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킥스타터 덕분에 쏟아지는 하드웨어혁신 스타트업

with 6 comments

실리콘밸리의 반도체대기업에 다니던 권기태씨는 지난해 ‘인피니윙’이라는 하드웨어회사를 창업했다. 맥북에어를 연결해 쓰는 훌륭한  도킹스테이션제품을 만들어보고자하는 아이디어에서였다. 그런데 소프트웨어벤처와 달리 하드웨어벤처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기가 무척 어려웠다. 창업 아이디어를 단지 소프트웨어엔지니어의 역량으로 프로그래밍해서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벤처기업과 달리 하드웨어 벤처는 여러가지 장애물이 많기 때문이다. 제품이 완성되기 전에는 실물을 보기 어렵고, 초기 프로토타입제품을 만들어내는데도 꽤 많은 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일단 제작에 들어간 뒤에도 쉽게 내용을 변경하기 어려우며, 배송비용과 AS부담까지 있다.

얼마간의 초기 투자를 끌어내는데는 성공했지만 이후 비용부담때문에 그의 프로젝트는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그런데 그는 구세주를 만났다. ‘킥스타터’(www.kickstarter.com)라는 웹사이트에 그의 프로젝트를 게시하면서 초기 투자비를 확보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는 멋진 제품사진과 효과적인 설명비디오로 잠재사용자이자 투자자인 킥스타터의 독자들에게 프로토타입제품을 소개했다. 물론 공짜로 투자를 구하는 것은 아니고 139불이상을 기부하면 나중에 완성된 제품을 보내주는 방식이다.

그의 이 맥북에어 도킹스테이션 프로젝트는 불과 12일만에 목표액 5만불모금을 달성하고 한달동안 5백명 가까운 사람들에게 8만2천만불을 모금하면서 그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직접 돈을 기부한 사람뿐만 아니라 킥스타터를 통해 그의 제품을 사겠다는 잠재 고객 수천명과의 연결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대기업 4군데서 초도물량을 주문받았다. 이 모든 것이 킥스타터가 없었다면 상상도 하지못할 일이었다.

킥스타터는 2008년 뉴욕에서 페리 첸 등 3명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벤처기업이다. 이들은 멋진 아이디어를 가진 회사나 개인이 투자회사가 아닌 일반대중에게 직접 십시일반으로 모금을 받아 재원을 대는 인터넷플렛홈을 생각해냈다. 이것을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이라고 한다. 원리는 이렇다. 어떤 기발한 프로젝트나 제품개발아이디어가 있는 사람이나 회사가 킥스타터플렛홈에 내용을 설명하는 게시물을 올린다. 그리고 그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과 모금기한을 명시한다. 잠재적 기부자는 소개페이지를 보고 기부를 할지 결정한다. 기부를 하고 싶으면 크레디트카드 등을 통해 하면 된다. 하지만 전체 모금금액이 달성되야만 돈이 빠져나간다. 정해진 기한내에 목표액을 모금하지 못하면 모두 없던 일이 된다. 기한내에 모금을 달성되면 킥스타터의 수수료인 5%와 아마존의 3~5%결제수수료를 제한  나머지 금액이 아이디어발안자의 통장으로 입금된다.

어찌보면 단순한 이 모델은 놀라운 성공을 거두고 있다. 7월중순현재 6만4천여개의 프로젝트가 킥스타터를 통해 투자금을 받았다. 이 플렛홈에 소개된 프로젝트중 44%가 투자유치에 성공해 2억4천만불이 넘는 금액을 모금한 것이다. 매년 그 성장세도 가파르다.

예를 들어 올 2월 한 아이폰주변기기제작프로젝트가 1백만불이 넘는 금액을 모금한 이후 지난 5월에는 페블 이페이퍼 와치라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전자시계프로젝트가 1천만불이 넘는 금액을 모금하는데 성공해 큰 화제가 됐다. 멋진 제품에 열광하는 전세계의 얼리아답터들을 흥분시킬수 있는 제품이라면 정식투자자를 통하지 않더라도 투자금을 모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회사의 지분을 투자자에게 넘겨주지 않으면서도 미래고객층까지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킥스타터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돈을 모금하고 실제 제품을 기한내 만들어내지 못해 문제가 되는 일도 많다. 하지만 옛날같으면 빛을 발하지 못하고 사라질 수많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세상에 꽃피게 해준 것만으로도 킥스타터는 큰 의미가 있다.

