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스타트업에 의해 해체되는 대기업: Unbundling 현상

with 13 comments

지난 1년반동안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의 스타트업 동네를 자세히 둘러보고 생각할 기회를 얻었다. 알면 알수록 정부의 정책이 기존 기득권세력을 보호해주는 쪽으로 만들어져서는 스타트업이 크기 어렵다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작은 기업이 뭐든지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해줘야 혁신이 나온다.

그리고 파괴적인 혁신을 만든 회사는 필연적으로 기득권 세력과 충돌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충돌이 나온 상황에서 규제당국이 어느쪽 손을 들어주느냐에서 혁신으로 새로운 회사가 나와서 기존업계의 질서가 바뀌느냐 아니면 기존 강자들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지가 판가름 난다.

만약 기득권회사들의 편을 들어서 계속 복잡한 규제 등 장벽을 만들어서 새로운 혁신의 성장을 방해한다면 우리 경제의 바람직한 신진대사는 이뤄질 수가 없다.

그래픽 출처 CB Insight

그래픽 출처 CB Insight

위의 그림을 보면 실리콘밸리의 역동성을 느낄 수 있다. 닷컴버블의 최고조였던 2000년 3월 나스닥 기업가치 톱10의 기업중 15년뒤에 톱10에 자리를 지키고 있는 회사는 MS, 인텔, 시스코뿐이다. 당시에 거의 존재감이 없던 애플이 지금은 세계최대시총의 회사로 부활했다. 15년전에는 존재가 미미했거나 없었던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2, 4, 5위에 포진해 있다. 그리고 지금 이 톱10랭킹에 우버, 에어비앤비 같은 공룡스타트업들이 곧 들어올지도 모른다. 이런 역동성은 틀을 깨부수는 파괴적 혁신에 너그러운 실리콘밸리의 토양이 있기에 가능했는지 모른다.

이제 다시 기존 대기업에 대한 스타트업의 총공격이 시작된 것 같다. 백화점식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은행, IT회사, 생활용품회사, 페덱스 등을 기민한 스타트업들이 공격하고 있다. CB Insights가 이런 현상을 멋지게 그래픽으로 정리했다.

Unbundling-of-a-bank-V2

미국의 소비자은행인 웰스파고의 서비스를 수많은 핀테크스타트업들이 공격중이다. 대출은 렌딩클럽, 온덱, 캐비지 등이, 자산관리는 웰스프론트, 베터먼트 같은 회사들이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unbundling-of-european-bank-v2

유럽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HSBC의 홈페이지를 사례로 들었는데 역시 수많은 핀테크스타트업들이 성업중이다.

unbundlingPG

생활용품으로 유명한 P&G같은 회사는 각 제품군마다 수많은 작은 스타트업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 남성용품의 경우 달러쉐이브클럽같은 경우가 유료멤버로 가입하면 매월 남성용품을 보내주는 방식으로 P&G의 시장을 빼앗고 있다는 것이다. P&G를 해체하는 스타트업중에는 한국의 스타트업, 미미박스도 나와있다. [2016년 7월16일 업데이트. 유니레버가 달러쉐이브클럽을 10억불에 인수.] 

unbundlinghoneywell2가정용 온도조절계, 에어콘, 가습기, 도어록, 보안장치 등을 만드는 허니웰의 경우는 수많은 IoT스타트업의 공격을 받고 있다. 네스트, 드롭캠 같은 회사가 대표적이다.

Screen Shot 2015-04-21 at 6.09.53 PM심지어는 배송업체인 페덱스의 서비스도 수많은 스타트업의 공격을 받고 있다는 것이 재미있다. 우버도 배송의 영역에 군침을 흘리고 있으며 Shyp같은 회사는 모바일앱으로 어떤 물건이든지 사람이 와서 알아서 포장해서 배송해주는 방식으로 페덱스의 시장을 조금씩 잠식하고 있다.

이렇듯 작고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대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분해하는 시대다. 위 그림들을 보면 자연스럽게 왜 해외의 거대기업들이 열심히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인수에 나서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렇게 안하고 게으름을 피우다보면 나중에 호랑이로 변한 스타트업에 잡아먹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생태계가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기업생태계도 이런 모습으로 변해야 한다. 그래야 좋은 회사들이 치고 올라오고 혁신을 게을리하고 기존 시장에 안주하는 대기업은 도태된다.

이처럼 은행의 서비스가 핀테크스타트업에 의해 Unbundling되는 시대에 한국에서는 자본금 2천억원의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시대착오적이란 생각이 든다. 위성DMB, 지상파DMB, 종편 등 이런 식으로 정부가 라이센스를 줘서 산업을 키우는 시대는 지났다. 시장에 맡겨야 한다.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자본금 몇천억의 공룡회사를 또 만드는 것보다는 2천억을 수많은 작은 혁신회사에 투자하고 그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규제와 불공정한 업계관행을 걷어내고 공정한 경쟁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Written by estima7

