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전기자전거

도쿄에서 전기자전거 체험

with one comment

얼마전 일본 도쿄에서 전기 자전거 체험을 가볍게 메모.

도쿄에 갈 때마다 묵는 호텔에서 2시간까지 무료로 자전거를 대여해 준다. 항상 시간이 없어서 시도해 볼 기회가 없었는데 호텔을 체크하기 전인 토요일 아침에 시도해봤다. 덕분에 전기자전거를 처음으로 상당히 오래 타봤다. 진구마에에서 신오쿠보까지 편도 약 6km거리를 왕복해서 다녀왔다.

타보니 너무 편하다. 이래서 일본에서 다들 전기자전거로 바꾸고 있구나 싶었다. 도쿄에서 보이는 자전거의 절반이상이 요즘에는 전기자전거다.

이들 자전거는 PAS방식이다. Pedal Assist System이라고 페달을 밟을 때만 전기모터가 도와주는 방식이다. 가만히 있어도 버튼만 누르면 나가는 전동킥보드와는 다르다. 페달을 밟아야 나가니 오토바이가 아니라 자전거를 타는 느낌이다. 자전거로 간주되어 자전거도로를 달릴 수 있다.

무엇보다 페달을 밟아서 자전거를 처음 움직일 때 전기모터가 도와주니 가볍게 쑥쑥 나간다. 처음에 균형을 잡기가 쉽다. 그래서 더 안전하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그런지 도쿄에서는 이처럼 애 둘을 태우고 쇼핑바구니까지 가득 채우고 자전거를 타고 가는 엄마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전기자전거가 아니었으면 보통 자전거로 이렇게 다니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것 같다.

오르막길도 평지를 가듯 쉽게 올라갈 수 있다. 아주 가파른 오르막까지는 안가봤는데 그것도 문제가 없을 것 같다.

내가 탄 자전거는 파나소닉의 제품인 것 같은데 홈페이지에서 찾아보니 모델에 따라 가격이 10만엔~20만엔으로 만만치 않다. 5시간 배터리 충전에 50~70km쯤 주행 가능한 것 같다.

아침 일찍이라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특별히 자전거 도로가 없는 도심을 다녔는데도 다니기 쾌적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은 자주 보이는데 전동킥보드를 타는 사람은 한 명도 못봤다.

뭔가 약간 수퍼맨(?)이 된 느낌으로 자전거를 탈 수 있다. 대중교통요금이 비싼 일본에서는 아주 효과적인 교통수단이란 인상이다.

한국에서도 앞으로 전기자전거가 남녀노소에게 친숙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날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메모.

Written by estima7

2019년 10월 6일 at 7:32 pm

유용한 정보에 게시됨

Tagged with , , ,

판교와 바르셀로나의 공유자전거

with one comment

오늘 판교역에 내려보니 카카오모빌리티의 T바이크가 가득하다.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깔아놨다. 두가지 모델이 있는데 조금 바퀴가 큰 것과 바퀴가 작은 것이 있다. 카카오택시를 부를 때 쓰는 카카오T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미 등록해 놓은 카드로 보증금 1만원을 결제하고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운영 초기라 그런지 자전거가 있는 위치가 정확히 표시되지 않는 것 같다. ‘바이크 이용하기’를 누르고 자전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자전거 잠금장치가 열리며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뭔가 문제가 있는지 스캔하는 자전거마다 이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떴는데 2시간뒤에 다시 와서 써보니 잘 됐다. 판교역 주위를 한바퀴 돌아봤다. 전기자전거라 좀 쾌적하게 나가는 것 같기는 한데 평지라서 그런지 보통 자전거와 그렇게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았다.

한 3분정도만 타고 판교역앞에 세워두고 잠금장치를 다시 잠갔다. 처음 15분에 1000원이라는데 첫 이용이라 그런지 1000원을 할인해줘서 무료로 쓸 수 있었다. 전동 공유스쿠터 서비스인 킥고잉도 최근에 판교까지 확장했다고 한다. 판교에 모빌리티 전쟁의 서막이 열리고 있다.

