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Posts Tagged ‘공유자전거

판교와 바르셀로나의 공유자전거

with one comment

오늘 판교역에 내려보니 카카오모빌리티의 T바이크가 가득하다.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깔아놨다. 두가지 모델이 있는데 조금 바퀴가 큰 것과 바퀴가 작은 것이 있다. 카카오택시를 부를 때 쓰는 카카오T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미 등록해 놓은 카드로 보증금 1만원을 결제하고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운영 초기라 그런지 자전거가 있는 위치가 정확히 표시되지 않는 것 같다. ‘바이크 이용하기’를 누르고 자전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자전거 잠금장치가 열리며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뭔가 문제가 있는지 스캔하는 자전거마다 이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떴는데 2시간뒤에 다시 와서 써보니 잘 됐다. 판교역 주위를 한바퀴 돌아봤다. 전기자전거라 좀 쾌적하게 나가는 것 같기는 한데 평지라서 그런지 보통 자전거와 그렇게 큰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았다.

한 3분정도만 타고 판교역앞에 세워두고 잠금장치를 다시 잠갔다. 처음 15분에 1000원이라는데 첫 이용이라 그런지 1000원을 할인해줘서 무료로 쓸 수 있었다. 전동 공유스쿠터 서비스인 킥고잉도 최근에 판교까지 확장했다고 한다. 판교에 모빌리티 전쟁의 서막이 열리고 있다.

사실 중국에 갈 때마다 공유자전거를 많이 사용했고 전기자전거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점프 바이크를 편리하게 타본 일이 있어서 카카오의 T바이크가 그렇게 신기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위에 보니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았다.

얼마전 MWC참관을 위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갔을 때도 각종 공유자전거, 스쿠터 서비스가 많다는 것을 느꼈다. Bicing이라는 공유자전거 거치대가 많이 보였다.

샌프란시스코의 스쿠트Scoot도 들어와서 일반자전거, 공유자전거의 서비스를 하고 있다.

중국의 모바이크도 들어와 있다.

특히 저녁의 바르셀로나 시내, 가우디의 카사 밀라 앞에서 좀 지나가는 사람들을 관찰했다. 시내는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고 자전거나 전동 스쿠터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무척 많았다.

전동스쿠터를 타고 다니는 여성들이 특히 많이 보였다.

이런 공유자전거, 공유스쿠터 서비스는 정말 글로벌한 트렌드다. 앞으로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들 일은 없을 것 같다. 전세계 도시의 과제는 이런 새로운 퍼스널 모빌리티 트렌드에 맞게 시민들이 기존 도로체계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다닐 수 있도록 바꿔주는 것이다.

Written by estima7

2019년 3월 8일 at 11:47 pm

베이징에서의 공유자전거 체험기

with one comment

지난주 베이징 출장. 호텔이 지하철역에서 약 8백미터 정도 떨어진 곳이어서 좀 불편했다. 택시는 한번도 타지 않았고 디디추싱을 몇번 부른 것 이외에는 모두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출장이었다. 특히 지하철역과 최종 목적지를 연결하는데 공유자전거가 아주 유용했다.

Screen Shot 2018-05-21 at 10.38.35 PM

공유자전거는 눈을 돌리는 곳 어디에나 있었다.

Screen Shot 2018-05-21 at 10.42.38 PM

중국 공유자전거의 양대산맥으로는 ofo와 모바이크가 있다. 그중 모바이크앱은 한국에서 가입해서 중국에서 그대로 쓸 수 있다. 회원 가입 같은 것을 할 필요도 없이 그냥 전화번호 문자로 앱을 인증한 다음에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끝이다. 나중에 해지하면 환불되는 보증금 5천원이 부과되고 또 5천원이 초기에 지갑에 충전된다. 이 상태로 중국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이크앱을 열고 QR코드 잠금해제 버튼을 누른뒤 자전거 뒤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된다. 스캔하자마자 그냥 ‘철컥’하고 자물쇠가 열린다. 그러면 원하는 만큼 타면 된다. 복잡한 회원가입절차, 휴대폰 본인 인증, 비밀번호 암기 등의 절차가 없어서 너무나 사용이 쉽다. 10번쯤 사용하니까 그제서야 이메일주소를 물어본다. 처음에는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서 일단 사용습관을 들이게 하려는 전략 같다.

