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인디고고’
킥스타터, 인디고고로 하드웨어 혁신이 넘치는 시대
얼마전에 실리콘밸리의 VC인 트랜스링크 음재훈대표께 “지난 10여년동안 실리콘밸리에서 투자해왔지만 요즘이 가장 흥미로운 스타트업이 많은 시기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하드웨어가 다시 돌아오고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라는 말씀을 들었다.
CNET에서 기발한 제품들을 모아서 소개하는 크레이브(Crave)라는 프로그램 동영상을 보면서 참 그 말씀이 사실이라는 생각을 했다. 어쩌면 이렇게 신기하고 기발한 제품들이 많이 나오는지!
그리고 이런 기발한 상품들이 모두 킥스타터(Kickstarter)와 인디고고(Indiegogo)라는 크라우드펀딩사이트를 통해서 활발히 등장하고 있다는 것도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한국에는 킥스타터만 많이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인디고고가 뜨고 있다. 크레이브에 등장한 제품들도 인디고고에 올라온 제품이 많았다.
메모 겸 몇가지 상품 소개.
만능 아이스박스. 스마트폰 USB충전기도 되고, 믹서도 돌릴 수 있고, 병도 딸 수 있고… 깜짝 놀란 것이 킥스타터에서 자그마치 6백만불이상을 모금했다. 이런 만능 아이스박스를 열망하는 사람이 많았다보다.
인디고고에서 진행중인 이 프로젝트도 신기하다. 주인이 집을 비워도 고양이에게 효율적으로 밥을 줄 수 있는 스마트한 Cat feeder다. 고양이를 여러마리 키우더라도 각각 얼굴과 체중으로 각 고양이를 인식해서 그에 맞게 식사를 주며 주인에게 스마트폰앱으로 식사양을 알려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난주에 가장 큰 화제를 모은 것은 역시 JIBO라는 로봇개발 프로젝트인 것 같다. 가족들의 말상대가 되어 줄 수 있는 귀여운 가정용 로봇의 등장이다.(위 동영상을 안보신 분은 꼭 보시길!) MIT미디어랩의 신시아 브리질교수의 프로젝트인데 499불에 내년도 12월에 인도될 제품을 선주문할 수 있다. 10만불 모금을 목표로 시작했는데 벌써 그 10배인 1백만불이 모였다.
일반인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받아서 상품화하고 그 수익을 나눠주는 쿼키닷컴이라는 회사도 주목할만하다. 위 동영상은 CBS뉴스에서 이 회사를 소개한 것이다. 쿼키닷컴의 제품은 요즘 타켓 같은 미국의 할인점에서도 쉽게 살 수 있다.
사람들의 아이디어에 마치 실시간으로 투표하듯이 자금이 모이고 제품개발로 이뤄지는 이런 플랫폼의 등장으로 하드웨어혁신이 가속화되는 듯 하다. 다만 이런 아이디어가 이런 플랫폼이 있는 미국에서만 활발하게 나오는 것 같아서 좀 아쉽다.
하루 만에 모인 NYT신문광고비
지난 6월 초 집에 배달되어 온 <뉴욕 타임스>를 읽다가 ‘터키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전면광고를 만났다. 당시 거세게 벌어지고 있던 터키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에 대해 미국인들이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는 광고였다. 최루가스를 뿜어내는 최루탄 그림과 함께 “우리는 이대로 억압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터키 시민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고 쓰여 있었다. 어떤 단체가 이런 광고를 냈는지 궁금해서 살펴봤더니 “전세계의 뜻있는 개인들이 크라우드펀딩을 해서 모았다”고 적혀 있었다. 놀랍기는 했지만 예전에 가수 김장훈이 <뉴욕 타임스>에 독도 광고를 게재하는 것을 지원했던 것처럼 어떤 돈 많은 독지가가 이 광고비 대부분을 냈겠지 생각하고 지나갔다.