2015년 4월 21일 , 시간: 11:40 pm

13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정보혁명의 도래, 산업사회의 종말, 화폐보다 정보중심의 사회로 전환에 대한 흐름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하고, 부정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변화에 대해 그 누구도 정확이 제시하진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혁신을 혁명이라하고, 혁명을 혁신처럼 생각하는 혼동이 혼돈과 혼란 속 불확실성을 부추기고 있고, 최대생산을 통해 수익창출을 지향하는 자본이 과잉생산의 일반화 속에 거품을 일으키며 합리적 수준 이상의 투자거품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정보혁명은 산업경제,대의제 중심의 민주주의라는 현체제를 개선,혁신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붕괴하는 것이라 생각힙니다. 얼음,물,증기가 H2O로 구성된 것은 같지만 전혀 다른 형질이고 에너지역하작용을 하는 것처럼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의 주체는 사람이고, 기술을 통해 추구하는 것이지만 전혀 다른 관점, 이념이고, 체제 중심 기반이 갖는(요구하는, 가능하게 하는) 속성 또한 다름입니다.

    인간 생명의 주기는 6~90년이고, 혁명의 주기는 짧아지고 있지만, 3~400백 년이기에 그 간극에서 혁명이 기존 체제의 문명이 연속성은 수렴하되, 이념,관념,관성,관행은 부정,붕괴하고 대체하는 새로운 이념,속성,가치와 철학을 요구한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없거나 너무 옅어졌다고 판단합니다.

    혁명은 본질적으로 기득권을 부정붕괴하는 것으로 본질적으로 기존 체제 수호적일 수밖에 없는 정부,정권에겐 기회보다는 위협이 되는 것입니다. 개혁파의 압도적인 무력에 의해 평화적이었던 메이지유신을 제외하곤 평화적으로 봉건사회에서 산업사회사회로 전환 된 공동체가 없었듯이,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전환을 반길 정부,정권은 존재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는 것입니다.

    문명의 역사에서 세상에 어떤 변화가 옳고그름으로 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옳고도 이해가 맞고, 이익이 되면 하지만, 옳음에도 이해가 맞지않고, 이익이 되지 않으면 외면,왜곡,부정 당하는 것이 역사이고 현실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개선과 혁신은 기존 정부,정권과 협력이 가능하지만, 혁명은 오직 그것을 원하고, 그것이 이해에 부합하고, 이익이 되는 개인, 기업, 단체의 역량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 입니다. 진정 정보혁명의 선도자가 되고, 선점하고 싶다면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하고 분명한 인식이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히 읽었기에, 감사의 흔적으로 의견을 남깁니다.

    보리소년양병철

    2015년 4월 22일 at 2:10 pm

    • 감사합니다. ^^

      estima7

      2015년 4월 22일 at 2:19 pm

  2. US Dream Venture Supporters에서 이 항목을 퍼감.

    mjohnns

    2015년 4월 23일 at 10:58 pm

  3. 좋은글 보고 갑니다. CB Insight 공유 감사합니다. 같은 영역의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체계적으로 정리된글을 보니 생각에 많이 도움이 됩니다.

    홍지원

    2015년 4월 25일 at 11:17 pm

  4. 경제민주화의 첫걸음은 선거에서 반듯이 투표하는것 즉 최고의 선택이 아니라 최악을 피해야 그나마 대기업을 규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희안희

    2015년 7월 24일 at 12:39 pm

  5. 선거에서 투표해야 경제민주화가 가능

    희안희

    2015년 7월 24일 at 12:42 pm

  6. 좋은 글 재미있게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sosunny1103

    2015년 9월 7일 at 2:52 am

  7. 좋은글 감사합니다.
    제 짧은 소견에 해체되는 대기업의 고용을 새로 생겨나는 스타트업이 보장해 줄 수 있는가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어째든 예전보다는 아니지만 많은 고용을 해 주고 있던 대기업이 몰락하고 스타트업이 그 만한 고용을 보장해 주지 못한다면 그 스타트업도 모래성과 같지 않을까요? 중산층 소비자가 무너지면 스타트업은 누구에게 팔 수 있을까요? 살아남는 1%가 소비자가 돼 줄 수 있을까요? 아니면 팔기위해 다시 식민지 시대가 되는 것인가요? 너무 비약일 수도 있지만 근래 넘쳐나는 뉴스와 주장들의 미래의 촛점이 너무 혁신과 효율에만 맞춰져 있는듯 합니다.

    박종은

    2015년 9월 8일 at 10:07 am

  8. […] 스타트업에 의해 해체되는 대기업: Unbundling 현상 […]

  9. […] […]

  10.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IT업계에서 근무하며 위와 같은 내용들을 파편적으로 듣고 알고있긴했지만, 이렇게 잘 정리된 글을 보니 정리가 되네요. 항상 좋은 콘텐츠 감사드립니다. ^^

    익명

    2016년 7월 21일 at 4:22 pm

  11. 저도 창업을 하고 세상에 없는 제품 그리고 지금의 문제를 해결한 제품을 만들어놓고
    몇개월째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은 전략을 가지고 갈지요.
    금번 홍보 동영상을 찍고 미국부터 부딛혀 보려 하는데… 과연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제가 부딛혀보려는 회사들도 많이 나오네요. 피엔지, 어니스트컴퍼니

    Gwangjin Kim

    2017년 7월 13일 at 7:40 pm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