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닛케이’
스트리밍서비스로 인한 콘텐츠업계의 부활
오늘 닛케이에서 콘텐츠 산업 부활극의 사각지대라는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다. 음반업계가 MP3 등의 부상으로 인해서 완전히 고사 직전까지 몰렸다가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부상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 스마트폰의 보급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다시 성장 고민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위 그래프에서 보듯이 음반업계는 MP3를 필두로 하는 해적판이 범람하고 CD판매 비즈니스모델이 몰락하면서 극도의 위기를 맞았다. 그러다가 2014년 143억불의 매출을 바닥으로 반전해서 2018년까지 34% 상승했다.

음반업계를 구원해준 것은 스포티파이를 위시로 한 뮤직스트리밍서비스였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어디서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면서 이용량이 폭증했다.
동영상 마켓도 마찬가지다. DVD판매가 사라지고 넷플릭스 등의 정액 스트리밍서비스가 자리잡으면서 시장의 비즈니스모델이 바뀌고 있다.
다만 디지털서적의 판매는 줄어들고 있다. 미국출판협회에 따르면 미국 전자서적시장에서의 13년부터 4년간 36% 매출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종이책은 12% 증가했다. 디지털피로가 현실화된 것이 아닌가 싶다.

어쨌든 지금부터의 문제는 전세계 스마트폰의 출하대수가 정체상태라는 것이다. 이제 더이상 이런 서비스들이 압도적인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또 뭔가 새로운 것이 나와서 또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지도 모른다.
20여년전 나는 카세트테이프가 닳도록 같은 음악을 워크맨으로 들었다. 지금의 젊은 세대는 당시의 나보다 휠씬 다양한 음악을 유튜브나 뮤직스트리밍사이트에서 쉽게 찾아서 듣는다. 그리고 그렇게 듣는 음악은 매번 카운트되서 소액이라도 저작권자에게 돈이 지급된다.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아도 알고 보면 또 다른 엄청난 기회가 존재한다. 다만 이런 미래의 변화를 이해하고 미리 선점하는 사람에게만 이런 기회가 보이는 것 같다.
일본은 스타트업의 불모지인가
일본은 스타트업의 불모지인가. 전세계에 스타트업 열풍이 불고 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일본은 아직도 도요타, 소니, 캐논 같은 대기업의 나라이며 요즘은 청년층 취업이 잘 되서 젊은이들의 창업의지가 높지 않다는 것이다. 구글이 한국의 스타트업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아시아에 처음으로 캠퍼스서울을 개소할 때 “왜 일본에 먼저 내지 않았느냐”고 구글 관계자에게 물어본 일이 있다. 그러자 “일본의 스타트업 열기가 그렇게 뜨겁지 않아서 그렇다”는 대답을 들은 일도 있다. 일본도 한국 못지 않게 규제가 엄격해서 일반 자가용을 가지고 택시영업을 하는 우버X도 허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핀테크도 일본은 무풍지대였다.

파이오니어스페스티벌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매년 5월에 열리는 스타트업축제다. 지난 3월23일 처음으로 파이오니어스 아시아행사가 도쿄에서 열렸다. 비엔나시 부시장과 파이오니어스 CEO 등과 함께 찍은 사진. 닛케이신문 주최로 열린 행사라 그런지 일본의 큰 대기업들이 대거 스폰서로 나섰다.
그런데 내가 지난 3월말 도쿄에서 열린 ‘파이오니어스 아시아’라는 스타트업 컨퍼런스에 다녀오면서 일본도 더 이상 스타트업 열풍의 예외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 다음은 일본의 스타트업 업계의 최근 변화에 대해 내가 느낀 점이다.
우선 일본열도에도 핀테크열풍이 상륙했다. 한국보다 정확히 일년이 늦었지만 그 열기는 한국 못지 않다. 지난해말부터 핀테크혁명에 대해 보도해 온 일본최대의 경제신문인 닛케이신문은 3월 닛케이핀테크라는 온라인전문지를 창간했다. 컨퍼런스참관권을 포함한 일년구독료가 48만6천엔, 즉 5백만원에 달한다. 경제주간지마다 핀테크특집을 커버스토리로 올리고 있다. 서점에 가보니 ‘핀테크혁명, 드디어 일본 상륙’이란 제목의 책이 맨앞에 진열되어 있다.
