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인터뷰

데이빗 루빈스타인쇼 : 손정의편

leave a comment »

흥미롭게 본 동영상 소개. 데이빗 루빈스타인쇼 : 손정의편.

유튜브에 떠서 우연히 본 인터뷰 동영상. 데이빗 루빈스타인이라는 인물이 소프트뱅크 손정의회장을 인터뷰한다. 그런데 루빈스타인은 저널리스트가 아니다. 세계굴지의 사모펀드인 칼라일그룹의 창업자이자 CEO로 그도 역시 3조원 넘는 자산을 가진 억만장자다. 그런 대단한 인물이 지난해부터 블룸버그에서 자신의 인터뷰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이다. 한국나이로 70세쯤 되는 거부가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또 인터뷰어로서 통찰력있는 대답을 이끌어내는 질문으로 대담을 매끄럽게 이끌어 나가는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 지난해 빌 게이츠의 인터뷰부터 워렌 버핏, 에릭 슈미트, 필 나이트 등 대단한 인물 22명의 인터뷰가 온라인에 모두 공개되어 있는데 틈틈이 봐야겠다.

어쨌든 위 손정의 인터뷰를 보면 손회장 특유의 영어화법을 느낄 수 있다. 원어민처럼 아주 유창하게 말하지는 않지만 아주 쉬운 어휘를 사용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군더더기 없이 정확하게 전달한다. 일본식 영어액센트가 조금 있지만 천천히 말하고 비교적 정확한 발음으로 말해 영어원어민이 알아 듣는데 문제가 없다. 부드러운 미소와 유머, 제스쳐로 효과적으로 자신의 스토리를 전달한다. 즉, 정말 매력적인 화술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어떻게 해서 100조원 펀드를 조성하게 됐는지 -어떻게 사우디왕자를 45분만에 설득해서 45B달러를 투자받았는지 -그가 어떻게 한국계라는 차별을 딛고 일본에서 성장했는지 -어떻게 16세의 소년이 끈질기게 60번 넘는 장거리 전화를 걸고 도쿄의 사무실까지 쳐들어가서 맥도널드재팬 회장을 만났는지 -어떻게 버클리 재학시절 하루에 5분씩 투자해서 전자사전을 개발해 처음으로 거액을 벌게 되었는지 – 마윈의 무엇을 보고 알리바바에 투자했는지 -왜 ARM을 인수했는지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의 인생에 돌아보는 마지막 질문에 “This is definitely exciting life. I’m having fun!”이라고 웃으며 답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주말에 시간 여유가 있는 분들은 가볍게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다. 24분.

Written by estima7

2017년 10월 14일 at 8:36 pm

나라경제에 스타트업창업가 인터뷰 연재를 시작하며

leave a comment »

%e1%84%89%e1%85%b3%e1%84%8b%e1%85%a5%e1%86%af%e1%84%85%e1%85%a9%e1%84%80%e1%85%a9

내가 스타트업지원기관인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를 맡아서 운영하기 시작한지 3년이 넘었다. 우리가 하는 일은 스타트업생태계를 활발하게 만들고 한국의 스타트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스타트업을 알리는 각종 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한다. 또 많은 스타트업창업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국내외투자자, 언론, 정부관계자들을 연결해준다. 스타트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알리는 것도 중요한 사명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내가 애지중지하는 명함관리앱 리멤버(역시 스타트업 드라마앤컴퍼니가 만들었다)에는 약 6천장에 가까운 명함이 저장되어 있다. 지난 3년간 내가 만난 사람들의 숫자다.

screen-shot-2017-01-09-at-12-00-00-pm

지난 3년간 좋은 스타트업이 정말 많아졌다. 위 그림은 10억이상 투자를 받은 한국의 주요스타트업 인포그래픽이다.