1시간 타는데 1위안(168원) 밖에 하지 않으니 정말 부담이 없다. 그런데 한달 정기권을 끊으면 20위안에 무제한이라고 한다. 그 정도면 거의 공짜 아닌가.

Screen Shot 2018-05-21 at 10.48.20 PM

바이두지도앱을 이용해서 목적지를 찾아서 다녔는데 이런 식으로 안내를 해준다. 현재 있는 곳에서 1.3km 거리에 있는 곳까지 자전거를 6분간 타고 간 다음에 지하철을 타고 간다. 그런 다음 내려서 또 1km거리에 있는 곳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라는 식이다.

보통 눈앞에 자전거가 있고, 지하철역까지 타고 간 다음 역 입구에 자전거를 놓고 역으로 들어가면 되니 아주 편리했다.

그리고 기대이상으로 자전거길이 잘 되어 있었다.

Screen Shot 2018-05-21 at 10.52.07 PM

이런 식으로 자동차 도로 옆에 울타리가 쳐저 있고 널찍하게 자전거도로가 만들어져 있었다.

Screen Shot 2018-05-21 at 10.51.49 PM

물론 자전거 도로에도 전동오토바이가 들어온다든지, 심지어 자동차가 끼여들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 다니는데 큰 문제는 없었다. 외국인인 내가 다니기도 쉬웠다.

베이징은 구릉이 없고 대체로 모두 평지인 것도 자전거를 타고 다니기 쉬운 이유다.

Screen Shot 2018-05-21 at 10.56.53 PM

출퇴근 시간 이후에 이처럼 자전거회사에서 나와서 자전거들을 트럭으로 재배치하는 것 같았다.

폭우가 내린 다음에도 한 2km 정도 타고 간 일이 있는데 날이 건조해 워낙 빨리 땅이 말라서 그런지 자전거를 타는데 그다지 큰 어려움이 없었다.

요즘 중국에서는 5km이내 거리는 자전거를 타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를 들은 일이 있었다. 실제로 내가 자전거를 타보니 그럴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1~2km 타는 것은 약 5분정도 걸어가는 것과 비슷하게 수월했다. 지하철을 1~2번 갈아타느니 자전거를 타는 것이 더 낫다며 7km거리를 자전거로 오신 분도 만났다.

밤에 자전거를 이용할 때는 QR코드를 스캔할 때 자동으로 스마트폰 라이트가 켜지는 것도 신기했다. 고장난 자전거의 경우는 자동으로 알려주며 다른 자전거를 이용하라고 알려준다.

Screen Shot 2018-05-21 at 11.03.15 PM

이런 식으로 사용하다 보니 불과 이틀만에 11번을 사용했다. 거의 다 4분~15분정도로 5백미터~2km정도의 거리를 가는데 이용한 것 같다.

Screen Shot 2018-05-21 at 11.02.20 PM

솔직히 길거리에 너무 많이 쌓인 자전거가 공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선전, 상하이에 비해서 베이징의 자전거 매너는 좀 무질서하다고 느끼기도 했다.

Screen Shot 2018-05-21 at 11.14.09 PM

길거리에 다니는 자전거의 절반이상이 공유자전거다. 아무도 헬멧을 쓰고 타지 않지만 별 문제가 없다.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고, 어릴 때부터 자전거를 많이 타서 다들 알아서 조심하면서 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모든 자전거가 다 깔끔한 상태는 아니었다. 대체로 더럽고 손잡이 한쪽이 없어진 자전거도 제법 있었다. 하지만 타고 다니는데 문제는 없었다.

11번 타는데 있어서 고장난 자전거는 1대밖에 없었다. 그것도 미리 경고를 해줘서 피할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과 연결해서 자물쇠를 열고 닫는데 있어서 오작동이 전혀 없었다는 점이 신기했다.

어쨌든 이제 중국인의 삶에서 공유자전거는 뗄 수 없는 필수 요소가 됐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스템이 다른 나라에서도 그대로 잘 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국의 ofo와 모바이크가 가장 앞선 노하우와 데이터를 쌓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울 것 같다.

