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5월 2021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1, 2와 라틴펀드 포트폴리오

5월12일 소프트뱅크 결산발표회에 나온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1, 2와 라틴펀드 포트폴리오 회사들에 대해서 간단히 메모해 둔다.
2016년말 100B규모로 결성되어 세상을 놀라게 한 것이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1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출자해서 정확히는 98.6B, 한화로는 111조원의 규모로 결성됐다. 사상최대규모의 벤처펀드다.

여기서 투자한 회사가 92개사다. 약 3년여만에 그 엄청난 자금을 다 투자했다. 그리고 그중 유일한 한국회사인 쿠팡이 올초 뉴욕증시에 상장하면서 엑싯, 소프트뱅크에 가장 큰 투자수익을 가져다 줬다. 비전펀드에서 나온 이익이 37조원쯤 되는데 여기서 30조원가까이가 쿠팡에서 나왔다. (물론 회계상 이익이다.)

소프트뱅크비전펀드2는 펀드1이 위워크 투자 실패 등으로 한창 비판받을 2019년말쯤 결성됐기 때문에 펀드레이징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비전펀드 1에 비해서는 펀드 사이즈가 작다. 30B규모다. 이 돈을 출자한 회사도 소프트뱅크 본사 단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써 95개사나 투자했을 정도로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다. 한국회사로는 유일하게 김동신 대표의 센드버드가 들어가 있다. (물론 엄밀하게 얘기하면 쿠팡이나 센드버드나 미국법인 회사다.)
라틴아메리카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만든 라틴펀드도 벌써 37개사에 투자했다. 이 펀드의 규모는 5B이다.

위는 라틴아메리카의 유니콘 기업 랭킹이다. 여기서 6개사가 소프트뱅크 라틴펀드에서 투자한 회사들이라고 한다. 대부분은 아마 소프트뱅크가 투자하면서 유니콘이 됐을 것이다.
위에 나온 3개 펀드 포트폴리오사는 모두 224개사인데 불과 3개월전의 발표에서는 164개사였다. 즉, 3개월만에 무려 60개사에 투자한 것이다. 휴일을 빼고 영업일에 하루 한 곳씩 투자를 집행한 셈이다. 무서운 투자속도다.
센드버드 김동신 대표에게 얼마전 들은 얘기가 있다. 비전펀드2에서 투자검토를 한다고 해서 “48시간내에 결정해주지 않으면 클로즈할거다”라고 했더니 “47시간만에 투자결정을 해서 알려줬다”는 것이다. 수백억에서 수천억, 많게는 수조원의 투자를 집행하는 회사가 참으로 대단하다. 비전펀드에서 투자하는 한국 스타트업이 앞으로 더 많이 나오길 바란다.
손정의회장의 탁월한 스토리텔링 능력
지난 5월12일에 있었던 2021년 소프트뱅크의 결산 설명회 동영상을 봤는데 손정의 회장은 참 뛰어난 스토리텔러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됐다. 2021년 3월 마감 회계연도에서 소프트뱅크는 4.99조엔, 한화로 52조원이라는 일본기업 역사상 최고의 이익을 올렸다.
여느 평범한 기업의 결산보고회라면 그냥 사업설명과 함께 5조엔이라는 엄청난 이익을 냈다는 것을 무미건조하게 설명했을 것이다. 그런데 손회장은 뭔가 달랐다. 결산보고와는 관계가 없지만 우선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의 한 기차 건널목과 주위 풍경을 담은 오래된 흑백 사진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여기가 어딘지 알겠느냐고 질문한다. 일본인이라도 도저히 알수가 없는 곳이다. 나도 보면서 여기가 어딜까 생각했다.
1981년 그가 소프트뱅크를 창업했던 후쿠오카 잣쇼노쿠마라는 곳의 사진이라고 한다. (이런 이상한 이름의 일본 지명은 처음 들어봤다.)
거의 시골 같았던 이곳에서 저 너머에 있는 하카다역, 그리고 더 멀리 있는 도쿄를 생각하며 사업확장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여기서 처음 채용한 2명의 직원을 앞에 두고 당시 손회장은 앞으로 소프트뱅크는 1조, 2조 조단위의 매출과 이익을 내는 회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러자 자신을 머리가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했는지 두 명의 직원은 불과 일주일만에 그만뒀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은 정말 진심으로 그런 회사를 만들 생각이었고 드디어 오늘의 결산발표에서 드디어 매출도 이익도 조단위라고 말할 수 있는 단계가 됐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한 장의 사진에 소프트뱅크 40년의 역사를 응축해서 보여줄 수 있다는 말을 한다. 창업 40년만에 52조원의 이익(매출이 아니다!)을 내는 회사를 만들었다니 정말 감회가 깊을 것 같다.
예전에도 손정의 회장의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해서 블로그에 글을 쓴 일이 있다. 회사의 사업을 알기 쉬운 그래프와 글을 통해서 쉬운 말로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청중의 감수성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 능력까지 뛰어나다는 생각을 해봤다. 볼 때마다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