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저널리즘’
기자중의 기자, 밥 사이먼
지난주는 유난히 미국언론인들을 둘러싼 뉴스가 많았다. NBC뉴스 간판앵커 브라이언 윌리암스의 스캔들과 데일리쇼의 존 스튜어트(그는 코미디언이지만 언론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의 급작스러운 데일리쇼 하차 예고 발표가 뜨거웠다.
그리고 두 뛰어난 저널리스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미국언론계를 흔들었다. CBS뉴스의 밥 사이먼과 NYT의 데이빗 카다. 밥 사이먼은 교통사고로 데이빗 카는 편집국에서 갑자기 쓰러졌다가 세상을 떴다.
특히 60미닛을 진행했던 밥 사이먼은 (그의 얼굴은 TV에서 가끔 봐서 익숙하지만) 내가 잘 모르는 사람이었는데 이렇게 기자들에게 존경받는 사람인지 몰랐다. 그는 어떤 사건을 보도하는데 있어 그만의 시각과 탁월한 문장력을 바탕으로 멋진 이야기로 만들어 내는 ‘스토리텔링’이 뛰어난 기자였다고 한다. 내가 놀란 것은 CBS뉴스소속으로만 47년간을 활약한 이 73세의 노기자에 대한 소속사를 초월해 쏟아지는 미국언론인들의 추모다.
이것은 CBS뉴스의 추모보도다. 한데 다른 방송사나 신문들도 일제히 그에 대한 기사를 크게 냈다.
밥 사이먼이 어떤 스토리텔링을 했는지 보여주는 60미닛 에피소드 한편을 소개한다. Joy in the Congo. 콩고에서 울려퍼지는 베토벤의 합창교향곡이다. 꼭 보시길 추천드린다. 저절로 미소가 지어지는 멋진 스토리다.
또 내가 아주 좋아하는 스토리텔러인 스티브 하트먼은 CBS이브닝뉴스에 밥 사이먼을 추모하는 내용을 내보냈다. (스티브 하트먼의 On the road 소개 포스팅 링크) 그가 몰래 밥 사이먼의 뉴스보도를 보고 또 보고 외우기까지 할 정도로 따라하면서 스토리텔링에 대해 배웠다는 고백이다. 아마도 이번주에 방영하려고 준비하고 있는 꼭지가 있었을텐데 위 리포트는 밥 사이먼의 부음을 듣고 급히 만들어서 내보내는 내용인 듯 싶다. 하지만 기자로서 진솔한 이야기가 가슴을 때린다. 그도 자타가 공인하는 뛰어난 스토리텔러다. 하지만 그가 ‘질투’하고 몰래 따라했던 사람이 밥 사이먼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밥 사이먼은 아주아주 겸손했던 사람이었다고 한다.
73세의 나이에도 현장을 뛰며 직접 취재하고 대본을 쓰고 영상을 편집하고 나레이션을 입히는 기자가 우리나라에 있을까 싶다. 3년만 더 했으면 저널리스트로서 50년을 채웠을텐데 그의 죽음이 아쉽다. 60미닛의 PD가 된 친 딸과 작업한 마지막 60미닛 에피소드가 오늘 방영된다고 한다.
어쨌든 누군가 세상을 떠났을때 이처럼 그의 일생을 기리며 추모하는 ‘Remembering’의 문화가 나는 아주 부럽다. 우리도 가까운 사람이 세상을 떠났을때 자녀들 이름과 빈소위치만 적은 부고글만 내지 말고 고인의 일생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글을 다같이 써보면 어떨까. 그것이 진정한 추모일 것 같다.
On The Road-보통사람들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전하는 뉴스
CBS이브닝뉴스에 스티브 하트먼이란 기자가 있다. 이 기자는 매주 금요일 뉴스 마지막에 On the Road라는 코너를 운영한다. 일종의 미담 코너인데 그는 여기서 가끔씩 감탄스러운 스토리를 전달한다.