일본의 금융1번지라고 할 수 있는 마루노우치 도쿄은행협회빌딩에는 지난 2월1일 피노라보(FinoLab)라는 곳이 생겼다. 미츠비시도쿄UFJ은행, 미츠이스미토모은행, 미즈호은행 등 일본의 3대메가뱅크본점이 있는 이 거리에 핀테크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공간이 생긴 것이다. 우선 16팀의 일본 유망 핀테크스타트업이 입주해 있다. 일본최대의 광고대행사인 덴츠가 운영하는 이 핀테크육성센터에는 매일처럼 전국의 금융관계자가 찾아온다. 일본의 3대메가뱅크와 전국의 지방은행들은 핀테크관련조직을 신설하거나 기존 조직에서 핀테크 연구와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월8일에는 KTB솔루션 등이 한국에서 참가한 코리안핀테크데모데이라는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머니트리에는 일본의 3대 메가뱅크가 모두 투자했다.
일본에는 이미 사업이 상당한 궤도에 오른 핀테크스타트업도 많다. 개인자산관리분야에는 머니포워드와 머니트리가 유명하다. 머니포워드는 350만명, 머니트리는 1백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이들은 모든 은행과 신용카드들의 사용내역을 자동으로 연결해 분석해 주는 일종의 온라인가계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에 대응되는 일본의 금융기관은 약 2600개사로 거의 모든 은행, 증권사, 카드사 등에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놀랍게도 머니트리의 경우 호주인인 폴 채프먼CEO를 비롯해 직원의 절반이 외국인일 정도로 국제화된 팀이다. 머니트리는 일본의 3대메가뱅크계열 벤처캐피털에서 모두 투자받았다.
한국의 경우 보안문제 등의 우려로 금융기관이 외부스타트업이 고객데이터를 긁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온라인가계부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쉽지 않다.
프리(Freee)라는 핀테크회사는 클라우드회계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소규모기업이 엑셀 등을 쓰지 않고도 온라인으로 회계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이다. 벌써 50만명의 비즈니스가 쓰고 있다. 그런데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에는 원하면 회사의 재무데이터를 외부와 실시간으로 공유해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해 일본의 지방은행인 기타구니은행은 복잡한 대출심사과정 없이 중소기업에 효율적으로 대출을 해줄 수 있게 됐다.
또 아마존재팬은 쇼핑몰 입점상인에게 복잡한 심사절차없이 현금흐름과 성장성 등을 보고 바로 대출해주는 아마존렌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 못지 않게 지극히 보수적으로 알려진 일본의 금융업계에서 이미 이렇게 다양한 분야의 핀테크스타트업이 나오고 있고 금융기관들과 폭넓은 협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 놀라왔다. 공인인증서, 액티브X 등을 사용해야만 하는 규제 때문에 갈라파고스화된 한국의 금융업계와 달리 일본만 해도 금융IT환경이 글로벌 스탠더드를 따르고 있고 글로벌회사들이 들어와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두번째로는 내가 변화를 느낀 것은 실력있는 일본 하드웨어 스타트업의 부상이다. 내가 참석한 파이오니어스아시아 컨퍼런스의 최종결선에서 우승한 휠(WHILL)은 이 행사에서 만난 수많은 일본의 하드웨어스타트업중 하나였다. 이 회사는 기존의 사용하기 불편하고 디자인도 흉한 휠체어를 대폭 개선한 스마트 전동휠체어를 개발했다. 미래형 디자인에 스마트폰앱을 이용해서 제어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심지어 목적지를 설정하면 자동운전으로 가는 기능까지 있다. 몸이 불편한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만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얼마전 FDA승인을 받고 전세계로 판로를 개척중이다.
내가 인상적으로 본 것은 이 회사의 창업자 3명이다. 자동차회사인 닛산, 전자회사인 소니, 카메라-의료기기회사인 올림퍼스 출신의 30대 엔지니어 3명이 의기투합해서 창업했다. 각각 자동차, 카메라, 의료기기 엔지니어가 모인 것으로 스마트 휠체어를 만들기 위한 이상적인 조합이었다. 이들을 보니 대기업에서 밖으로 나오지 않던 일본의 엔지니어들이 이제 스타트업쪽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었다. 장인정신을 가진 일본의 엔지니어들이 스타트업으로 가면 어떻게 될까.