Written by estima7

2018년 5월 21일 at 11:18 pm

위챗페이 사용기

with 6 comments

지난 주말을 이용해 상하이여행을 다녀왔다. 아들과 함께한 개인적인 여행.

예전에 중국에 갔을때 해외신용카드와 현금을 잘 안받는 곳이 많아서 불편을 겪었던 기억이 있어서 단단히 준비하고 갔다. 중국현지번호의 USIM을 준비하고 플래텀 조상래 대표의 도움을 받아 위챗지갑에 돈을 충분히 채우고 갔다.

Screen Shot 2018-03-30 at 3.57.20 PM

맨처음 지하철을 타는데 위챗페이를 어떻게 쓰는지 몰라서 조금 헤메다.

Screen Shot 2018-03-30 at 4.11.45 PM

한국에서 미리 지갑에 충전을 시켜놓기는 했지만 막상 중국현지에서 쓰는데 다른 문제가 생길지 몰라서 걱정했다. 하지만 맨 처음 페이를 할때 미리 정해놓은 6자리 비번을 넣으니 아무 문제없이 결제가 됐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지문인식 터치ID를 쓸 수 있어서 정말 쾌적하게 결제가 가능했다.

Screen Shot 2018-03-30 at 4.18.43 PM

사실 나는 위챗페이를 쓰려고 하는 순간에 이런 화면이 튀어나올까봐 걱정했다. 이름, 휴대폰번호, 생년월일, 성별, 국적, 보안문자, 동의, 동의, 동의, 인증번호입력 등을 반복하는 지리한 절차… 다행히 중국에서 위챗페이를 쓰는 동안 이런 것을 물어보는 일은 한번도 없었다. 그냥 손가락으로 한번 꾹 눌러주면 결제가 됐다. 너무 편해서 일종의 쾌감까지 느꼈다고 하면 과장일까.

Screen Shot 2018-03-30 at 4.23.37 PM

집근처 수퍼에서 IC신용카드로 결제를 할때 카드를 꽃고 나서 기다리는 약 0.5초정도의 시간이 좀 불편하다. 그리고 나서 또 멤버십카드번호를 휴대폰번호 등을 통해서 입력하는 것이 무척 번거롭다. 매번 멤버십카드를 챙겨서 갈수도 없고.

Screen Shot 2018-03-30 at 4.29.23 PM

그런데 위챗페이는 매번 결제를 할때마다 자동으로 그 상점과 연결된다. 영수증이 자동으로 오고 멤버십할인이 적용되는 것이다.

돈을 내는 시점에서 점원에게 내 위챗페이의 ‘머니’버튼을 눌러서 바코드를 보여주면 그것을 스캔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된다. 경쾌하게 ‘띡’소리가 나면서 된다.

Screen Shot 2018-03-30 at 4.29.42 PM

스타벅스에서는 심지어 내가 주문한 음료가 나올때 ‘取餐通知’라고 음식료를 가져가라는 통지까지 위챗메시지로 자동으로 왔다.

지하철에 있는 자판기에서 음료를 뽑는 것도 간단했다.

Screen Shot 2018-03-30 at 4.34.45 PM

마시고 싶은 음료를 선택해서

Screen Shot 2018-03-30 at 4.34.55 PM

결제방법을 선택해서…

Screen Shot 2018-03-30 at 4.35.12 PM

저 바코드를 위챗페이로 스캔하니 콜라가 나왔다.

맥도널드에서의 주문도 간단했다.

Screen Shot 2018-03-30 at 4.38.37 PM

결제할때 맨아래 보이는 스캐너에 내 위챗페이 바코드를 보여주면 된다. 오히려 카드결제는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

Screen Shot 2018-03-30 at 4.41.37 PM

그것도 모자라서 아예 위챗내의 맥도널드 미니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주문하라고 한다. 그렇게 하면 키오스크에 줄서서 주문할 필요도 없다.

단지 지하철 개찰구는 모바일페이를 쓸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선불 구입한 교통카드를 사용) 그런데 그것조차 얼마전부터 바뀌어서 QR코드를 스캔해서 탈 수 있게 됐다. 관찰해보니 진짜로 QR코드를 스캔해서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이 있다. 졌다.