사실 중국에 갈 때마다 공유자전거를 많이 사용했고 전기자전거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점프 바이크를 편리하게 타본 일이 있어서 카카오의 T바이크가 그렇게 신기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위에 보니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았다.

얼마전 MWC참관을 위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갔을 때도 각종 공유자전거, 스쿠터 서비스가 많다는 것을 느꼈다. Bicing이라는 공유자전거 거치대가 많이 보였다.

샌프란시스코의 스쿠트Scoot도 들어와서 일반자전거, 공유자전거의 서비스를 하고 있다.

중국의 모바이크도 들어와 있다.

특히 저녁의 바르셀로나 시내, 가우디의 카사 밀라 앞에서 좀 지나가는 사람들을 관찰했다. 시내는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고 자전거나 전동 스쿠터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무척 많았다.

전동스쿠터를 타고 다니는 여성들이 특히 많이 보였다.

이런 공유자전거, 공유스쿠터 서비스는 정말 글로벌한 트렌드다. 앞으로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들 일은 없을 것 같다. 전세계 도시의 과제는 이런 새로운 퍼스널 모빌리티 트렌드에 맞게 시민들이 기존 도로체계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다닐 수 있도록 바꿔주는 것이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3월 8일 at 11:47 pm

샌프란시스코의 점프 바이크로 보는 Maas

with one comment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했을 때 시내 곳곳에 있는 빨간 자전거를 보고 놀랐다. 점프 전기자전거다. 2018년 2월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이 자전거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리고 2018년 4월에 우버에 2억불에 인수됐다. 한화로 2천2백여억원이다.

생각보다 점프자전거가 샌프란 시내에 아주 많이 보여서 놀랐다. 자전거거치대에 꽃아놓지 않아도 되는 Dockless자전거이지만 인도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자전거 스탠드에 끼워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중국의 공유자전거처럼 길거리 아무데나 버려져 있는 느낌은 아니었고 어느 정도 정돈된 느낌이었다.

샌프란에서 우버앱을 열면 이렇게 나온다. 차를 렌트할지, 자전거를 탈지, 아니면 우버차를 부를지 물어본다. 무조건 우버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렇다 보니 가까운 1~2km거리에 갈 때 차보다 자전거를 타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자전거도 생각보다 많다. 쉽게 잡아 탈 수 있다. 잡고자 하는 자전거를 미리 앱으로 예약을 잡고 가서 타면 된다. 처음 30분이 2불, 그리고 이후부터는 분당 7센트다.

이 서비스를 미국 전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직접 타보니 전기 자전거가 정말 편하다는 것을 느꼈다. 페달에 별로 힘을 주지 않아도 쑥쑥 나간다. 타기에 정말 수월하다. 샌프란시스코에는 언덕이 많은데 올라가는데도 전혀 힘이 들지 않는다. 직접 타봐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점프바이크가 서비스 개시 1주년을 맞이해 발표한 데이터가 흥미롭다. 지난 일년간 6만3천명의 점프 고객이 62만5천번 자전거를 탔다. 특히 처음 9개월간 겨우 250대의 자전거로 만든 성과다.

이렇게 단거리는 우버대신 점프바이크를 타다보니 당연히 전체 우버 차량의 호출건수는 10%가 줄었다. 하지만 우버 입장에서는 전체 우버 교통 사용량은 오히려 늘었다. 이것이 바로 Maas 다. Mobility as a service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이런 데이터다. 사람들이 점프 자전거를 타고 어디에서 내리는지 알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도심이다.

사람들이 점프 자전거 앱을 열어보는 위치를 표시한 지도다. 점프는 현재 샌프란스시코 시내에서만 되는데도 베이에어리어 전역에서 “혹시 우리 동네에서 되나”하고 점프앱을 열어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디맨드가 있다는 뜻이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2월 14일 at 10:54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