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생태계’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 2019 여수

2014년 스타트업얼라이언스를 시작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하고자 했던 행사가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입니다. 스타트업생태계를 살찌우는 투자자, 교수, 공무원, 미디어 등이 모여서 어떻게 하면 창업생태계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지 노하우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2015년부터 시작한 행사가 올해는 5번째가 됩니다.

올해는 여수에서 행사를 개최합니다. 예전에는 제주와 부산에서 했습니다. 처음으로 호남으로 갑니다. 첫날 프로그램은 위와 같습니다. 북한 생태계에 대해 들어보는 시간을 마련한 것이 이색적입니다. 첫날 행사를 마치고 가지는 뒷풀이가 중요합니다.

이틀째 프로그램은 위와 같습니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많은 분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고민해서 짠 내용입니다. 100조원짜리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를 운영하고 있는 문규학파트너님의 말씀이 기대됩니다.

연사분들 사진입니다.


스타트업생태계컨퍼런스는 철저하게 초대제로 운영됩니다. 저희가 초대한 분만 오실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에 대해서 열정, 진정성을 가진 분들만 모여서 이야기하고자 함입니다. 스타트업육성에 열정이 있어서 이 행사에 꼭 가보고 싶은데 초대장을 못 받으신 분은 저희에게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로봇생태계를 만든 스타트업 억만장자-윌로우 거라지 이야기
ㄴㅣᆫ
한국은 GDP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율이 세계 1위인 나라이다. 2015년 정부 R&D예산이 약 19조원수준이다. 이 많은 돈이 연구개발을 위해 학교와 기업에 투자된다. 하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투자효율성이 떨어지고 특히 이런 프로젝트가 사업화로는 잘 이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과연 국가사업으로 혁신생태계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일까. 민간의 노력으로는 미래산업을 키울 수 없는 것일까.
최근 이런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던 차에 윌로우 거라지(Willow Garage)라는 흥미로운 실리콘밸리 로봇회사의 이야기를 접했다. 지금은 문을 닫았지만 이 회사는 로봇 생태계를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에 실린 내용을 토대로 이 회사의 독특한 여정을 소개한다.

윌로우 거라지 창업자 스캇 하산 (사진 Suitable Technologies)
윌로우 거라지는 2006년 실리콘밸리에서 스캇 하산이 설립했다. 98년 스탠포드대 학생이던 그는 구글의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을 도와 초기 구글 검색엔진을 코딩해줬다. 그리고 이메일 메일링리스트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그룹스라는 회사를 세워서 2000년 야후에 4억3천2백만불에 매각했다. 그는 그렇게 번 돈을 초기 구글에 또 투자했다. 그리고 구글이 2004년 상장하고 주가가 폭등하면서 그는 또 엄청난 돈을 벌었다. 그렇게 해서 그는 조단위재산을 가진 억만장자가 됐다. 하지만 이 많은 돈으로 그는 뭘해야할지 몰랐다.
2006년 그는 실리콘밸리의 사무실빌딩을 샀다. 그리고 그 공간에 자신이 만들고 싶은 회사를 세웠다. 개인용 로봇을 연구하는 윌로우 거라지다. 그는 멀지 않는 장래에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인간의 심부름을 해주는 개인용로봇이 일반 가정에까지 보급될 것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그런 로봇을 마음껏 연구하는 회사를 만들고 싶었다. 그는 로봇과학자들을 채용해서 당장매출을 올리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마음껏 연구하게 했다.
“My job was to fill the building with interesting people doing interesting things around autonomous technology,” 나의 역할은 이 빌딩을 로봇자동화기술에 대한 흥미로운 일을 하는 흥미로운 사람들로 채우는 것”스캇 하산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한 말.
또 “일단 뭔가 의미가 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먼저다. 돈을 버는 것은 그 다음에 생각하자“가 그의 철학이었다.“impact first and return on capital second.” 그래서 그는 외부 투자를 받지 않고 약 60명정도의 이 회사의 운영비 2천만불을 매년 자신의 돈으로 댔다. 그리고 소프트웨어전문가인 스티브 커즌스를 CEO로 영입해왔다.
이 회사는 4년쯤 걸려서 2010년에 로봇을 위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인 ROS와 개인용 로봇인 PR2를 개발해 발표했다. PR2는 작은 사람정도의 키에 팔을 2개 가지고 있고 이동하면서 각종 일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었다. 로봇을 이용해서 각종 시도를 해볼 수 있는 일종의 개발플랫폼이었다. 가격은 40만불로 책정됐지만 윌로우 거라지는 이 로봇을 11곳의 연구기관에 무상으로 대여를 해줘서 마음껏 로봇을 연구하도록 했다.
한편 오픈소스로 공개한 ROS도 전세계의 로봇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윌로우 거라지는 이 소프트웨어를 퍼뜨리고 전세계의 로봇커뮤니티와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회사에 인턴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후 약 130여명의 학생과 연구학자가 윌로우 거라지를 거쳐갔다. 로봇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윌로우 거라지에서 인턴십을 한 것이 일종의 명예로운 경험이 됐고 ‘윌로우 마피아’가 형성됐다.
윌로우 거라지 직원들은 ‘재미’로 PR2에게 다양한 일을 시켰다. 냉장고를 열고 맥주를 꺼내와서 병마개를 따는 일 같은 것이다. PR2는 당구를 치거나 수건을 개는 일도 했다. 로봇이 인간처럼 일을 하게 하는 이런 과정을 거쳐서 많은 연구와 진전이 이뤄졌다.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실행됐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창업아이디어를 얻은 직원들이 프로젝트를 가지고 분사해서 독립회사를 세우기 시작했다. 이후 윌로우 거라지에서 3개의 오픈소스재단을 포함, 모두 8개의 회사가독립해 나왔다. 그리고 그 중 세 회사는 구글에 인수됐다. 그 과정에서 주식을 가진 직원들은 돈을 벌었다.
창업자인 스캇 하산도 이런 과정에서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찾아냈다. 아이패드를 꽃고 돌아다니며 원격 화상회의를 할 수 있는 바퀴달린 로봇을 개발한 것이다. 그는 아예 원격근무용 로봇을 개발하는 수터블테크놀로지라는 회사를 분사시켜 새로 창업했다.