Screen Shot 2018-03-30 at 4.43.46 PM

그런데 지하철을 탈때 현수막하나를 보니 알리페이로 타면 승차비를 많이 할인해준다는 것 같다. 아 그래서 그렇구나…

물건을 살 때도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를 쓰면 다양한 할인 혜택이나 적립금이 쌓이는 경우가 많아 안 쓸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Screen Shot 2018-03-30 at 4.50.32 PM

상해신천지 쇼핑몰에 갔더니 주차비를 내는 것도 위챗에서 위 바코드를 스캔하면 나오는 화면에 차번호를 입력하면 요금이 나오고 그것을 바로 결제하면 된다고 한다. 자주 가는 곳은 아예 미리 등록해두면 자동으로 번호를 인식해서 나갈때 결제가 된다는 말도 들었다.

Screen Shot 2018-03-30 at 4.52.49 PM

상하이도서관에 갔더니 알리페이와 제휴했다는 포스터가 있다. 알리페이에서 쉽게 무료로 상하이도서관의 전자책을 빌려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알리페이의 관련 신용회사인 즈마신용에서 신용도가 650점이상인 사람은 보증금없이 책을 빌릴 수 있다고 한다.

Screen Shot 2018-03-30 at 4.55.35 PM

길거리에 넘쳐흐르는 공유자전거도 QR코드 스캔 한번이면 자물쇠가 열린다.

Screen Shot 2018-03-30 at 4.57.55 PM

이렇다보니 스마트폰 배터리가 떨어지면 낭패다. 그래서 상점마다 이런 보조배터리 공유기가 있는 곳이 많다. 이것도 알리페이, 위챗페이를 통해서 쉽게 저렴하게 빌릴 수 있다. 식당에서 쇼핑하거나 쇼핑몰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이것으로 잠시 충전을 하다가 다시 반납하는 것을 많이 봤다.

이렇게 3박4일동안 위챗페이를 쓰다보니 지갑을 아예 꺼낼 일이 없었다. 지하철을 탈 때를 위해 주머니에 IC교통카드를 넣은 것을 빼고는 현금을 쓸 일이 거의 없었다. 딱 2번 있었는데 그것은 관광지 예원 매표소와 그 앞의 거리 만두집뿐이었다. 아마도 거의 외국인 관광객만을 상대해서 그런 것 같았다.

한 10명이 같이 식사하고 나서 식사비를 내는 것도 간단했다. 100% 위챗을 쓰니까 대표로 돈을 낸 사람에게 26위안씩 보내주는데 위챗채팅에서 송금버튼을 누르고 금액을 적고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계좌번호는 물론 심지어 상대방 전화번호를 몰라도 아무 상관없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내가 지갑을 가지고 있는지, 잃어버린 것은 아닌 걱정이 되는 순간도 있었다. 가방을 열어 일부러 확인했다. ATM에서 돈을 5백위안을 출금했는데 3달동안 1백위안밖에 안썼다는 이야기도 이해가 갔다. 중국에서 지갑이 팔리지 않는다는 말도 이해가 갔다. 시내 곳곳에 있는 ATM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는 것 같았다. 은행은 뭘로 먹고 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오프라인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디디추싱(중국의 우버)를 이용하면서도 승차를 마치고 결제는 모두 위챗페이로 쉽게 연동되서 지불이 가능했다. 중국은 이미 노인들도 쉽게 알리페이, 위챗페이를 쓸 수 있고 모바일쇼핑이 워낙 발달해서 오프라인 유통체인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얘기도 들었다.

이렇게 온오프라인 가리지 않고 결제가 쉬운 세상이 되다보니 중국이 저축경제에서 소비경제로 변하고 있다는 말도 들었다. 나도 뭐랄까 위챗페이를 쓰면서 돈을 쓰는 것에 대한 저항감(?)이 좀 줄었다고 할까.

이런 경험을 하면서 앞으로는 중국에 좀 더 자주가서 새로운 문물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었다. 중국어도 더 열심히 공부하고…

Written by estima7

2018년 3월 30일 at 5:12 pm