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마이크로소프트’
코로나 19속 빅테크 회사들의 경이적인 성장

내가 경이롭다고 생각하는 것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빅테크 회사들의 성장이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페이스북, 구글(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의 시총 상승을 보여주는 WSJ기사 그래픽이다.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성장이다.

정말 놀라운 것은 분기 매출액이 1백조원에서 수십조원에 달하는 이런 공룡 회사들이 연간 두 자리수 성장도 모자라 심지어 44%(아마존), 33%(페이스북) 성장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코로나 속 세상이 얼마나 컴퓨터, 인터넷 등 테크놀로지에 의존하게 됐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 중 개인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 팀스의 성장이다. 한국 대기업중에서도 만명단위로 팀스로 사내 협업시스템을 갈아탄 곳도 있다. 줌+슬랙 조합보다 팀스를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가성비가 높아서 이렇게 빠른 성장을 보이는 것이 아닌가 싶다. 오피스에서 , 클라우드에서, 팀스같은 협업툴까지 세상의 변화에 정말 빠르게 잘 대응하는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인 것 같다.
유니콘 IPO붐으로 클라우드가 무서운 성장
얼마전에 봤던 미국의 경제 뉴스다. 미국은 지금 테크 유니콘 스타트업들의 IPO붐이다.

그런데 이런 IPO붐의 놀라운 승자라니 누굴까 싶어서 봤다.

결론은 아마존 웹 서비스, 즉 AWS 얘기였다. 새로 상장하는 이들 테크기업들이 맹렬하게 AWS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Lyft는 2021년말까지 3억불(300M)만큼의 AWS를 쓰기로 계약해 두었다고 한다. 핀터레스트는 2017년 5월부터 2023년 7월까지 750M만큼을 계약해 두었다는 것이다. 장기 계약을 해서 비용을 낮추려는 것 같은데 어쨌든 이들 테크기업들이 얼마나 아마존 클라우드에 의존하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우버나 슬랙 등 다른 회사들도 마찬가지로 AWS를 엄청나게 쓰고 있다.

AWS의 가파른 성장률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2018년의 AWS매출은 25억6천6백만불로 한화로 거의 30조원에 육박했다. 그리고 올해 매출 전망은 40조원이 넘는다.

올해 1분기도 큰 성장을 기록했다. 매출이 7.7B으로 전년대비 41%성장, 또 영업이익도 2.2B으로 55% 성장했다. 다만 분기별 성장률은 조금 둔화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이게 아마존만 잘되는 것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비즈니스도 엄청 잘된다. MS의 클라우드서비스인 Azure는 1분기에 73% 성장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전체 매출의 3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분기이익도 19% 증가했고, 주가가 급등해 시총 1조달러(1000B)을 돌파해 애플을 제쳤다.
유니콘스타트업들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글로벌하게 성장한다. 이들이 잘되면 잘될수록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 잘된다. IT패러다임이 또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느껴서 메모해봤다.
사티아 나델라의 일하는 방식
월스트리트저널(WSJ)에는 ‘How I work’이란 흥미로운 동영상 인터뷰 시리즈가 있다. 기업 CEO를 인터뷰하면서 ‘내가 일하는 방식’에 대해서 짧게 답하는 2분정도의 동영상이다. 많은 인터뷰중 2015년 9월에 소개된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의 인터뷰를 가장 흥미롭게 봤다. 3년반전 인터뷰인데 이 사람은 참 명석하고 느낌이 좋은 사람이란 인상을 받았다.
스티브 발머와 클리퍼스 게임에 가겠느냐, 빌 게이츠와 브릿지게임을 하겠느냐는 짓궂은 질문이 나오기도 한다. (스티브 발머는 2014년 LA의 프로농구팀인 클리퍼스를 인수했다.)
인상깊은 문답은 “How do you run a meeting?”(미팅을 어떻게 진행하나요)라는 질문에 “Listen more, Talk less, be Decisive when the time comes”라고 답한 것이다. 더 많이 듣고, 말은 적게 하고, 필요할 때는 단호하게 결정을 내려줘야 한다는 뜻이다.
또 새로운 직원을 뽑을 때 중요하게 보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The one trait I look for in new hires is __) 명민함이 있느냐, 에너지를 만들어내느냐”Do they create clarity , do they create energy.라고 답했다.
짧지만 봐둘만한 내용이다.