그런데 지난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 포럼에 참석했다가 발표자인 인디고고의 슬라바 루빈 사장의 이야기를 통해 이 신문광고가 실리게 된 과정을 듣게 되었다. 인디고고는 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프로젝트 계획을 인터넷사이트에 올리고 그 소요자금을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소규모 후원이나 투자 형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크라우드펀딩 회사다.
지난 5월 말 미국 뉴욕의 터키인 3명은 터키에서 조용히 시작된 시민들의 시위를 터키 정부가 거세게 진압하는 것을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접하고 자신들도 뭔가 힘을 보태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터키의 조부모에게 연락했다가 이 뉴스의 보도를 외면하는 터키 언론 탓에 그들이 지금 돌아가는 상황에 대해서 거의 모르고 있는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그래서 이들은 <뉴욕 타임스>에 광고를 내는 방법으로 터키의 상황에 대해서 더 많은 이들에게 알리기로 마음먹었다.
기술업계에서 일하는 그들은 트위터와 크라우드펀딩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필요한 광고비용을 효과적으로 모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뉴욕 타임스>에 연락해 그들은 전면광고비를 대폭 할인된 5만2천달러로 협상해냈고 모금을 촉구하는 내용을 인디고고에 올렸다. 그리고 트위터를 통해서 이 계획을 홍보한 결과 놀랍게도 21시간 만에 목표 금액을 채웠다. 세계 50개국에 있는 사람들이 시간당 2500달러의 속도로 모금을 해줬다는 것이다.(Update:52만달러로 잘못 표기했던 것을 5만2천달러로 고쳤습니다.6월28일)
나는 이 이야기를 듣고 세계인들이 촘촘히 에스엔에스와 스마트폰으로 묶인 시대에는 권력의 힘이 점점 개인으로 옮겨가면서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깨달았다. 거대자본이나 권력기관의 지원 없이도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가 있다면 몇 명의 개인이 거액을 하루 만에 모을 수 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그리고 한편 이런 시대의 변화에 맞춰 리더도 겸손하게 작은 개인의 목소리에 항상 귀를 기울이는 ‘겸허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도 지난 10년간의 경제성장 실적을 등에 업고 10년 이상 장기집권한 터키의 에르도안 총리는 높은 지지율에 취해 시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스티브 잡스가 만들어낸 ‘주머니 속의 인터넷’은 이제 대중의 강력한 무기가 됐다. 일반 대중은 어떤 권력자 못지않게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힘을 가진 자의 오만을 접할 때마다 쉽게 조직화된 분노를 표출한다. 최근 대중교통 요금 인상으로 촉발된 브라질의 전국적인 시위 사태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시대에는 “내가 보스니까 내 말을 들어라”라는 리더보다는 공감 능력을 갖춘 겸손한 리더가 대중과 더 잘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터키에 대해 일말의 관심도 없던 나도 이 광고를 계기로 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터키 시민들이 왜 거리로 나섰는지 이해를 하게 되었다. 이런 작은 실행이 세상을 바꾼다.
————————————–
지난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뉴욕타임즈 토머스 프리드먼 글로벌포럼에 참석했다가 들은 이야기를 칼럼으로 써봤다. 위 사진에서 왼쪽이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고 오른쪽이 인디고고의 슬라바 루빈CEO다.
위와 같은 트윗을 하긴 했지만 별 생각 없이 넘어갔다가 이야기를 듣고 보니 아주 인상적이었다. 크라우드펀딩이 꽤 활성화되어 있다는 생각을 했다. 다만 한국에서는 그다지 잘 되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것은 시장이 워낙 좁고 이런 기부를 하는 문화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만나보니 통찰력 넘치는 달변에 겸손한 모습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사진을 찍어달라는 요청에 귀찮아 하지 않고 웃으면서 기꺼이 포즈를 취해주었다. (사진을 찍어준 매경 손재권기자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