3년씩이나 했으면 일이 지루해질 법도 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여전히 흥미롭고 지루할 틈이 없다. 워낙 흥미로운 사람들을 계속 만나기 때문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로 세상을 바꿔보겠다는 열정으로 넘치는 창업자들을 계속 만난다. 안정적인 직장을 박차고 나와 뭔가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사람들이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반짝반짝하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공부하는 사람들이다. 나는 그들의 아이디어를 듣고 조언해주고 필요한 사람들을 연결해준다. 열정적인 그들을 통해 끊임 없이 나도 자극을 받고 공부하게 된다. 내가 모르면 도와줄 수가 없으니까 그렇기도 하다. 그들의 열정이 나에게도 전염된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성공을 이미 이뤘든 그렇지 않든 상관없다. 이제 막 작은 회사를 막 시작한 사람이든, 큰 투자를 받아서 급성장을 하고 있는 사람이든 뭔가 자신만의 일을 위해서 도전하는 사람들에게는 뭔가 배울 것이 있다. 그래서 인상적인 창업자를 만나면 기억해 두고자 사진을 찍고 가볍게 메모를 해둔다. 그 다음에 그 사람을 만났을때 얼마만큼의 발전이나 변화가 있었는지 보고자 함이다. “저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는데 일년만에 놀라운 성취를 이룬 사람이 있는가 하면 기대와는 달리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치열한 고민끝에 처음 창업아이디어와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나가서 성공한 경우도 많다. 아무리 큰 기업을 경영하더라도 부모의 부를 물려받아 지키기에만 몰두하는 금수저 기업인들보다는 이렇게 자신의 삶을 치열하게 개척해 나가는 창업자들에게 휠씬 배울 것이 많다.

screen-shot-2017-01-08-at-8-28-52-pm

그런 생각을 하던 차에 지난 2년간 가벼운 칼럼을 써오던 나라경제에 이번 2017년 1월호부터 스타트업 창업가 인터뷰를 매달 연재하기로 했다. 나라경제는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발행하는 경제정책정보지다. KDI가 전국 15개 정부부처와 함께 만들며 공무원들이 주요 독자다. 내 글이 공무원분들이 정부정책을 잘 세우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글을 써왔다.

이제는 이 지면을 통해서 내가 만난 한국의 멋진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첫번째로 소개한 창업자는 메쉬코리아의 유정범대표다. 오토바이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기반 물류배송플랫폼을 만들어 물류혁명을 추구하는 고성장 스타트업의 창업자다.

글이란 것은 어떤 계기가 있어야 쓰게 된다. 좋은 글감이 있어도 보통 게을러서 안쓰게 된다. 그런데 연재요청을 통해 스타트업 혁신가들의 이야기를 적을 수 있도록 좋은 기회를 주신 나라경제편집팀에 감사를 드린다.

screen-shot-2017-01-08-at-8-30-42-pm

Written by estima7

2017년 1월 9일 at 1:47 pm

처음으로 가진 언론인터뷰기사

leave a comment »

지난해말 오마이뉴스의 김시연기자와 스카이프를 통해 인터뷰를 가진 뒤 나온 기사.

“삼성은 국산, 애플은 외국산? 무의미하다”

가벼운 마음으로 인터뷰에 응해서 한시간가까이 화상통화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었는데 이렇게 멋지게 인터뷰기사로 풀어주었다.

돌이켜보니 (일본언론을 제외하고) 한국언론에서는 첫번째로 나온 내 인터뷰기사다. 약 12년전 한국의 신문기사에 처음으로 이메일주소를 넣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몇몇 일본신문과 인터뷰를 한 일이 있다. 당시 아사히, 마이니치, 산케이신문에 내 인터뷰기사가 크게 나왔었다. (물론 한국에서는 아무도 관심이 없었지만^^)

십수년전 몇년간의 기자생활을 하면서 다른 사람을 인터뷰하고 기사로 쓴 것은 수백번에 달했지만 정작 내가 인터뷰대상이 되서 그 인터뷰내용이 한국에서 기사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잘 것 없는 사람에게 인터뷰를 요청해준 김시연기자에게 감사.

그래서 기념삼아 블로그에 한줄 써봤다.^^ 올해의 첫번째 블로그포스팅.

Written by estima7

2011년 1월 2일 at 2:50 pm

짧은 생각 길게 쓰기에 게시됨

Tagged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