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애뉴얼미팅

2019 알토스 애뉴얼 미팅 후기

with 5 comments

오늘 2019년 3월20일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2019년 알토스 애뉴얼 미팅에 다녀왔다.

알토스 애뉴얼미팅은 한국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실리콘밸리의 VC인 알토스벤처스가 주로 해외LP를 초청해서 한국스타트업생태계의 현황과 투자실적을 설명해주는 자리다. VC들은 보통 이런 행사를 일년에 한번씩 정례적으로 갖는다. 자신들의 펀드에 돈을 맡겨준 LP들에게 설명하는 것이다.

2시부터 4시까지는 LP들만을 대상으로 투자전략과 투자실적 등을 설명한다. 그리고 4시부터 6시까지는 LP들에게 소개해주고 싶은 성장 포트폴리오 스타트업의 대표들이 와서 발표한다. 그리고 모두 칵테일 네트워킹을 하다가 7시반쯤부터 저녁식사를 갖는다.

멋진 기념품

나는 알토스코리아펀드에 돈을 출자한 LP가 아닌데도 2013년 김대표님이 홀인원을 할 때 같이 했다는 인연으로 매년 초청을 받고 있다. 오늘 본 내용을 공개할 수 있는 부분만 간단히 사진으로 공유해 둔다.

우선 LP들 전원이 간단히 자기 소개를 한다. 국내 LP들도 있지만 미국과 중국, 홍콩 등에서 온 아시아LP들도 많다. 전문 투자회사, 패밀리오피스 등이 많다. 알토스를 통해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관심을 갖고 보게 된 분들이다. 행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영어로 진행된다.

알토스파트너들이 슬라이드가 넘어갈 때마다 마이크를 넘기며 돌아가면서 설명을 한다.

알토스팀이다. 지난해 2천억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을 정도로 이제는 큰 VC가 됐는데 아직도 작은 팀이다. Han, Anthony, Ho는 10년이상 사진을 안바꾸고 있어서 실제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ㅎㅎ

한국의 스타트업생태계는 펀드결성도 최고기록, VC투자액도 지난해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는 설명을 했다.

한국의 VC펀드들도 이제는 사이즈가 상당히 커졌다는 얘기다.

엑싯 환경도 좋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물론 아직도 한국에서의 엑싯은 세컨더리 마켓이 크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알토스벤처스는 지난해 정말 대단한 성과를 거뒀다. 한국의 5개 유니콘회사중 4곳이 알토스 투자회사라는 것이다. 쿠팡, 크래프톤(블루홀), 우아한 형제들(배민), 토스(비바리퍼블리카)다. 그리고 미국에서 알토스가 투자한 게임회사 로블록스(Roblox)가 유니콘이고 지난해 큰 수익을 가져다 줬다.

한국은 정부가 스타트업을 강하게 밀고 있고 대기업들도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투자와 육성이 많아지고 있다는 설명도 했다. 특히 올초 문재인대통령이 주요 스타트업대표들을 만났는데 그중 알토스회사가 많다는 얘기도 했다.

그래서 한국의 창업자들이 가장 투자받고 싶어하는 VC로 그 유명한 소프트뱅크를 꺾고 1위를 했다는 언급도 있었다.

여기까지가 1부였다. 2부는 LP이외에 알토스투자사 창업자들과 다른 투자사까지 더 많은 분들이 오셔서 알토스 포트폴리오중 LP들에게 소개해주고 싶은 유망 스타트업의 발표를 들었다.

첫번째 발표는 타다(쏘카)의 박재욱 대표였다. 거의 초기단계부터 투자하는 알토스가 예외적으로 후기 투자를 한 경우라고 한다. 급성장하는 타다의 가능성을 본 것이다.

박대표는 한국의 모빌리티시장이 세계에서 손꼽을 수 있을 정도로 큰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했다. 타다는 지난해 10월에 3백대 정도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지금 벌써 7백여대로 서비스중이며 계속 빠르게 성장중이라고 했다. 야심이 대단하다.

두번째 발표는 마이리얼트립의 이동건대표다. 개인여행가이드제공에서 종합 개인여행플랫폼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세번째는 아이디어스의 김동환대표다. 온라인 핸드메이드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한다. 5천 500여명의 작가들이 입점해 액세서리, 가죽공예, 도자기, 천연비누, 수제먹거리 등 약 9만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그 다음은 Growth Session이다. 홍콩의 캐피털월드인베스터스의 Sugi Widjaja가 사회자로 배민의 김봉진대표, 토스의 이승건대표, 크래프톤의 배동근CFO에게 여러가지 질문을 했다. 이승건 대표의 영어실력에 감탄. 토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협의 예금 서비스로 2개월간 20만계좌가 만들어졌다는 얘기를 했다. 나도 그래서 그 자리에서 토스로 수협적금통장을 만들어 봤는데 2분만에 개설했다.

이후 약 1시간동안 저녁식사가 시작되기 전 홀에서 창업자들, 투자자들과 자유로운 대화의 시간이 이어진다.

