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안면인식

중국인의 일상생활에 침투하고 있는 안면인증 시스템

with 2 comments

10월26일자 닛케이신문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안면인증방식이 중국의 결제시장에서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는 1면 톱기사가 나왔다.

Nikkei.com

위는 닛케이신문에 실린 사진이다. 미리 앱으로 얼굴을 등록해 두면 세븐일레븐 등에서 스마트폰을 꺼낼 필요도 없이 그냥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결제가 된다는 것이다.

광저우 지하철역에서 안면인증 개찰이 지난 9월부터 시작됐다. 개찰구의 타블렛을 보는 것만으로 이용료가 결제되고 빠르게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다고 한다. 0.3초쯤의 처리시간이라고 하니 사람이 많아도 큰 지장없이 승차가 가능할 듯 싶다. 베이징, 상하이에서도 시범도입이 시작되어 순식간에 전국에 보급될 분위기다.

편의점에서는 세븐일레븐이 도입을 시작해 약 1천개점포에서 안면인증결제가 가능하게 됐다고 한다. 자판기에도 보급이 확대중이다. 나도 저번에 상하이에서 이용해 보려다 (외국인이라) 실패한 일이 있다.

4대은행의 ATM에서도 카드없이 안면인식인증으로 위처럼 예금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국건설은행의 경우 약 절반정도의 ATM에서 안면인식인증이 가능하다고 한다.

사무실과 학교 등에서 출석, 출퇴근 등의 관리에 안면인식을 활용중이다.

안면인증결제 등록자가 1억명에 달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정부의 독려 때문이다. 심지어 12월부터는 스마트폰 구입, 계약시에 얼굴사진의 제공이 의무화된다. 여기까지는 닛케이 기사에 나온 내용을 요약했다.

그리고 궁금해서 안면인식인증 刷脸支付관련 동향에 대해서 중국 인터넷을 더 찾아봤다.

그리고 놀란 것은 중국의 수많은 아파트단지에 위처럼 안면인식인증방식의 출입관리시스템이 만들어져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주차장에 많이 보급된 차량번호 인식시스템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동영상을 보면 주민이 거의 걸음을 멈추지 않고 그냥 천천히 걸어가는데 안면인식시스템이 그의 얼굴을 확인하고 문은 자동으로 열린다. “너무 편리하다”는 주민들의 인터뷰가 나온다. 위는 항조우에 있는 아파트단지다.

또 다른 동영상을 보면 안면인증시스템을 붙인 공동주택이 나온다. 등록이 되지 않은 음식배달원들은 자신의 신분증을 태그해야 들어갈 수 있다. 얼굴을 시스템에 남기지 않고 출입하는 것은 불가능해져서 공동주택의 보안이 좋아졌다는 주민들의 인터뷰가 나온다.

경찰의 인터뷰가 나오는데 예전에는 아파트단지내에 절도가 있어도 파악하기 어려웠는데 이제는 단지내의 사람들의 활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는 말이 나온다.

이런 아파트동별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전체 사람수, 자동차숫자 등이 나오고…

각 호수별로 몇명이 사는지 연령분포는 어떻게 되는지 다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누가 언제 들어가고 나오는지 마치 주차장에서 자동차 번호판으로 파악하듯이 할 수 있으니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

놀라운 것은 이 안면인증 기술 관련해서 중국에서 나오는 TV보도의 상당수는 “편리해져서 좋다”는데 촛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만약에 내 정보를 해킹당해서 돈을 빼가면 어떻게 하냐는 우려는 있지만 국가가 나의 모든 것을 손바닥 보듯이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초감시사회’에 대한 우려는 언론에 나오지 않는다. 조지 오웰의 1984에 나오는 빅브라더사회에 중국이 한 발 한 발 다가가고 있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10월 27일 at 2:34 pm

안면인식 감시사회 중국

with 2 comments

지난 중국 윈난 여행에서 느낀 것 또 한가지 공유. 여행지에 정말 사람이 많다. 인산인해.

그런데 열차를 이용할 때마다 아주 엄격하게 본인 확인을 한다. 신분증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얼굴로 인증한다.

중국의 주민증 같은 신분증을 올려놓고 얼굴을 카메라로 인증하고 개찰구를 들어간다. 처리속도가 아주 빠르다. 외국인이나 얼굴인증이 안되는 사람들은 한쪽에서 사람이 일일이 여권, 신분증을 대조하고 입장시킨다.

열차표는 미리 Trip.com에서 구매했다. 매번 역 창구에서 일행 전원의 여권을 제출하고 표를 받아야 한다.

본인 확인용 얼굴인식 시스템을 어디에나 있다. 다리의 숭성사 삼탑 입장할 때도 그렇고,

옥룡설산에서 공연을 보러 입장할 때도 그렇고,

옥룡설산으로 올라가는 케이블카를 탈 때도 이렇게 확인했다.

워낙 여기저기 카메라도 많고 감시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서 그런지 리장의 고성은 실시간으로 고성안에 있는 유동인구수를 집계해서 보여주는 상황판이 있었는데 그다지 놀랍지 않았다.

호텔에 체크인할 때도 투숙객 전원의 여권을 받아서 기록으로 남겨두는 것 같았다. 호텔에 따라서는 얼굴인식 시스템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한 곳도 있었다. 즉, 중국인들은 정부 몰래 어딘가 여행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 같았다.

이처럼 중국은 엄청난 얼굴인식 데이터를 전국민으로부터 확보하고 매일처럼 역이나 호텔 등에서 첨단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해 국민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니 중국의 얼굴인식 인공지능 기술이 세계 최고이고 조단위 가치를 지닌 유니콘 인공지능 스타트업이 몇 개나 된다는 것도 충분히 납득이 간다. 중국을 여행하다보면 너무나 자본주의적인 모습이 많이 보인다. 하지만 이런 ‘초감시사회’ 중국의 모습을 접하면 확실한 공산주의 국가라는 생각이 든다. 중국인들은 이런 얼굴인식 기술에 벌써 무감각해진 것 같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8월 19일 at 9:46 pm

중국에 게시됨

Tagged with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