특히 지난주에 Ohio boy pays it forward with found fortune라는 훌륭한 리포트를 접해서 소개한다. 주차장에서 주은 20불 지폐를 자신이 갖지 않고 식당에서 우연히 만난 군인에게 편지와 함께 전달한 8살 꼬마의 이야기다. 가슴 뭉클한 스토리이기도 하지만 스티브 하트먼의 스토리텔링 능력에도 매료되서 이 뉴스를 소개해보고 싶어졌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위 동영상을 꼭 보시길.
8살 꼬마 마일즈 에커트는 가족과 함께 식당에 들어갔다. 그는 신이 나있었다. 20불짜리 지폐를 방금 주차장에서 주웠기 때문이다.
그런데 마일즈는 식당에서 군인을 발견했다. 위에 나오는 중령이다. 마일즈는 자신의 20불을 Pay it forward (다른 사람에게 받은 후의를 또 다른 사람에게 돌려준다는 뜻)하기로 했다. 마일즈는 아래와 같은 노트를 써서 20불과 함께 중령에게 전달했다.
“Dear soldier – my dad was a soldier. He’s in heaven now. I found this 20 dollars in the parking lot when we got here. We like to pay it forward in my family. It’s your lucky day! Thank you for your service. Myles Eckert, a gold star kid.”
“군인아저씨, 우리 아빠는 군인이었습니다. 그는 지금 하늘나라에 있어요. 저는 지금 막 주차장에서 이 20불을 주웠습니다. 저는 이것을 Pay it forward하고 싶습니다. 오늘은 당신에게 있어서 행운의 날인 것 같습니다. 당신의 봉사에 감사드립니다. 마일즈 에커트. 골드스타키드.”
마일즈는 원래는 그 돈으로 비디오게임을 사고 싶었지만 군인을 보자마자 돌아가신 자신의 아빠를 떠올렸다고 했다. 마일즈의 아빠는 그가 태어난지 5주만에 이라크에서 전사했다. 마일즈는 20불을 군인에게 주기로 결심했다.
마일즈는 아빠를 똑 닮았다. 마일즈는 집에 돌아와서 엄마에게 아빠가 묻혀있는 묘지로 데려다달라고 했다. 그리고 혼자서 아빠에게 가서 묘비를 껴안고 뭔가 이야기했다. 그날 자신의 선행을 아빠에게 자랑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 모습을 엄마가 멀리서 사진으로 찍었다.
철들고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 하늘나라에 있는 군인 아빠를 떠올리며 우연히 만난 군인에게 20불을 정성스런 메모로 싸서 건낸 8살 꼬마. 그리고 아빠의 묘비를 껴안고 그 이야기를 속삭인 꼬마. 이 꼬마의 애틋한 마음을 생각하며 뭉클했다. 이 중령은 “이런 식으로 (꼬마에게) 고마움을 인정받은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나는 이후 이 노트를 매일매일 다시 보고 있습니다. It’s incredible being recognized in such a manner. I look at it (the note) every day”라고 말한다. 그는 이미 또 많은 20불을 기부했고 꼬마의 노트를 “A life-time direction”으로 여긴다고 했다. 그는 평생 이 노트를 잊지 못할 것이다.
Update : CBS이브닝뉴스는 지난 3월28일 위 리포트의 후속보도를 냈다. 이 9살소년은 미국인을 감동시킨 작은 히어로(본인은 전혀 원하지 않았던)가 됐다. 그리고 그가 기부한 20불은 크게 불어났다. 이 소년에게 성금이 답지했으며 이 가족은 이 성금을 전부 스노우볼익스프레스라는 전쟁에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을 돕는 단체에 기부하기로 했다. 현재까지 모인 돈은 3억원쯤된다.
***
나는 3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압축해서 이처럼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전하는 스티브 하트먼의 스토리텔링능력에 감탄했다. 어찌보면 평범할 수 있는 미담도 끈기 있는 인터뷰를 통해 보통 사람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끌어내며 또 그 내용을 호소력있는 원고, 나레이션으로 훌륭한 스토리로 거듭나게 만든다. 그가 어떻게 꼬마를 인터뷰하는지 보라.