또 최근 WSJ와 가진 인터뷰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수전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나왔다. 사티아 나델라는 CEO가 된 이후 마인크래프트, 링크드인, 깃허브를 인수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답한다.

“핵심은 우리가 인수하는 회사로부터 배울 수 있는가입니다. 어떤 제품철학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제품을 중심으로 어떤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지를 봅니다. 그리고 인수후에도 계속 잘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링크드인은 좋은 사례입니다.”
인수한 회사에서 오히려 배우겠다고 말하는 CEO. 이 회사가 잘되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2014년 2월 4일, 5년전 사티아 나델라가 MS CEO에 취임했을 때 MS의 주가는 36불정도였다. 그때 모두다 MS는 한물간 회사라고 여겼다. 그런데 오늘 보니 106불이다. 거의 3배 올랐다. 시가총액은 900조원이 넘는다.
스티븐 스놉스키와 스캇 포스톨
오늘 윈도우 8와 서피스타블렛 발표를 총지휘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스티븐 시놉스키(직급 President)가 갑자기 회사를 떠난다는 뉴스에 깜짝 놀랐다. 아니 윈도8과 서피스가 발표된지 얼마나 됐다고!
그리고 아래 Verge의 기사를 읽어보고 얼마전 있었던 애플 스콧 포스톨의 해임과의 유사성에 또 한번 놀랐다.
The abrupt departure of Windows and Windows Live President Steven Sinofsky this evening has surprised many in the Microsoft community considering that he’s hot off the launch of Windows 8 and Surface, two of Redmond’s most important products in the last decade. There had been persistent rumblings that the man who oversaw the launch of Windows 8 was in line for a larger role in the company, perhaps even as the heir to CEO Steve Ballmer. However, multiple sources within Microsoft describe Sinofsky as abrasive and off-putting, aggressively maintaining his control over products and putting up roadblocks for products that would have any potential to diminish the Windows (and therefore his) power — an attitude rumored to be shared by Apple’s recently-deposed iOS chief Scott Forstall.
갑작스러운 윈도우스와 윈도우스 라이브 사장 스티븐 시놉스키의 해임은 마이크로소프트커뮤니티의 많은이들을 놀라게 했다. 그동안 이 윈도우8의 발표를 총괄해온 인물에 대해서 그가 스티브 발머의 후계자라는 소문이 돌았었다. 하지만 MS내의 여러 소식통에 따르면 시놉스키는 거칠고 불쾌하고 공격적으로 제품들에 관해서 자신이 통제하려고 들고, 자신의 영역인 윈도우스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해가 되거나 도전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방해하고 나서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즉 애플의 iOS를 맡았던 스콧 포스톨과 비슷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즉, 스콧 포스톨과 스티븐 시놉스키의 비슷한 점.
-차기 CEO후보로 거론되는 천재.
-애플과 MS에 있어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 제품(iOS, 윈도우스8)을 담당.
-거칠고 공격적인 성격. 팀플레이어가 아님.
