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상장’
설립 1년반만에 나스닥 상장한 중국의 Luckin Coffee

오늘(미국시간 금요일) 럭킨커피 Luckin Coffee(중국어로는 루이싱커피 瑞幸咖啡)의 나스닥상장(IPO)이 큰 화제였다. 중국에서 스타벅스의 대항마가 미국에서 상장한 것이다. 그것도 이 회사는 2017년 10월 설립이다. 불과 회사설립 1년반 조금 넘었는데 나스닥 상장을 이뤄냈다. 게다가 첫날 주가가 공모가에서 50%정도 뛰었고 약 5조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게 됐다.
나는 보통 커피숍이나 레스토랑은 자영업자의 영역에 속하지 스타트업이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보통 이야기하고 있다. 노동집약적이고 오프라인 점포를 임대해서 개설해야 매출이 올라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빠르게 확장,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럭킨커피는 이런 내 말을 무색하게 했다. 어떤 소프트웨어, 인터넷 기업도 회사설립 불과 1년반만에 나스닥에 상장해 시총 5조짜리 기업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럭킨은 그것을 해냈다.
내가 럭킨커피를 처음 접한 것은 지난해 8월이었다. VIPKID의 베이징 사무실에 갔다가 1층 로비에 있는 이 커피숍을 만났다. 아래는 그때 찍은 사진이다.

그런데 카운터에 가서 커피 한 잔 주문을 하려고 했더니 안된다고 했다. 앱으로만 주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좀 황당했다. 아무리 첨단으로 한다고 해도 사람이 앞에 있는데 주문을 받지 않고 앱으로 하라니 말이 되는가.

그래도 해보고 싶었는데 나는 중국 전화번호가 없어서 번호인증을 하고 앱에서 주문을 할 수가 없었다. 앱으로 첫 주문하는 커피 한 잔은 무료라고 한다.
이 회사의 차별화요소는 경쟁사인 스타벅스보다 30% 정도 싼 커피값이다. 그리고 커피에 맛을 들인 중국인들이 사무실에서 커피를 다같이 시켜 마시는 트렌드에 주목해 앱으로 간편히 주문하면 빠르게 배달해주는 사업모델을 만든 것이다. 매장의 직원들은 음료를 만드는데만 집중한다.

탕 웨이 같은 톱모델을 써서 인지도를 높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거액을 펀딩하는 능력과 빠르게 점포를 확장하는 능력이다. 럭킨커피는 지난해 싱가포르투자청(GIC)등으로부터 40억불을 펀딩했으며, 올해는 블랙록으로부터 15억불을 투자받았다. 불과 1년사이에 6천억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받은 것이다. 이 자금으로 럭킨은 무섭게 점포를 확장해 1년반사이에 2370개의 점포를 중국 전역에 냈다. 그리고 이번 IPO로 조달한 약 7천억원의 자금으로 이제부터 일년간 2500개를 더 낼 예정이라고 한다. 스타벅스의 중국 점포수는 3600개다. 스타벅스가 큰 위협을 느낄만하다.

그래서 중국의 스타벅스와 맥도널드는 지난해부터 커피를 배달하기 시작했다. 전세계 어디에서도 하지 않던 것을 중국에서 먼저 시작한 것이다.
물론 럭킨커피는 아직 큰 적자다. 지난해 매출은 125M이었는데 적자는 그보다 휠씬 큰 241M이었다. 물론 출점비용이 크니까 이럴 수 있다. 향후 몇년간이 수익성확보에 있어서 중요할 것 같다.
실제로 중국에서 럭킨커피를 이용해 보면 어떤지를 소개하는 미국 비즈니스 뉴스보도다. 이용하기 편리하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중국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음료와 먹거리를 낸다는 것이다.
불과 3년만에 25조원가치로 상장한 핀두오두오도 그렇고 중국회사들의 저돌성과 빠른 미국증시상장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거품이라고 비난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중국기업들은 글로벌 자본 생태계를 이용해서 회사를 빨리 키우는데 있어서 우리보다 휠씬 능한 것이 사실이다. 미중무역전쟁속에서도 아랑곳 하지 않고 이처럼 미국증시에 상장하는 모습도 놀랍다. 이런 저돌적인 중국회사들이 한두개가 아니다. 일년에 수십개씩 미국증시에 상장해서 수조에서 수십조 회사가 된다.
미중무역전쟁으로 중국이 조금 주춤한 것처럼 보이지만 계속 중국의 스타트업생태계를 주목해야하는 이유다.
5년만에 7배 성장한 글로벌 테크IPO

CB인사이츠의 자료를 보다가 눈에 들어온 그래픽. 지난 5년사이 얼마나 스타트업생태계가 글로벌하게 활성화되었는지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해 메모해 둔다.
2013년에 글로벌한 큰 규모의 테크IPO 10개기업(VC의 투자를 받은 기업들)의 상장당시 기업가치를 합산했을때 32B이라고 한다. 지금 환율로 약 36조원이다. 그리고 이 기업들이 대부분 Criteo(프랑스) 빼고 모두 미국기업이다. 심지어 트위터 등 6개사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이다.
그런데 5년뒤인 2018년에는 완전히 분위기가 달라졌다. 일단 톱 테크IPO 10개사의 총 기업가치가 약 7배 늘어난 218B다. 약 247조원이다. 그리고 이중 메이투안, 샤오미, 핀두오두오, 아이치이, 핑안하오이셩 등 5개사가 중국회사다. 스포티파이는 스웨덴, Adyen은 네델란드회사다. 드롭박스, 도큐사인, 그린스카이만 미국회사다.
5년사이에 테크IPO의 규모가 얼마나 커지고 글로벌하게 됐는지 알 수 있다. 올해는 중국이 주춤하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테크IPO의 규모가 휠씬 더 커질 것 같다. 이제 5월이면 100B 기업가치로 우버가 상장할 예정이니 말이다.
적자 기업의 IPO 전성시대
오늘 닛케이신문을 보다가 흥미로운 그래프를 발견, 메모.