그리고 저녁식사. 매년 안소니가 자신의 한국어 실력이 얼마나 늘었는지 선보이는 순서가 있었는데 이제는 안하는 것 같다.

많은 훌륭한 창업자들과 만날 수 있어서 즐거운 시간이기도 했다. 프리미엄 면도날 온라인 구매 서비스 와이즐리의 김동욱 대표.

토스 이승건 대표에게 거의 5년전에 봤을 때는 영어를 그렇게 잘하지 못했던 것 같은데 어떻게 그렇게 일취월장 늘었냐고 했다. 이대표는 유학경험이나 해외장기체류경험이 없다. 그랬더니 “해외투자를 받기 위해서 필요하니까 열심히 노력했더니 잘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스타트업의 매력을 설명하고 교류의 기회도 만드는 이런 VC들의 애뉴얼미팅 행사가 좀 더 많아지면 좋을 것 같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3월 20일 at 11:50 pm

알토스 애뉴얼미팅 2018 후기

with 2 comments

원래는 지난해 11월에 했어야 하는 행사를 평창올림픽에 맞춰서 조금 연기했다. 올해는 을지로 위워크에서 개최.

알토스 애뉴얼미팅은 한국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실리콘밸리의 VC인 알토스벤처스가 주로 해외LP를 초청해서 한국스타트업생태계의 현황과 투자실적을 설명해주는 자리다. VC들은 보통 이런 행사를 일년에 한번씩 정례적으로 갖는다. 자신들의 펀드에 돈을 맡겨준 LP들에게 설명하는 것이다.

2시부터 4시까지는 LP들만을 대상으로 투자전략과 투자실적 등을 설명. 그리고 4시부터 6시까지는 대표 포트폴리오 스타트업의 대표들이 와서 발표. 그리고 6시부터 저녁식사를 통한 네트워킹.

내가 알토스코리아펀드에 돈을 출자한 LP가 아닌데도 홀인원버디라는 이유로 김한준대표님이 매년 초청해주고 있다. 2015년 애뉴얼미팅에 이어 올해 참석한 소감을 간단히 메모해 둔다. (대부분의 내용은 대외비라 공개해도 될만한 부분만 소개한다.)

Screen Shot 2018-02-10 at 10.29.04 PM

알토스는 한국벤처업계가 이제 성숙해가면서 창업붐도 일어나고 벤처펀드와 엑싯도 크게 늘고 있다고 설명. 한국시장과 글로벌시장을 동시에 공략하는 큰 회사가 나올 수 있는 기회가 커지고 있다고.

이제 12년째 한국에 투자해온 알토스는 이제 우수한 스타트업을 잘 찾아내는 VC로서의 평판을 갖게 됐고 일단 투자회사중 좋은 실적을 내는 회사가 있으면 집중해서 더 투자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Screen Shot 2018-02-10 at 10.34.03 PM

지난해 4.4조원의 벤처펀드가 조성됐으며 시중의 벤처자금도 5.6조원이 있다.

Screen Shot 2018-02-10 at 10.34.40 PM

엑싯시장도 많이 활발해졌는데 특히 최근에는 IPO가 많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Screen Shot 2018-02-10 at 10.38.08 PM

이게 핵심인데 알토스의 전략이다.

  1. 독보적인 투자기회를 찾아낸다 – 독특한 경력과 인사이트를 지닌 뛰어난 창업자가 이끄는 리딩스타트업을 찾아내서 파트너십을 맺는다. 보통은 자본을 적절히 활용해 스케일해서 급성장이 가능한 기업이다.
  2. 의미있는 지분(ownership)을 취득한다 – 보통 시리즈 A나 B단계의 첫VC투자를 받는 기회를 찾아내서 첫투자에서는 15~20% 그리고 엑싯때는 10~15%의 지분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승자에 집중한다 – 포트폴리오회사중에서 특히 좋은 실적을 보이는 팀에 선택적으로 집중투자(“Double-down”)한다. 주요 포트폴리오회사와의 밀접한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독점적인 투자기회를 찾아낸다.

Screen Shot 2018-02-10 at 10.45.18 PM

알토스는 한국에서의 활발한 투자활동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성장 스타트업들에 가장 많이 투자했다는 것을 부각.

Screen Shot 2018-02-10 at 10.47.22 PM

특히 12년간의 한국 투자를 통해 한국의 거의 모든 좋은 스타트업을 만나 검토하고 좋은 밸류에이션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고 강조.

그리고 알토스의 강점은

  1. Sourcing – 한국의 톱VC라는 평판과 좋은 포트폴리오기업의 네트워크를 이용, 유망 스타트업을 처음 만나서 초기 좋은 밸류에이션에 투자를 할 수 있는 능력.
  2. Adding Value – 리크루팅과 재무적 지원에 초점. 한국과 미국에 걸친 네트워크를 이용해 투자스타트업을 지원.
  3. Structual Advantage – 10년의 펀드수명의 LP베이스. 96년부터 서로 신뢰하면서 함께 일해온 단단한 파트너팀.

