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온라인저널리즘

기본조차 지키지 않는 한국의 온라인신문들

with 12 comments

한국의 온라인신문을 보다가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바로 이 기사를 보고.

(조선닷컴캡처)

(조선닷컴캡처)

박근혜당선인이 계사년 새해 인사를 유튜브로 공개했다는 내용의 기사다. 그런데 기사 어디에도 유튜브동영상이 삽입되어 있거나 그 링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덩그러니 유튜브캡처화면만 있다. 역시 연합뉴스기사를 포함해서 다른 기사 몇개를 검색해봤지만 다 마찬가지였다.

유튜브동영상을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가? 이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경우 그냥 유튜브링크만 넣으면 아래처럼 그냥 동영상이 삽입된다. 그다지 어려운 일도 아닌데 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당연히 해야하는 것을 하지 않는 온라인신문들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리고 또 아래와 같은 기사를 마주쳤을때도 아쉽다.

인터넷중앙일보캡처

인터넷중앙일보캡처

인터넷에서 어떻게 6~7면을 참조할까. 이건 기사를 올릴때 조금만 신경써서 관련기사를 찾아서 하이퍼링크로 묶어주면 된다. 아마 신문하나를 인터넷에 올릴 때 기사가 1~2백꼭지내외가 될텐데 이런 식으로 종이지면을 참조하라고 적혀있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편집자 한명이 종이신문을 비교하면서 한두시간만 작업해도 링크 몇개 연결해주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제대로 된 온라인신문이라면 이 정도 작업은 해줘야하지 않을까. 이것은 비단 위 중앙일보뿐만이 아니고 다른 신문들도 대부분 마찬가지다.

이런 경우와 비교해 외국에 비슷한 사례가 있을까 싶어 오늘자 뉴욕타임즈를 열어봤다. 바로 참고로 할만한 사례가 보인다.

NYT.com 캡처

NYT.com 캡처

미국 우체국이 적자를 견디다 못해 토요일배달을 중단하기로 했다는 기사에 대한 2월9일 토요일자 칼럼이다. 본문내용에서도 2월7일의 뉴스기사를 정확히 링크하고 있고, 관련뉴스로 그 기사를 또 링크하고 관련 사설까지 링크하는 친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인터넷의 장점을 살린 정석아닌가?

또 어젯밤 미국 북동부를 강타한 눈폭풍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뉴욕타임즈 페이지를 보자.

NYT.com 캡처

NYT.com 캡처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적절하게 유튜브동영상 삽입은 물론 독자들의 인스타그램사진까지 집어넣은 생생한 편집을 보여주고 있다.

Screen Shot 2013-02-09 at 5.21.29 PM

NYT.com 캡처

NYT.com 캡처

물론 트윗을 그대로 삽입하는 것도 기본이다. 뉴욕의 교통당국에서 공항의 상황을 알리는 트윗자체가 정보로서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장점이 무엇인가? 팀 버너스 리가 89년 처음 월드와이드웹(WWW)을 고안해냈을 때 그 최고의 가치는 하이퍼링크(Hyperlink)였다. 관련 정보, 더 깊이있는 정보를 링크로 연결해 바로 점프해서 갈 수 있는 것이 인터넷의 진짜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온라인신문을 처음 시작한지 15년도 넘은 한국의 온라인신문들은 이런 링크조차 제대로 해주는 곳이 별로 없다. 사진은 말할 것도 없고 유튜브동영상, 트윗 등 뭐든지 마음대로 집어넣어서 종이지면보다 휠씬 설득력있는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의 장점인데 기본중의 기본인 링크조차 제대로 해주는 곳이 별로 없다.