-자신의 부서를 중심으로 사일로(Silo)를 형성.
불과 2주의 간격으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리더가 급작스럽게 회사를 떠나게 됐다. 그리고 그 둘의 모습은 아주 비슷하다. 그 둘이 비운 자리는 다른 임원들이 나눠서 맡았다. 참 기가 막힌 우연.
서피스 타블렛 인상기
오늘 잠시 짬을 내 집근처 쇼핑몰의 마이크로소프트스토어에 다녀왔다. 새로 등장한 MS의 타블렛, 서피스(Surface)를 실제로 보고 싶어서였다.
첫인상은 ‘그닥~’이다. 타블렛컴퓨터를 처음 접해봤다면 엄청 신기해하고 감탄했겠지만 이미 아이패드에 익숙할대로 익숙해져버린 뒤라 그런지 모르겠다. 타블렛을 딱 세울 수 있는 ‘킥보드’와 터치키보드가 들어있는 ‘터치커버’는 좀 신기했지만 사용성이 그다지 뛰어나다고 느끼지는 못했다.
일단 기기자체는 단단하고 견고해보인다. 그리고 묵직하다. 아이패드보다 더 크고 묵직하게 느껴졌다. 견고해보이기는 한다.
스크린은 밝고 색상도 괜찮았지만 인터넷을 서핑할때 보이는 글자의 해상도는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한글을 볼때 픽셀이 나타나 보였다. 264PPI의 아이패드 레티나디스플레이에 익숙해져버린 내게 서피스의 148PPI는 눈에 거슬렸다.
인터넷브라우징을 해보니 인터넷익스플로러가 떠오르고, MS오피스 등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마치 윈도우OS를 쓰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뭐랄까 속은 윈도OS인데 겉에 보이는 포장인터페이스를 타일형으로 만들었다는 느낌이랄까?
앱을 쓰다가 어떻게 다시 스타트화면으로 돌아가거나 다른 앱으로 넘어갈 수 있는지 몰라서 한참 헤메다가 결국 종업원에게 물어봤다. 아이패드처럼 하드웨어적인 홈버튼이 없기 때문에 설명을 듣지 않고는 도저히 알수가 없었다. 알고 보니 오른쪽 베젤 가장가리에서 안쪽으로 스와이프하면 홈버튼 메뉴가 나타나는 것이었다. 한번 익숙해지면 될지 모르지만 처음 쓰는 사람은 정말 쉽게 찾기 어려운 방법이다.
한글 등 다른 언어사용은 어떨까 싶었는데 별 문제는 없는 것 같았다. 세팅화면에 들어가보니 윈도처럼 세계각국어의 Input system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다시 속살은 윈도라는 느낌을 받았다.
터치커버로 타이핑을 하는 것은 신선했지만 그렇다고 일반 키보드보다 더 빠르고 편하게 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었다. 트랙패드 같은 것도 있어서 사용을 하다보니 스크린을 터치할 일이 없어 마치 PC랩탑을 쓰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이 잠깐 들기도 했다. 하지만 역시 일반 랩탑을 쓰는 것보다는 불편했다. 그래서 화면을 터치하면서 써보려고 했는데 그것도 역시 묘하게 불편했다. 인터넷익스플로러를 열어놓고 화면을 터치하는 느낌은 뭐랄까 옛날 윈도우스 타블렛버전OS를 쓰는 느낌이랄까. 뭔가 부자연스럽다.
확실히 iOS나 안드로이드와 비교해서 차별화가 된 타일인터페이스의 포토앱, 메일앱, 지도앱 등은 신선하기는 했지만 딱히 경쟁사와 비교해서 낫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했다. 오히려 앱의 부족으로 인해 MS의 디폴트앱이외에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점이 안습이었다.
32기가 메모리 서피스의 가격은 499불. 터치커버를 포함해서는 599불이다. 경쟁제품인 아이패드(16기가 499불)와 비슷한 가격이며 아이패드미니, 넥서스7, 킨들파이어 등 2백~3백불대 저가형 타블렛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어떻게 경쟁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MS의 회심의 역작이라고 해서 긍정적으로 보려고 했으나 아무리 봐도 현재의 모습으로는 성공은 쉽지 않을 듯 싶다. 윈도우스폰도 그랬지만 너무 늦었다. 이미 시장은 iOS, 안드로이드로 양분되어 저가형 모델까지 쏟아져나오는 판국에 너무 늦게 뛰어들었다.
내가 아이폰, 아이패드에 너무 익숙해져서 서피스에 편견을 가지고 본 것이 아닌가 생각해봤지만 아직은 소프트웨어가 너무 설익은 듯 싶다. 갈 길이 멀다.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