위 동영상은 그가 어떻게 On the Road시리즈를 취재하고 3분리포트로 구성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미담제보는 주로 페이스북으로 받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자기가 직접 스토리를 쓰고 나레이션을 녹음하고 동영상을 편집하는 것 같다. 그야말로 취재부터 스토리, 편집까지 자신이 직접 통제하는 것이다. (물론 카메라맨과 프로듀서는 따로 있지만 말이다.) 방송국에 계신 분들은 많이 참고할 만한 내용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찾아보니 스티브 하트먼은 98년부터 방영한 “Everybody has a story”라는 뉴스시리즈로 유명해진 기자다. 이 시리즈는 매회 미국지도에 다트를 던져서 걸린 타운을 찾는다. 그리고 그 타운의 공중전화박스에 걸린 전화번호부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연결되면 그 사람의 이야기를 취재해 전달하는 것이다. 그야말로 길에서 우연히 만나는 완전 보통 사람을 인터뷰해서 전국뉴스에 나가는 스토리로 만든다는 것인데 가능할까 싶다. 그런데 그는 이 시리즈를 123회나 이어갔다. 그래서 제목도 “모든 사람에게는 스토리가 있다”다.
예를 들어 위 스토리는 오레곤의 한 카우보이를 찍어서 찾아갔는데 그는 엄청나게 말수가 적은 사람이었다. 그런데 해병대원으로 걸프전쟁에 참전했던 그의 이력에서 스티브는 흥미로운 부분을 찾아냈다.
스티브 하트먼의 따뜻한 스토리는 세상은 아직도 아름다운 곳이라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그의 리포트를 보다보면 미국인들이 개인주의적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게 된다. 그리고 어찌보면 우리보다도 더 정이 많은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정’은 꼭 한국인의 전유물이 아닌 것 같다.
마지막으로 On the Road 시리즈 몇 개를 소개한다. 영어공부삼아 시간날때 한두개 보면 좋다.
몸이 불편한 친구를 위해 그가 주인공이 되는 특별한 미식축구게임을 준비한 중학생들 이야기.
은퇴할 계획이 없는 미국에서 가장 나이많은 선생님 이야기. 100세! 선생으로서 일을 시작한 나이는 81세.
장애가 있는 고교 농구 팀매니저학생에게 잊지 못할 골 기회를 선사한 코치
루게릭병에 걸린 중년아저씨의 도넛배달트럭 훔치기. 그는 왜 도넛을 훔치고 싶었을까.
엄격한 고교 수학선생님의 전혀 다른 이면생활.
할머니의 보살핌을 받는 교도소 수감자들.
30여년전 자신이 청소부로 일하던 학교의 교장이 된 사람. (청소부였던 그를 격려해 공부하게 한 전임교장이 대단)
입양부모에게 계속 거절당해 돌아오는 꼬마를 두고 난처해하던 입양기관 직원.
홈리스들에게 무료로 머리를 깎아주는 82세 할아버지.
암환자들에게 커피선행을 하는 사람.
암으로 세상을 떠난 친구가 도와준 샷.
단 한번의 시민민원도 받지 않은 경찰관.
거위가 사랑하는 사람.
어려운 사람을 돕는 부동산업자.
평생 기억에 남을 팁을 받은 웨이트레스
미업계의 ‘저널리즘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보며
일요일 오후 힘들여 블로그기사를 하나 읽었다. 제목은 Google CEO Eric Schmidt On Newspapers & Journalism. 서치엔진전문의 유명블로거인 서치엔진랜드의 Danny Sullivan이 지난주에 가진 에릭슈미트와의 인터뷰를 정리한 것이다. 에릭슈미트가, 아니 구글이 지금 신문업계의 위기와 앞으로 저널리즘의 방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수 있는 심도깊은 인터뷰다. 구글이 신문을 죽인 언론계의 공적, 뱀파이어로 일부언론인들의 공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의 생각은 아주 중요하다.
