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블로그

갈수록 강해지는 페이스북의 미디어파워

leave a comment »

지난주 일요일오후 우연히 트위터에서 접한 한 의사선생님의 유머러스한 블로그글을 읽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가볍게 공유했다. 낭만닥터라는 네이버블로거가 본인이 아시아나 일등석을 경험한 내용을 재치있는 사진과 글과 함께 소개한 내용이었다. 평소 재미있는 글을 보면 소셜미디어에 가볍게 공유하는 것이 취미활동이자 습관이라 정말 짤막하게 한 줄 써서 가볍게 공유했다. 여느 때처럼 좋아요 수백개 정도가 붙을 것이라는게 내 예상이었다.

Screen Shot 2015-11-14 at 11.54.20 PM

그런데 내 예상을 초월하는 결과가 나왔다. 좋아요가 7천이 넘은 것도 처음이고… (예전 기록은 6천) 공유가 1천이 넘은 것도 처음이다. 재미있는 글이긴 했지만 이렇게 엄청난 반응이 나올지는 상상도 못했다. 의사선생님의 유쾌한 글쓰기에 사람들은 열광했다. 오로지 콘텐츠의 힘이다.

이 분의 블로그의 트래픽이 어느 정도 나왔는지 살펴봤다. 방문자수다.

Screen Shot 2015-11-15 at 12.02.56 AM

이 글이 올라온 것은 4일 오후 6시반이었다. 7일까지도 만만치 않은 방문자수가 나왔다. 원래 인기블로거이신듯 하다. 아마 8일부터 소셜미디어에서 회자되기 시작했던 것 같다. 나는 8일 오후 4시에 공유했다. 어쨌든 8일부터 트래픽이 불을 뿜기 시작해서 9일, 10일에는 엄청난 트래픽이 나왔다.

10일에는 22만6천명방문이라니 어마어마하다. 페이지뷰는 거의 30만이 나왔을지 모른다. 모든 트래픽이 페이스북에서 온 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큰 공헌을 했을 것이다. (이 글이 인기를 끌면서 포털에서도 소개했을지도 모르겠다.)

포털탑페이지에 걸려도 이 정도 반응을 얻기는 힘들다. 가끔 언론사에 있는 분들이 무슨무슨 기사가 수십만뷰가 나왔다고 자랑하는 것을 듣는데 이런 경우는 대개 네이버탑에 눈길을 끄는 제목으로 크게 노출했을 때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너무 신문을 안 읽어서 1백만부를 찍는 신문 1면에 실린 기사도 이 정도로 많은 대중들의 주목을 얻지는 못한다. 이건 매력있는 콘텐츠의 힘으로 자력으로 독자들을 끌어들인 것이니 더 대단한 것이다.

지난 일주일동안 내가 만난 분들의 상당수가 “아시아나 일등석 리뷰 아세요”라고 물어보면 안다고 읽었다고 대답했다. KBS뉴스에 나온 뉴스꼭지도, 조선일보에 나온 기사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된 개인의 블로그글을 이구동성으로 “재미있게 읽었다”고 하는 말을 듣고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 분은 심지어 한국일보기사로까지 소개됐다.

미디어파워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 20년전 아날로그의 시대에는 종이신문, 공중파에 미디어권력이 있었다. 신문과 방송에서 다뤄줘야 떴다. 인터넷이 뜨면서 조금씩 파워가 온라인으로 왔고 한동안 포털미디어의 시대였다. 그러던 것이 구글, 네이버과 함께 검색미디어의 시대가 열렸다. 뉴스가 검색이 잘되도록 해야 주목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소셜미디어의 시대가 됐다. SNS에서 공유가 많이 되야 미디어파워도 올라가는 시대가 됐다. 전통미디어의 파워는 하루가 다르게 줄어들고 있다. SNS가 미디어다. 그중에 페이스북의 파워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번 아시아나 일등석 리뷰글을 보면서 실감했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소셜미디어를 모르는 저널리스트는 앞으로 점점 살아남기 힘든 세상이 될 것 같다.

Written by estima7

2015년 11월 15일 at 12:24 am

[기념포스팅] 워드프레스 창업자 맷 뮬렌웨그를 만나다.

with 4 comments

Screen Shot 2014-06-01 at 6.09.37 PM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써둔다. 세계적인 블로그플랫폼 워드프레스를 만든 장본인이며 워드프레스플랫폼을 운영하는 오토매틱이란 회사의 창업자이자 CEO인 맷 뮬렌웨그를 5월31일에 만났다. 절친한 후배인 소프트뱅크벤처스 이강준상무가 지인을 통해 그와 연결이 되서 만나게 됐는데 날 끼워준 덕분이다.