Screen Shot 2018-02-10 at 10.54.01 PM

특히 Ho Nam의 설명이 기억에 남음. 그는 알토스가 한국에 투자를 설득하기 전에는 많은 외국투자자들이 한국스타트업에 대해서 잘 몰랐고 투자할 생각도 없었다고 이야기. 실리콘밸리에서 알토스벤처스가 활동하면서 관계를 맺어온 많은 해외투자자들에게 지난 12년간 꾸준히 한국스타트업에 대해서 알리고 설득해온 것이 이제 결실을 맺고 있는 것. 실제 알토스 덕분에 쿠팡, 우아한 형제들, 토스 등에 해외투자자들이 수백, 수천억씩 추가 투자를 하게 된 것.

Screen Shot 2018-02-10 at 11.02.05 PM

알토스의 핵심 투자 테마. 모바일 라이프스타일, 버티컬플랫폼, 글로벌.

Screen Shot 2018-02-10 at 11.02.22 PM

그리고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는 분야들. 스마트 디바이스/제조, 차세대 엔터테인먼트, 클라우드 솔루션, 공유경제, AI/데이터분석, 블록체인/크립토. 여기서 블록체인쪽만 아직 투자가 없는 듯.

이 다음부터는 자랑할만한 성과를 보인 주요 포트폴리오기업 실적 소개. 블루홀은 약 40배의 투자수익, 우아한 형제들(배민), 하이퍼커넥트,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직방, 지그재그, 봉봉, 스푼 등을 소개. 차기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주들로는 후이서울, 크몽, 마이리얼트립, 미트박스, 링크숍, 집닥, 비프로, 코먼타운까지 소개.

상당히 좋은 실적을 보이는 스타트업들을 소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에 나온 성장률그래프가 조금이라도 둔화되어 보이는 부분이 있으면 놓치지 않고 그 이유에 대해서 파고드는 해외LP들의 날카로운 질문도 인상적이었다.

여기까지가 LP미팅. 이후 알토스가 투자한 포트폴리오의 창업자들도 행사장에 들어와서 스타트업 4팀의 발표가 4시부터 시작. (모든 행사는 영어로 진행)

Screen Shot 2018-02-10 at 11.11.50 PM

사용자가 오디오콘텐츠를 만들어서 공유할 수 있는 소셜라디오플랫폼 스푼의 최혁재 대표 발표. 동남아시아 진출!

Screen Shot 2018-02-10 at 11.12.34 PM

Screen Shot 2018-02-10 at 11.12.46 PM

우아한 형제들의 김봉진 대표. 눈부시게 성장하는 배민의 독특한 문화와 실적에 대해서 소개. 그리고 처음으로 배민 배달 로봇의 디자인을 공개.

Screen Shot 2018-02-10 at 11.13.19 PMScreen Shot 2018-02-10 at 11.13.49 PM

얼마전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지그재그의 서정훈대표의 발표. 젊은 여성들에게 ‘패션 네이버’라고 할 수 있는 앱. 최근 처음으로 광고를 집어넣었다는데 처음부터 상당한 수준의 매출이 나왔다고 해서 놀랐음.

Screen Shot 2018-02-10 at 11.14.13 PM

마지막 발표는 토스의 이승건대표. 토스가 송금앱으로 출발했지만 이제는 종합금융앱으로 이렇게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 플랫폼에서 전체 거래숫자, 금액 등이 이제는 대단한 수준인데도 아직도 성장률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 대단.

이렇게 해서 전체 미팅이 끝나고 저녁장소로 이동.

마지막으로 KVIC 실리콘밸리 용윤중센터장님이 한국과 미국 VC의 애뉴얼미팅의 차이점에 대해서 좋은 코멘트를 해주셔서 여기에 소개.

제가 느낀, 한국과 미국에서의 Annual meeting (한국에서는 조합원총회) 차이점,

[한국] 대부분 LP 들이 감사를 세게 받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펀드전체 실적보다는 투자기업 하나라도 문제가 있는지, 관리보수 등 숫자는 정확한지, 각종 절차는 제대로 준수했는지, 부실기업에 대한 사후관리는 적정한지 등을 면밀히 확인합니다. 나중에 감사 또는 언론에서 지적 받을 수 있으니까요. 분위기 그다지… 당연히 식사는 안 됩니다.

[미국] 주력 산업 또는 경제 전망도 하고, 주로 우량 포트폴리오 위주로 진행합니다. 투자기업 대표가 직접 발표도 합니다. 부실기업은 마지막에 write-off list 한 페이지에 기재하고 전체 성과로 얘기합니다. 식사를 겸한 기업-VC-LP 네트워킹.

어쨌든 이처럼 해외투자자들을 많이 초대해서 한국스타트업의 매력에 대해서 소개하고 교류하는 이런 형식의 VC애뉴얼미팅이 한국에서도 많이 생겨야겠다는 생각을 다시하게 된 기회. 알토스벤처스가 한국스타트업생태계에 기여한 바는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이 큽니다. 감사합니다.

Written by estima7

2018년 2월 10일 at 11:47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