읽으면서 감탄했다. 평생을 IT, 인터넷업계에 몸바친 그가 어떻게 이렇게 정리된 언론관을 가지고 있는지 신기할 정도다. (고백한다. 나는 원래 에릭슈미트팬이다) 그는 죽어가는 신문을 위한 정부보조금 등은 일시적인 방편일 뿐이며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어떻게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지를 알려줘야 한다고 말한다. Investigative Journalism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한다. 특히 미국의 로컬저널리즘의 역할을 이야기하며 기존의 신문들이 없어지면 누가 City Hall에 나가서 부패를 감시할 것인가를 우려한다. 그러면서도 Politico나 Techcrunch같은 새로운 언론브랜드의 대두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대니설리번의 이야기처럼 미신문협회가 그를 “신문업계의 대변인”으로 삼아야 할 것 같기도 하다.^^
이런 글들을 보면 참 미국은 신문의 미래-저널리즘의 미래에 대해 깊이있는 토론이 오간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좋은 글들이 정말 많아 읽기에 바쁘다.
지난 9월말에는 NYU교수로 ‘Here Comes Everybody’라는 명저로 유명한 Clay Shirky가 하버드케네디스쿨에서 강연을 가졌다. 하버드의 Nieman Journalism Lab은 Clay Shirky:Let a thousand flowers bloom to replace newspapers; don’t build a paywall around a public good라는 장문의 포스팅을 올렸다. 고맙게도 클레이교수의 강연을 Transcript로 전문 제공하고 현장을 녹음한 MP3까지 다운받을 수 있도록 했다! (너무 길어서 나중에 들어야지 하고 일단 포기) 클레이의 이야기는 이제 세상이 바뀌어서 탐사보도를 근원으로 하는 Accountability Journalism은 끝장났다는 이야기인듯 싶은데(아직 완독을 못했음) 여기에 대해서도 수많은 블로그와 댓글로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하버드는 고맙게도 며칠전에 클레이교수의 강연을 Youtube에까지 올려주었다. 클레이의 발음과 억양은 좀 알아듣기가 힘들어서 역시 오디오보다는 영상을 통해서 보는 것이 낫다. 나중에 천천히 시간날때 볼 생각이다.
미국신문산업의 위기는 정말로 심각한 상황이다. 금융위기가 없었더라도 비즈니스모델의 붕괴로 힘들었을 상황인데 …. 지난 2003년에 한 미국명문대 저널리즘스쿨에서 미국 언론인들과 1년 연수를 했던 선배가 있다. 그 선배이야기가 “지금 다시 미국에 와서 보니까 당시 같이 공부하던 친구들의 절반이 실업자가 됐다”라고 한다.
아래 비디오는 현장의 절박함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올 2월에 문을 닫은 록키마운틴뉴스의 Final Edition 비디오다. 불과 두달이면 150년 역사를 채우는 신문사가 149년 311일째에 마지막 신문을 찍는 가슴아픔이 절절히 전해져오는 동영상이다. (회사가 문닫는 상황에서 어찌 이렇게 멋진 기록을 남겼는지 감탄스러울 뿐이다)
영어의 압박이 있지만… 참 생각해볼 내용을 많이 제공하는 비디오다.
또하나 미국신문업계의 위기를 드라마틱하게 표현한 그래픽을 만났다.
Mint.com이 만든 The Death of the Newspaper라는 Infographic이다.
Budget help from Mint.com
저널리즘의 미래를 놓고 치열하게 생산되는 이런 다양한 콘텐츠를 매일 보면서 한국의 언론계는 과연 어떤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좀더 많은 생산적인 토론이 이뤄져야 되지 않을까? 온라인저널리즘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이뤄져야 하지 않을까? 최소한 미국의 미디어업계를 보면서 강건너 불처럼 생각하지 말고 미래를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
트위터로 가끔씩 단편적으로 던지던 얘기를 조금 길게 끄적거려봤다. 저널리즘의 변화에 대해 한국발로도 더많은 현장의 목소리와 고민을 들을 수 있기를….
사족: 에릭슈미트는 지금도 2개의 종이신문을 구독하며 매일 읽는다고 한다. 그런데 그 신문이 무엇인가는 인터뷰의 유일한 ‘Off the record’로 해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한다. ㅎㅎ 난 뭔지 알 것 같다. NYT와 WSJ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