바로 얼마전 5월초에 1조원이 넘는 기업가치로 1억6천만불, 즉 1천6백억원정도의 펀딩을 받은 그는 2주간의 일정으로 한국, 인도네시아, 싱가폴, 일본 등을 돌며 워드프레스 미트업을 하러 왔다고 했다. 한국에서도 금요일에 도착해 토요일에 TBS라디오에 출연하고 일요일 오전에 디캠프에서 미트업을 한뒤 바로 싱가폴로 향하는 일정이다.

나는 2008년초부터 테스팅삼아 워드프레스계정을 만들어서 포스팅을 해봤었다. 그리고 미국 라이코스로 간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워드프레스블로그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쓴 포스팅이 이 글을 포함해 468개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쓰는 블로그플랫폼을 만든 사람을 만난다는 각별한(?) 의미도 있었다.

예전에 미국의 맷을 잘 아는 지인에게 맷은 굉장히 좋은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일이 있는데 실제로 만나보니 정말 유쾌하고 친절한 훈남이었다. 자산이 몇천억쯤은 될만한 사람인데도 같이 동행한 직원도 없이 혼자서 가볍게 출장을 다니고 있었다. 그는 내가 워드프레스유저라는 것을 알고 아주 반색을 했다.

우리는 비즈니스와는 상관없이 그냥 한국의 인터넷이야기 등 이런저런 수다를 한시간반정도 나누다 헤어졌다. 그는 다음카카오 합병 뉴스를 보고 카카오에 대해서 처음 들어봤다고 했고 라인은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고 했다. (한국인터넷업계에 대한 지식은 별로 없어서 액티브X 등 이런저런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줬다.)

그는 지난해에 일년중 280일정도를 출장이나 여행을 다녔다고 했다. 오토매틱은 모든 직원이 전세계에 뿔뿔이 흩어져 원격으로 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샌프란시스코에 십여명이 일하는 본사가 있지만 그도 사무실에 나가는 경우는 별로 없단다. 전직원은 280명정도인데 세계 180개도시에 산재되어 있다고 한다. 다만 한국에는 아직 직원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 직원을 뽑는 것도 그의 숙제중 하나다.

Update : 맷에게 만남에 대해서 블로그를 썼다고 메일로 알려줬더니 “한국인직원을 뽑는다는 얘기도 썼느냐. 안넣었으면 채용공고링크를 꼭 블로그에 소개해줬으면 좋겠다“고 답장이 왔다.

http://automattic.com/work-with-us/ 영어를 잘하는 것이 중요한데 회화보다는 Written english를 잘하면 된다고 했다. 한국에서 꼭 직원을 뽑았으면 하는 그의 열정이 느껴졌다! 관심있는 분은 용기를 가지고 지원해보시길.

 

Screen Shot 2014-06-01 at 6.29.56 PM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자신은 명상(Meditation)을 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Calm이라는 앱이 좋다고 보여준다. 그래서 그의 아이폰 첫화면을 찍어서 소개해도 되냐고 했더니 괜찮다고 한다. 여행을 많이 다니기 때문에 일정을 잘 요약해서 보여주는 TripIt이 필수앱이며 자기는 아직도 Path를 열심히 쓴다고 한다. 아직도 포스퀘어로 가는 곳마다 열심히 체크인을 하는 편이며 뉴스앱으로는 Circa를 쓴다. 웨어러블운동트래커는 저본업을 쓰고 있고 메신저는 Telegram을 요즘 애용한다고 한다. Simplenote는 워드프레스가 인수한 회사라고 한다. Blinkist는 책내용을 요약해서 소개해주는 앱이다. 사내 협업툴로는 Slack을 사용하는 것 같다.

1600억원의 거금을 투자받았지만 당장 그걸로 뭘할지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한다. 인프라투자와 모바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좋은 회사가 보이면 바로 인수할 수 있는 실탄을 확보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VC로부터의 압력이 있지 않겠냐고 했더니 보드멤버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괜찮다고 한다. (그런 거금을 투자받으면서 board seat도 주지 않다니…)

맷 뮬렌웨그에 대해서는 조선일보 이인묵기자가 2년전에 아주 훌륭한 인터뷰기사를 쓴 일이 있다. 궁금한 분들은 그 기사를 한번 읽어보시길. 즐거운 만남에 대한 기록.

[Weekly BIZ] [Interview in Depth] ‘워드프레스’ 창립자 매트 뮬렌웨그

Written by estima7

2014년 6월 1일 at 11:13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