온라인 스토리텔링, Narrative journalism 등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 뉴욕타임즈를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 아래 Snow Fall 같은 기사를 보면 그들이 얼마나 온라인저널리즘을 고민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는지를 알 수 있다. 입체적인 스토리텔링이 어떤 것인가 보려면 이 기사를 한번 참고해보시길 권한다. 슬라이드쇼, 비디오인터뷰, 지도 등이 기사에 자연스럽게 잘 녹아들어가 있다.

nyt.com캡처

nyt.com캡처

한국의 신문업계가 제대로 된 훌륭한 온라인신문을 만드는 것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을 하거나 투자하지 않고 너무 네이버뉴스캐스트나 낮은 광고수입 등 외부환경에만 불평을 해댄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우선 어떻게 온라인의 장점을 살려 조금이라도 독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해줄 수 있을까 고민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아닐까? 한국의 온라인신문은 지난 10여년간 제자리걸음을 하다못해 선정적인 제목, 내용, 광고로 점철되어 더 악화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NYT의 구독료수입이 사상 처음으로 광고수입을 추월했다는 뉴스가 있었다.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차별화된 온라인뉴스경험을 디지털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이들은 지난 15여년간 쉬지 않고 연구하고 개선해왔다. 그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하루 아침에 되는 일은 없다.

Written by estima7

2013년 2월 9일 at 1:46 pm

뉴욕타임즈의 온라인저널리즘-샌더스키코치 인터뷰기사의 예

with 3 comments

오늘 아침 뉴욕타임즈 1면. 성희롱스캔들로 지난 몇주동안 미국을 뒤흔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펜스테이트대학 전 미식축구코치 샌더스키의 인터뷰기사를 특종으로 실었다. (참고기사: 탐욕이 키운 미국판 도가니(시사인)) 오늘 하루종일 미국미디어들은 이 기사를 받아서 보도하기에 바빴다.

그런데 나는 아침에 뉴욕타임즈 종이신문에 실린 이 기사와 온라인판기사와 그 편집을 보면서 뉴욕타임즈가 얼마나 온라인에 적합한 리포팅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지 다시 실감했다. 간단히 소개해 본다.

뉴욕타임즈온라인판 1면 캡처(아이패드 사파리)

우선 온라인프론트페이지톱에 사진이 아닌 동영상리포트를 달았다. 기사안으로 들어갈 필요가 없이 그냥 톱동영상을 터치하면 비디오가 재생된다. 9분짜리 인터뷰와 관련 사진을 잘 편집한 비디오리포트다.

뉴욕타임즈캡처(아이패드사파리)

인상적인 부분은 정식인터뷰 기사외에 주요 인터뷰의 오디오발췌를 따로 마련해 놓았다는 것이다. 이틀동안 인터뷰를 했다는데 모든 내용을 비디오로 찍을 수 없었고 오디오녹취를 했던 모양이다. 그런데 중요한 부분을 1분~5분정도의 오디오파일로 일일이 편집해서 위처럼 제공하고 있다.

뉴욕타임즈캡처(아이패드 사파리)

위처럼 샌더스키스캔들에 대한 23페이지짜리 배심원리포트원본을 그대로 제공하고 있는 것도 인상 깊다. 즉, 필요하면 독자가 직접 읽어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사회에 큰 논란을 일으킨 이번 스캔들의 당사자를 단독인터뷰해서 보도하는데 있어 뉴욕타임즈는 온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 샌더스키코치의 육성을 최대한 그대로 담아내기 위해 노력한 듯 싶다. 주요 내용을 편집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도 쉽지 않았을텐데 인터뷰내용의 핵심을 담은 오디오파일까지 일일히 편집해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사건을 다룬 법원의 공식문서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같은 보도태도는 관련된 내용을 최대한 독자에게 있는 그대로 제공하고, 원하면 독자가 직접 사실관계를 판단하라는 것이 아닌가 싶다. 뉴욕타임즈의 온라인에 대한 정성과 함께 자신감도 함께 읽을 수 있다고나 할까.

참고: 나의 NYT의 온라인저널리즘 관련한 포스팅리스트.

당신의 시각을 미국대법원과 비교해보기(NYT)
https://estima.wordpress.com/2010/07/25/nytinter/

많이 본 기사 유감
https://estima.wordpress.com/2011/04/24/mostviewed/

NYT를 읽으면서 느끼는 한국인터넷신문에 아쉬운 점 하나
https://estima.wordpress.com/2011/05/28/nytpublished/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미국언론인: 니콜라스 크리스토프(NYT)
http://wp.me/pihxG-iQ

온라인기사는 이 정도는 되야-NYT 김연아관련기사의 예
http://wp.me/pihxG-hq

 

 

Written by estima7

2011년 12월 3일 at 10:26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