컨퍼런스 행사장에서 만난 본엔젤스 김범석 일본지사장은 “시부야에 가보면 낡은 빌딩들 구석구석 사무실에 자리를 잡고 독특한 제품을 개발하는 일본의 창업자들이 꽤 있다”고 말했다.
세번째로 느낀 것은 일본 대기업들의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에는 정부의 거창한 창업지원정책이나 멋진 창업지원공간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많은 대기업들이 스타트업에 관심을 갖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런 모습을 단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이 모닝피치라는 행사다. 도쿄 신주쿠에서는 매주 목요일 오전 7시부터 두시간동안 열리는 이 행사는 스타트업 4~5팀이 발표하고 대기업이나 벤처캐피털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만남의 장이다. 이번 4월 첫째주에 열린 모닝피치는 144회째로 핀테크특집이었다. 3년동안 꾸준히 운영된 것이다. 150명이 참석할 수 있는데 매번 미리 신청하지 않으면 일찍 마감이 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커피는 커녕 물 한잔 주지 않는데도 대기업관계자들이 꽉꽉 들이차서 스타트업의 발표에 귀를 기울기고, 열심히 질문하고, 끝나고 명함을 교환하고 돌아간다. 정부의 입김 없이 완전히 민간기업중심으로 이런 행사가 꾸준히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밖에 글로벌하게 투자하는 일부 일본VC들의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DG벤처스의 다카히로상은 요즘 폴란드에 자주 출장을 다닌다고 했다. 폴란드에 좋은 스타트업이 많다는 것이다. “펀드에 지역제한이 있지 않느냐. 해외에 그렇게 제한없이 투자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하자 “외부출자를 받지 않은 DG그룹 자체 펀드로 투자하기 때문에 괜찮다. 좋은 회사라면 세계 어디라도 투자할 수 있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DG그룹은 가가쿠닷컴의 모회사로 MIT미디어랩 디렉터인 조이 이토가 창업자중 한명인 회사다.)
잠시 유리모토CEO에게 인사하러 들른 시부야의 글로벌브레인 사무실에서 투자기업 포트폴리오를 보니 MIT의 인공지능로봇 스타트업 Jibo라든지 스마트도어락 회사인 샌프란시스코의 오거스트 같은 유명회사들의 이름도 보였다. 물론 비트파인더, 팀블라인드 등 한국스타트업에도 많이 투자했다.
***
이처럼 조용히 내실있게 성장하는 일본의 스타트업들을 보면서 한국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느꼈다. 일본은 적어도 역량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스타트업과 협업할 수 있는 생태계가 되어 있는 나라다. 게다가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내수시장도 있다. 일본의 스타트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외국인인재들도 많다. 일본의 스타트업생태계는 겉으로 보기에 화려하지는 않지만 서서히 실력을 키워가고 있다. 일본기업들이 내향적이며 글로벌행사에 나와서 적극적으로 홍보를 잘 하지 않으니 잘 보이지 않는 것일지도 모른다.
정부가 대대적인 ‘창조경제’ 드라이브를 펼치는 한국의 스타트업생태계는 일견 활발해 보인다. 잘 꾸며진 큰 규모의 스타트업지원센터들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눈이 휘둥그레진다. 하지만 헤이딜러, 콜버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아직 시대착오적인 규제는 여전하다. 한국인들로만 이뤄진 스타트업들은 다양성이 부족하다. 높은 기술과 자본이 필요한 하드웨어분야에서의 창업과 성공사례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한국대기업의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도 이제 시작이다.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마음껏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주고, 대기업 등 민간에서 스타트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와 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생적인 스타트업 생태계를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한국일보에 기고했던 글을 보완했습니다.
닛케이신문의 온라인유료화 도전: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일본의 명문경제지인 일본경제신문(니혼게이자이:보통 줄여서 닛케이라고 함)이 3월23일부터 유료버전 온라인신문 ‘Web刊’을 창간해 유료화에 도전한다고 선언했다.
현재 310만부가량을 발행하는 닛케이신문은 경제종합지로 일본에서 가장 우량신문중의 하나다. 종합일간지 요미우리, 아사히와 함께 잘나가는 3대신문으로 꼽힌다. 특히 경제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의 대기업사원이라면 누구나 닛케이를 읽는 것이 상식으로 통할 정도로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뉴미디어에 대한 투자를 일찍 시작해 판매, 광고 그리고 뉴미디어 매출 포트폴리오가 균형잡힌 신문으로 알려져있다.