자신이 만든 원격화상회의로봇 Beam을 이용해 컨퍼런스에서 강연하는 스캇 하산. 이 Beam은 요즘 실리콘밸리 많은 회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가 원래 꿈꾸었던 가정에 보급할만한 본격적인 개인용 로봇개발은 아직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한 그는 2013년말 윌로우 거라지의 문을 닫고 새로운 회사에 자신의 역량을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그때까지 약 8천만불, 한화로 약 9백억~1천억원의 재산을 월로우 거라지의 운영에 쏟아부은 상태였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하산은 윌로우의 마지막을 이렇게 묘사했다. “나는 직원들이 (회사의 미래에 대해) 점점 불안해한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제 끝을 내야 한다고 결정했지요. 그리고 “이제 여러분들은 자유입니다“라고 회사의 종료를 선언했습니다. 그러자 그 다음에 일어난 일은… 모두 자신의 회사를 시작하더군요.“

새비오크의 로봇 릴레이. 호텔에서 심부름을 해주는 로봇.
마지막까지 남아있었던 CEO 스티브 커즌스도 이후 새비오크라는 로봇 회사를 창업했다. 그가 만든 릴레이라는 로봇은 지금 실리콘밸리의 수많은 호텔들에 보급되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칫솔 등을 가져다주는 심부름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
이처럼 윌로우 거라지는 지금은 사라졌지만 어떤 국책 연구기관이나 대기업보다 전세계의 로봇생태계에 큰 영향을 줬다. 우선 로봇운영체제 ROS는 전세계의 로봇연구자들과 로봇회사들이 애용하는 소프트웨어 운영체제가 됐다. 소프트뱅크의 인공지능로봇 페퍼나 DJI의 드론에도 사용될 정도다. 또 이 회사에서 보급한 PR2로봇을 통해 행해진 다양한 연구가 새로운 로봇회사들이 탄생하는데 밑거름이 됐다. 이런 변화를 목도한 윌로우 거라지의 직원들과 인턴을 경험한 로봇연구자들은 연구실에 머무르지 않고 창업에 나서거나 관련 기업에 뛰어들면서 로봇생태계에 뛰어들었다.

