혀 몰랐다고 털어놓았다. 자신이 모셨던 보스에 대해서 누가 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도 비교적 솔직히 이야기하는 모습이다.
특히 이번해의 행사부터 모든 토론내용이 오디오로 녹음되어 팟캐스트로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다. 누구나 듣고 싶은 사람은 전체 약 8시간분량의 토론을 들을 수 있다.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행사를 시작하는 첫번째 팟캐스트를 들어보니 IOP디렉터인 트레이 그레이슨이 이렇게 말한다. “우리의 컨퍼런스는 모든 진영의 선거참모들이 모여 그들이 겪었던 성공과 어려움을 공유하도록 한다. 이런 토론은 역사학자들은 물론 미래의 캠페인참모가 될 젊은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치열한 대통령선거를 마치고 양 진영의 핵심참모와 언론인들이 모여 모든 것을 다 까놓고 토론하는 것. 그리고 그 기록이 다 남아서 후대의 선거참모들과 정치를 지망하는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
이런 것이 정말 미국의 힘, 저력이 아닐까 싶다.
생의 한 가운데에서에서 이 항목을 퍼감.
tertoen
2012년 12월 10일 at 6:43 pm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끝이 아니라 되짚어보면서 과정을 솔직하게 점검하는 모습은 정말 선진국다운 모습이네요.
Jihoon Kong
2012년 12월 11일 at 5:00 am
사실 실패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은데 이렇게 복기를 하지 않으면 남는 것이 없죠. 저도 이런 컨퍼런스가 있다는 것을 알고 참 놀랍기도 하고 부럽기도 했습니다. ^^
estima7
2012년 12월 11일 at 10:09 am
와우, just 와우.
b군
2012년 12월 11일 at 7:43 am
서로 전략울 공유하는 걸 보면 이해가 안되기는 합니다.
kimjunho79
2012년 12월 11일 at 6:51 pm
팟캐스트 검색해봐도 나오지 않네요.
다운로드는 불가능한가요?
Elletsar
2012년 12월 12일 at 7:20 pm
http://www.iop.harvard.edu/2012-campaign-decision-makers-conference 여기 페이지에서 그냥 Download버튼 누르시면 다운로드됩니다.
estima7
2012년 12월 12일 at 10:10 pm
단순이 ‘이기는 방법’과 ‘실패의 원인’ 정도를 다루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경제적으로, 정당하게, 깨끗하게, 품위를 잃지 않고, 보다 많은 지지를 얻으며 이기는 방법, 혹은 지는 방법’ 을 주고 받는 자리가 만들어 진다면… 부러움을 떠나서 무서운 나라라는 생각이 듭니다.
Jee Hoon Lee
2012년 12월 14일 at 9:37 pm
어제의 3차 대선 토론을 보고 이 기사를 보니…
아……미국 무섭군요…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구요.
Dohyung Kim
2012년 12월 16일 at 7:21 pm
정말 부럽네요 이런 환경이 🙂 4년마다 한번씩 이렇게 복기할수 있다는 것도 ^^
Alan Byeongsu Yu
2012년 12월 17일 at 4:24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