IPO기업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플로리다대 레이 리터 교수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적자기업의 상장이 2000년 IT버블기 이후 다시 최대치로 올랐다는 그래프다. 증시에 상장되는 5개 기업중 4군데는 적자기업이라는 얘기다. 기업이 적자를 내는 것을 죄악시하는 한국의 통념으로 보면 사실 놀라운 통계다. 미국도 1980년대만 해도 그렇지 않았는데 인터넷붐이 일기 시작한 96년 이후로 많은 것이 바뀌었다.

이런 기사가 나온 것은 물론 리프트의 상장 때문이다. 2019년 3월29일 성공적으로 상장한 리프트는 전년도 적자규모가 한화로 약 1조원정도로 미국에서도 역대 상장기업중에 최고의 적자폭을 기록했다.
그러면서 WSJ는 20년전인 1999년의 IPO붐은 지금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흥미로운 기사를 게재했다. 그 기사에 나온 그래픽을 몇개 소개한다.

99년과 2000년 닷컴버블기의 IPO는 정말 엄청났다. 99년에만 거의 4백개 가까운 회사들이 상장됐다. 기업연령이 겨우 4~5년밖에 안되는 기업이 대부분이었다. 모두 95~96년 인터넷의 여명기에 만들어진 닷컴회사였다. 매출도 거의 없었다. 당시 기자였던 내 기억을 더듬어 보면 지난해 블록체인 광풍의 몇배는 되는 광풍이었다. 인터넷의 장밋빛 환상에 취한 사람들이 아무 매출도 없는 회사에 거액을 투자했다가 돈을 다 날렸다. 그런데 지금은 다르다. 지금 미국에서 IPO하는 기업들의 평균 매출은 거의 2000억원에 이른다.

상장직전 스타트업 기업들의 밸류에이션도 크게 올라갔다. 위 그림에서 빨간 색 회사들은 이미 IPO상장 신청을 한 회사들인데 VC에게 투자받은 마지막 밸류에이션이 우버는 72B, 핀터레스트는 12.3B, 슬랙은 7.1B라고 할만큼 높다. 반면 트위터는 IPO당시 15.7B였고 20년전 아마존은 500M이었다고 한다.

애플, 페이스북, 구글은 상장하기 3년전부터 이미 흑자였다. 반면 트위터는 적자상태에서 상장해 흑자로 전환되는데 5년이 걸렸다. 2010년 상장한 테슬라는 아직도 연간 흑자전환을 못했다. 지금 상장을 신청한 회사들은 설립된지 7~10년된 회사들이 대부분인데도 다 적자상태다.

적자 상태인 회사들이 상장하는 것은 당연히 바람직하지는 않다. 하지만 20년전과 비교해 매출 대비 상장 기업가치를 비교해보면 지금이 그래도 예전보다는 낮다. 우버와 리프트는 그래도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버는 2018년 약 13조원, 리프트는 약 2.5조원의 매출을 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프트의 적자는 1조원정도다. NYU의 스캇 갤로웨이 교수는 도발적인 칼럼을 썼다. 리프트의 주가가 1년뒤에는 휠씬 떨어질 것이고 5년뒤에는 잘해야 반토막일 것이란 얘기다. 그의 칼럼에 들어간 위 그래픽이 흥미롭다. 우버의 기업가치가 포트, 델타에어라인, 아메리칸에어라인, 로얄캐러비안(크루즈회사), 젯블루와 허츠 등 렌트카회사들을 합친 것과 같다는 것이다.
확실히 지금 승차공유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거품인 것 같은 생각은 든다. 어쨌든 20년전 IPO붐과 지금을 비교하면 적자 기업들의 상장 러시는 똑같다. 하지만 20년전보다는 지금 스타트업들은 휠씬 더 건실한 매출을 가지고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크게 다르다.
그리고 한가지 내 생각을 첨언하자면 이런 변화가 예전에는 야후, 아마존, 시스코 등 완전 인터넷회사나 전자상거래 회사에서만 일어났다면 지금은 교통, 금융, 음식배달, 미디어, 음악 등 다양한 분야로 파괴적 혁신이 온오프라인을 망라해서 전방위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기존 강자에 도전하는 파괴적 혁신회사들이 도처에서 생겨나고 있고 이들에게 거액을 베팅하는 소프트뱅크 같은 투자회사들이 세계에 가득하다. 그리고 미국의 자본시장은 이런 도전자들에게 여전히 너그럽다. 조단위 돈을 베팅하는 머니게임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다.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한국의 대기업들도 이런 글로벌 혁신기업들에게 순식간에 먹혀버릴 수 있는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