/8월초 시사인에 게재했던 내용입니다.

Written by estima7

2012년 8월 20일 , 시간: 12:25 am

Webtrends에 게시됨

Tagged with

6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킥스타터에 참 기발한 제품들이 많다고 생각했었는데, 한국분이 만들었다니 더 기대가 되네요. 저도 맥북을 외부 모니터에 연결해 쓰다보니, 도킹 시스템이 있나하고 Amazon, eBay 검색해 본적이 있습니다. 15인치 MacBook Pro w/ Retina를 주문해 놓고 기다리는 상태라 지금 구매는 못하겠고.. 나중에 맥북프로용으로 나오면 꼭 구매해야겠네요. ^^

    Elca Ryu (@elcaryu)

    2012년 8월 20일 at 12:47 am

    • 그런데 맥북은 요즘 모델체인지때마다 사양이 조금씩 바뀌어서 도킹시스템이 잘 작동할지 모르겠습니다. ㅎㅎ 권대표님에게 나오면 보여달라고 해야겠습니다. 저는 레티나맥북프로를 살까 조금 고민하다가 (무거운 랩탑이 부담이 되서) 그냥 11인치 맥북에어를 구매했습니다만 만족스럽게 쓰고 있습니다. 어차피 항상 모니터에 연결해서 쓰니까 별 상관이 없네요.

      estima7

      2012년 8월 20일 at 12:05 pm

  2. 킥스타터가 Crowdsourcing을 통해 좋은 아이디어는 있지만, 자본은 없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예전에 한국의 작은 벤쳐기업이 이곳을 통해 Crowdsourcing하려 했었지만, Account 를 만들려면, 미국 은행 계좌 및 세금 관련 사항 때문에 해외에서는 진행할 수 가 없어서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변경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아무튼 훌륭한 개방형 플랫폼입니다. 참고로 아래 기사 링크도 살펴 보세요. 킥스타터의 전체 프로젝트 통계를 보았을 때는 왜곡된 면도 있다는 infographic 기사입니다.

    Kickstarter failures revealed! (infographic)
    http://venturebeat.com/2012/06/11/kickstarter-failures-revealed-what-can-you-learn-from-them-infographic/

    Ji-Won Park

    2012년 8월 20일 at 3:56 am

    • 예, 지금도 아마 미국거주자로 은행계좌가 있는 사람만 할 수 있을 겁니다. 사실 말씀하신대로 어뷰즈 관련 등 부정적인 측면도 많다고 알고 있는데 윗 글은 잡지기고라 원고량이 제한되어 있어 그냥 소개하는 정도로만 쓴 글입니다.ㅎㅎ 그래도 아무튼 훌륭한 개방형 플렛홈이라는데 동감입니다.^^

      estima7

      2012년 8월 20일 at 12:08 pm

  3. “6 Most Successful Kickstarter Campaigns (http://www.investopedia.com/slide-show/kickstarter“, 라는 킥스타터의 가장 성공적인 여섯가지 캠패인에 관한 기사를 읽었는데,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여긴점이 이중 네가지가 게임에 관련된 것과 나머지 둘은 아이폰 관련 아이템이라는 점입니다 (Pebble의 경우에는 Android 아이템이기도 하지만요). 아뭏든 좋은 글과 LandingZone 소개 감사합니다. 만약에 에어를 구입한다면 꼭 기억해야날 아이템 같군요.

    Joohwan Kwon

    2012년 8월 25일 at 1:34 pm

  4. 우리나라에도 텀블벅이라는 비슷한 개념의 사이트가 있어요. 청년창업기업인데 주로 문화 예술쪽으로 모금을 받고 있네요.
    http://www.tumblbug.com

    박준영

    2012년 9월 18일 at 3:44 a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