PR2를 기증받은 전세계 대학의 연구자들. 사진출처 : Willow Garage.
윌로우 거라지가 로봇생태계에 끼친 영향을 보면 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비전, 나눔, 외부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이 회사는 당장 돈을 벌기보다는 뭔가 의미있는 성과(impact)를 만드는데 집중한다는 장기 비전을 가지고 실천했다.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혼자서 독점하지 않았다. 오픈소스로 공개해 커뮤니티와 나눠서 같이 개발하면서 혁신을 촉진시켰다. 또 혼자서만 독불장군처럼 일하지 않았다. 윌로우 거라지는 로봇관련된 외부 연구소, 대학 등에 PR2를 제공하고 협업하면서 개발했다. 또 늘 ‘재미’를 추구한 것도 의미심장하다. 직원들이 놀이터같은 공간에서 로봇에게 맥주를 배달시키고, 당구를 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여러가지 의미있는 기술개발이 이뤄졌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로봇업계에 인재를 공급하는 사관학교역할을 했다.
순수한 민간의 투자를 통해 이런 결과가 나온 윌로우 거라지의 사례를 보면서 과연 실리콘밸리라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우리 한국의 로봇생태계는 어떨까.
우리 정부는 지난 2018년까지 세계 최고수준의 로봇 기술 선도 국가가 된다는 목표 아래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을 추진중이다. 2009년부터 연평균 약 1천억원이상을 투자해오고 있다. 심지어 대구에는 인프라 구축 및 상용화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의료, 사회안전, 제조분야의 로봇산업생태계를 육성한다는 대구 로봇산업클러스터사업이 지난 2012년부터 5년간 진행되고 있다. 내년 6월에 끝나는 이 사업에는 5년간 2328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스캇 하산이 윌로우 거라지에 쏟아부은 돈의 2배가 휠씬 넘는 금액이다.
하지만 성과는 빈약하다. 카이스트의 휴보가 2015년 DARPA 로봇챌린지에서 우승했을 정도로 연구 기술력은 인정받기도 했다. 하지만 로봇분야에서 아직 세계시장에서 화제를 끄는 상용로봇기술이나 기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진화된 로봇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달리는 로봇), 드론(날으는 로봇)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한국 로봇기업들은 성장하지 못하고 작은 중소기업상태에 머물러 있다. 정부지원사업에 매출의 상당부분을 의존하는 회사들이 많다. 현장에서는 관료적으로 운영되는 정부과제완수에 매달리느라 리소스를 다 빼앗겨 사업화가 어렵다는 불평도 들린다. 벤처캐피털에서 큰 투자를 받아서 세계시장에 도전할 제품을 개발해 승부하기 보다는 매년 정부과제로 연명하는 체질에 익숙해진 회사가 많은 것 같기도 하다.
이러니 로봇회사에 인재가 몰리기 어렵다. 내가 지난해 만난 한 한국 엔지니어분은 중국의 가전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원래 한국의 모로봇회사에서 오래 일했다는 이야기를 해서 놀랐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거의 10년을 다닌 한국로봇회사의 미래도 불투명하고 본인의 성장도 정체된 것 같아서 결국 중국회사로 옮긴 것이란다. 윌로우거라지의 직원들처럼 자극을 받아서 창업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인재가 중국으로 가버린다. 열악하다.
윌로우 거라지의 사례를 보면서 어떻게 하면 한국에서도 신이나서 뭔가를 만들고 공유하는 사람들로 가득찬 로봇생태계를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해봤다. 이런 변화를 위해서는 정부주도 일변도가 아닌 민간의 과감한 투자가 더 필요한 시기다. 한국의 대기업들과 재벌후계자들이 K스포츠, 미르재단 같은 곳에 돈을 뜯기기보다 이런 미래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방향으로 바뀌기를 기대해본다.
사족 :
윌로우 거라지를 처음 알게 된 것은 2012년 쿠퍼티노도서관에서 열린 테크심포지움이었다. 아들과 함께 갔는데 그때 윌로우 거라지 스티브 커즌즈 CEO의 강연을 들었다. 고등학생들이 주최한 행사에도 열심히 와서 로봇에 대해 아이들에게 설명해주는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리고 올해 3월 도쿄에서 열린 파이오니어스 페스티벌 아시아에 갔다가 우연히 강연을 하러 온 스티브 커즌스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친절한 사람이었다. 한국의 로봇회사에 대해서도 의외로 잘 알고 있어서 놀랐는데 생각해보니 오픈소스 ROS 덕분에 그랬던 것 같다. 자신이 연구해서 터득한 것을 이렇게 적극적으로 많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나누려는 오픈마인드에 좋은 인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