그런 닛케이지만 인터넷에 대한, 웹에 대한 투자는 좀 인색해 지금까지 닛케이넷 http://www.nikkei.co.jp에는 기사 일부분만을 제공해왔다. 그래서 사실 읽을 만한 기사가 많지 않고 기사의 앞부분만을 살짝 잘라서 제공하는 바람에 개인적으로는 별 흥미가 없는 사이트였다. 야후 등 포털에도 일체 콘텐츠를 공급하지 않는 정책을 고수해왔다.
위는 온라인유료화버전 Web刊의 초기페이지.
잘나가는 닛케이지만 시대의 흐름 변화에는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더이상 인터넷을 외면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드디어 본격적인 유료화전략을 발표한 것이다.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 현재 닛케이넷을 리뉴얼하는 형태로 전기사의 본문을 제공.(한국, 미국에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대부분 일본신문들은 웹에 전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 기본적으로 모든 기사는 유료회원에게만 개방되나 무료회원이라도 한달에 20개까지 기사를 볼 수 있음
- 유료회원에게 과거 5년분 기사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 25개까지 본문을 보는 것이 가능.(역시 그동안 기사DB를 외부에 무료로 공개한 일이 없음)
- 오픈형식(?)으로 스마트폰 네이티브앱은 따로 준비하지 않음. 모바일에서 웹브라우저로 읽으면 된다고.
- 종이신문구독자에게는 월간기존 구독료 플러스 1천엔, 온라인으로만 구독의 경우에는 월간 4천엔. 참고로 종이신문 구독료는 (조간만 볼경우 3천5백18엔, 조석간세트는 4천3백83엔)
발표회에서 나온 멘트중 긍정적인 부분은
「良質なコンテンツはタダではない。本当に価値がある情報や機能には、それにふさわしい対価をいただきたい. “양질의 콘텐츠는 공짜가 아니다. 정말로 가치가 있는 정보와 기능에는 그것에 맞는 대가를 치뤄야한다.”
短期的な収益は追わず、じっくり育てていきたい考え。まずは無料会員50〜100万人、有料会員30万人(日経発行部数の1割)を目指す。「成功するまで5年、10年かかるかもしれないが、今スタートさせないと10年後の成功はないことは確かだ」단기적인 수익은 쫓지않는다. 제대로 키워가겠다는 생각이다. 우선은 무료회원 50~100만명, 유료회원 30만명을 목표로 한다. 성공할때까지 5년, 10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10년뒤의 성공은 없다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안타깝게도 부정적으로 보이는 부분도 적지 않다. 우선 가격이 너무 비싸다. 종이값, 잉크값, 배송료 등이 들지 않는 온라인으로 보는데 왜 종이신문과 같은 4천엔이나 내야할까. 왜 그런 가격으로 결정됐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답이 한심하다. 「紙の新聞の部数に影響に与えない」ということを前提に、その範囲内で価格を模索しました。(종이신문의 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그 범위안에서 가격을 모색했다) 결국 종이신문의 부수및 매출감소가 두려워서 웹신문 가격을 못 내렸다는 것인데… 독자들이 납득할리 만무하다.
그리고 종이신문 가입자에게는 무료로 웹버전을 제공했어야 하지 않을까? 종이신문가입자에게 추가로 1천엔을 더 내라고 하는 것도 좀 지나치다. 결국 종이신문부수를 절대로 포기할 수 없다는 것으로 읽힌다. 하지만 일본의 인구감소와 젋은 층의 종이매체 이탈 현상을 볼때 현 310만부 유지는 쉽지 않다. 종이신문에 미련을 버리고 이왕이면 온라인에 더 매력적인 가격으로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으면 좋았을텐데 좀 아쉽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깊이있는 정보가 웹에 흘러넘치는 요즘, 천하의 닛케이라도 과연 각종 온라인미디어, 블로그, 트위터와 경쟁해 우위에 있는 가치있는 정보를 온라인유료사이트에 채워넣을 수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다. 지금까지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했던 닛케이의 웹사이트를 보면 말이다. 어쨌든 귀추가 주목된다. 지켜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